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업현황
2. 업계 현황(경영자료)
3. 경영활동 분석
1) 마케팅 활동분석
2) 생산 활동분석 (품질관리, 아웃소싱)
3) 경영전략적 분석
4) 경영조직의 확대분석
4. SWOT분석
5. 향후 전망(결론)
2. 업계 현황(경영자료)
3. 경영활동 분석
1) 마케팅 활동분석
2) 생산 활동분석 (품질관리, 아웃소싱)
3) 경영전략적 분석
4) 경영조직의 확대분석
4. SWOT분석
5. 향후 전망(결론)
본문내용
필요한 신규개발 장비 수요의 확대. 반도체 Device가 고직접화, 미세화 되는 추세에 따라 반도체 소자 업체의 새로운 공정에 필요한 신규개발 장비 수요가 확대되는 것도 수요 변동요인이 되고 있다.
10. 향후 전망
(가) 반도체 시장 전망
반도체 산업협회가 2005년 1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4년 반도체 시장은 IT경기회복, 모바일 및 디지털가전의 시장확대등으로 인하여 2000년이후 최고의 회복세를 보였으나, 2004년하반기부터 반도체 Cycle과 공급확대등으로 인하여 성장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2005년에도 이어져 올해에는 약 2~3%내의 소폭성장이 예상되고 2006년 역시 2005년 정도의 시장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06년이후부터는 새로운 교체주기에 따른 신규수요의 등장 및 신규시장 출현등으로 인해 시장의 회복세가 예상됩니다.
<반도체 시장전망> (단위: 백만불 %)
2004
2005
2006
2007
1Q
2Q
3Q
4Q
계
반도체시장
48,872
53,501
54,734
55,667
212,775
215,322
221,800
247,126
증가율
-
9.5
2.3
1.7
27.8
1.2
3.0
11.4
[자료 : WSTS (2004.10)]
(나) 반도체 재료시장 전망
반도체 장비시장이 반도체 경기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반면 반도체 재료시장은 반도체 칩 생산량과 비례하기 때문에 반도체 경기변동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해 왔습니다.
세계 반도체 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반도체 재료시장이 지난 2004년에 비해서는 성장세가 둔화되겠지만, 금년 2005년에도 긍정적 업황을 이어가며 작년에 비해 6%정도의 성장한 177억9천만달러 규모가 될것으로 전망하고, 반도체 패키징재료시장의 경우 120억 7천만달러 규모로 지난해 대비 8.3%성장율을 기록하고, 실리콘 웨이퍼 업계는 6.8%의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다) 반도체 및 LCD 장비시장 전망
① 반도체 설비투자 동향
2005년 국내 반도체 장비시장 전망은 세계반도체 시장 및 장비시장의 침체전망에도 불구하고 향후 2년간 안정적인 설비투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2005년 국내 설비투자는 약8조 9천억으로 2004년 대비 약 19%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는데 삼성전자 및 하이닉스 등 주요업체의 설비투자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2004년에는 기존설비의 유지 및 보완, 신규 13라인의 건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졌고, 2005년에는 13라인에 이어 14라인 신규건설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비메모리라인(S-프로젝트)건설도 계획하고 있어 설비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이닉스반도체의 경우에도 2004년에는 기존라인의 보완투자에 주력하였으나, 2004년말 부터 이천의 12인치 T1라인의 장비를 투입중에 있고 2005년에도 꾸준히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② 반도체 장비시장 전망
2004년도 전세계 반도체장비시장은 전년대비 약 59%증가한 35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2005년에는 반도체시장의 성장세 둔화등으로 인하여 시장이 소폭감소한 335억달러로 전망하였습니다. 2005년도 지역별 장비시장은 중국(3.41%)과 북미(1.10%)를 제외한 전체 세계시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특히 일본시장의 경우 2004년에 52%의 큰 성장을 이루었으나, 2005년에는 13.72%의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는 2004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전공정 장비 수요를 증대시키는 신규 Fab투자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2005년 이후에는 신규Fab투자보다는 기존 Fab의 보완 또는 업그레이드 위주의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인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반면, 한국 반도체 산업협회가 발표한 국내 반도체 장비 시장전망에 따르면 2004년 국내 반도체장비시장은 전년대비 약30%성장한 5조 3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며, 2005년 올해는 전년대비 17%증가한 6조 2000억원 규모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는 국내 반도체업체들이 기존 설비에 대한 300mm업그레이드와 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신규Fab건설등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같은 추세는 2~3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③ LCD설비투자 동향 및 LCD 장비시장 전망
삼성전자와 LG필립스 등 국내 업체들은 2001년 세계 LCD시장 41.3%을 점유해 38.8%에 그친 일본을 제치고 명실상부한 LCD 세계최대업체로 부상하여, 5세대 신형유리판의 크기를 국제 표준으로 채택하는 등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LCD업체들은 시장 선도적 입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2003년 하반기부터 제5세대 Line증설과 차세대(제6세대 또는 7세대)Line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자로 인해 향후 LCD시장에서 주력제품으로 떠오르는 LCD TV시장에서도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타임스 2005년 1월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의 2005년 투자계획을 보면, 2004년 6조 5,480억에서 2005년 올해는 33.8%증가한 8조 7,6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특히 삼성전자 LCD부문이 2005년에 2조 8,600억원을 투자해 전년대비 95.6%나 늘었고, LG필립스 LCD가 전년대비 20%늘어난 4조 4,8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러한 LCD의 대규모 투자증가는 삼성전자 탕정 7세대 1라인과 2라인, LG필립스의 파주 P7라인의 투자가 본격화 될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LCD생산업체들의 대규모 투자는 관련산업에 막대한 전후방 효과가 크고, 특히 반도체 및 LCD 장비업체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LCD장비 국산화율이 40% ~ 50%에 육박한 국내 관련 장비업체들에게 큰 수혜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산업현황
2. 업계 현황(경영자료)
3. 경영활동 분석
1) 마케팅 활동분석
2) 생산 활동분석 (품질관리, 아웃소싱)
3) 경영전략적 분석
4) 경영조직의 확대분석
4. SWOT분석
5. 향후 전망(결론)
10. 향후 전망
(가) 반도체 시장 전망
반도체 산업협회가 2005년 1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4년 반도체 시장은 IT경기회복, 모바일 및 디지털가전의 시장확대등으로 인하여 2000년이후 최고의 회복세를 보였으나, 2004년하반기부터 반도체 Cycle과 공급확대등으로 인하여 성장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2005년에도 이어져 올해에는 약 2~3%내의 소폭성장이 예상되고 2006년 역시 2005년 정도의 시장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06년이후부터는 새로운 교체주기에 따른 신규수요의 등장 및 신규시장 출현등으로 인해 시장의 회복세가 예상됩니다.
