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개요
1. 데이터베이스 개념
- 정의/ 특징
2. 데이터베이스 역사
- 파일DB, RDBMS, OODBMS, XMLDB등
3.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정의와 기능
- 정의/ 기능/ 구조/ 구성단계

2>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3> 트랜잭션의 정의 (ACID)

4> SQL이란

5> SQL문법

1. DDL, DML, DCL, 트랜잭션

<단일행 함수>

2. 데이터 형식 변환 함수 (to_char, to_date, to_number)

3. 문자형 함수 (substr, len, upper, lower, lpad, rpad, trim, replace 등)

4. 숫자형 함수 (ceil, floor, round, trunc 등)

5. 날짜형 함수 (months_between, next_day, last_day, add_months 등등)

<다중 행 함수>
6. group 함수 (다 조사하세요.)

7. group by, order by

8. SQL 비교연산자
(like, not like, in, not in, between, exists, not exists, is null, is not null)

9. decode, case

10. inline view(sub query)

11. join의 종류 (equal join, outer join, cross join, self join, full outer join)
- union, union all


6> pl-sql

- trigger의 개념과 작성 문법
- function의 개념과 작성 문법

----------------------------------------------------------------

본문내용

- 보통 둘 이상의 행들의 공통된 값 Primary Key 및 Foreign Key 값을 사용하여 조인 한다. - 그러므로 두 개의 테이블을 SELECT문장 안에서 조인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컬럼이 그 두 테이블 사이에서 공유 되어야 한다.. [2] 조인 방법 - Equijoin(동등 조인, 내부조인) - Non-uijoin - Outer join - Self join [1] Equi Join - 칼럼간의 값들이 서로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PK, FK 관계에 의한다. - Equi join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Index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SQL> SELECT e.ename, d.dname FROM emp e , dept WHERE e.deptno = d.deptno; - WHERE 절에 조인 조건을 작성하고 column명 앞에 테이블명을 적는다. [2] Non-Equijoin - Non-equijoin은 테이블의 어떤 column도 join할 테이블의 column에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하고 조인조건은 동등( = )이외의 연산자를 갖다. (BETWEEN AND, IS NULL, IS NOT NULL, IN, NOT IN)SQL>SELECT e.ename, d.dname FROM emp e, dept d WHERE e.sal BETWEEN 3000 AND 4000; ENAME - Equi Join과 같으나 하나의 테이블에서 조인이 일어나는 것이 다르다.
- 같은 테이블에 대해 두 개의 alias를 작성함으로 FROM절에 두 개의 테이블을 사용 ..중략.... 하는 것과 같이 한다. SQL> SELECT concat(a.ename,' ') || ' : \' || b.sal 급여 FROM emp a, emp b
WHERE a.empno = b.empnoSMITH : \800ALLEN : \1600
WARD : \1250이름과 급여를 연결시켜서 보여준다.[4] Outer Join
- equijoin 문장들의 한가지 제약점은 그것들이 조인을 생성하려 하는 두 개의 테이블의 두 개 컬럼에서 공통된 값이 없다면 테이블로부터 테이터를 Return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조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행들을 보기위해 outer join을 사용한다. Outer join 연산자 "( + )"이다.- 조인시킬 값이 없는 조인 측에 "( + )"를 위치 시킨다. - Outer join 연산자는 표현식의 한 편에만 올 수 있다. - Outer join은 IN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고 OR 연산자에 의해 다른 하나의 조건에 연결될 수 없다.예제1) 일반 조인의 경우 SQL> SELECT DISTINCT(a.deptno), b.deptno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5.09.07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11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