<반도체 시장전망> (단위: 백만불 %)
2004
2005
2006
2007
1Q
2Q
3Q
4Q
계
반도체시장
48,872
53,501
54,734
55,667
212,775
215,322
221,800
247,126
증가율
-
9.5
2.3
1.7
27.8
1.2
3.0
11.4
[자료 : WSTS (2004.10)]
(나) 반도체 재료시장 전망
반도체 장비시장이 반도체 경기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반면 반도체 재료시장은 반도체 칩 생산량과 비례하기 때문에 반도체 경기변동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해 왔습니다.
세계 반도체 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반도체 재료시장이 지난 2004년에 비해서는 성장세가 둔화되겠지만, 금년 2005년에도 긍정적 업황을 이어가며 작년에 비해 6%정도의 성장한 177억9천만달러 규모가 될것으로 전망하고, 반도체 패키징재료시장의 경우 120억 7천만달러 규모로 지난해 대비 8.3%성장율을 기록하고, 실리콘 웨이퍼 업계는 6.8%의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다) 반도체 및 LCD 장비시장 전망
① 반도체 설비투자 동향
2005년 국내 반도체 장비시장 전망은 세계반도체 시장 및 장비시장의 침체전망에도 불구하고 향후 2년간 안정적인 설비투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2005년 국내 설비투자는 약8조 9천억으로 2004년 대비 약 19%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는데 삼성전자 및 하이닉스 등 주요업체의 설비투자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2004년에는 기존설비의 유지 및 보완, 신규 13라인의 건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졌고, 2005년에는 13라인에 이어 14라인 신규건설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비메모리라인(S-프로젝트)건설도 계획하고 있어 설비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이닉스반도체의 경우에도 2004년에는 기존라인의 보완투자에 주력하였으나, 2004년말 부터 이천의 12인치 T1라인의 장비를 투입중에 있고 2005년에도 꾸준히 투자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② 반도체 장비시장 전망
2004년도 전세계 반도체장비시장은 전년대비 약 59%증가한 35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2005년에는 반도체시장의 성장세 둔화등으로 인하여 시장이 소폭감소한 335억달러로 전망하였습니다. 2005년도 지역별 장비시장은 중국(3.41%)과 북미(1.10%)를 제외한 전체 세계시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특히 일본시장의 경우 2004년에 52%의 큰 성장을 이루었으나, 2005년에는 13.72%의 가장 큰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는 2004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전공정 장비 수요를 증대시키는 신규 Fab투자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2005년 이후에는 신규Fab투자보다는 기존 Fab의 보완 또는 업그레이드 위주의 투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인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반면, 한국 반도체 산업협회가 발표한 국내 반도체 장비 시장전망에 따르면 2004년 국내 반도체장비시장은 전년대비 약30%성장한 5조 3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며, 2005년 올해는 전년대비 17%증가한 6조 2000억원 규모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는 국내 반도체업체들이 기존 설비에 대한 300mm업그레이드와 메모리, 시스템 반도체, 신규Fab건설등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같은 추세는 2~3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③ LCD설비투자 동향 및 LCD 장비시장 전망
삼성전자와 LG필립스 등 국내 업체들은 2001년 세계 LCD시장 41.3%을 점유해 38.8%에 그친 일본을 제치고 명실상부한 LCD 세계최대업체로 부상하여, 5세대 신형유리판의 크기를 국제 표준으로 채택하는 등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LCD업체들은 시장 선도적 입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2003년 하반기부터 제5세대 Line증설과 차세대(제6세대 또는 7세대)Line에 집중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자로 인해 향후 LCD시장에서 주력제품으로 떠오르는 LCD TV시장에서도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타임스 2005년 1월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의 2005년 투자계획을 보면, 2004년 6조 5,480억에서 2005년 올해는 33.8%증가한 8조 7,6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특히 삼성전자 LCD부문이 2005년에 2조 8,600억원을 투자해 전년대비 95.6%나 늘었고, LG필립스 LCD가 전년대비 20%늘어난 4조 4,800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러한 LCD의 대규모 투자증가는 삼성전자 탕정 7세대 1라인과 2라인, LG필립스의 파주 P7라인의 투자가 본격화 될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LCD생산업체들의 대규모 투자는 관련산업에 막대한 전후방 효과가 크고, 특히 반도체 및 LCD 장비업체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LCD장비 국산화율이 40% ~ 50%에 육박한 국내 관련 장비업체들에게 큰 수혜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산업현황
2. 업계 현황(경영자료)
3. 경영활동 분석
1) 마케팅 활동분석
2) 생산 활동분석 (품질관리, 아웃소싱)
3) 경영전략적 분석
4) 경영조직의 확대분석
4. SWOT분석
5. 향후 전망(결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