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리얼리즘
1) 리얼리즘의 정의
2) 비판적 사실주의
3) 풍자
2. 작품연구
1) 작품속의 국가 허무주의
2) 작품의 역사와의 관련성
3) 해방현실에서의 토지문제
결 론
본 론
1.리얼리즘
1) 리얼리즘의 정의
2) 비판적 사실주의
3) 풍자
2. 작품연구
1) 작품속의 국가 허무주의
2) 작품의 역사와의 관련성
3) 해방현실에서의 토지문제
결 론
본문내용
가 양적인 면에서 완화된 상태로 유지된 것으로 봐야 하고 한국 농업에 있어서도 진정한 개혁은 아직 남겨놓는 셈이다.
허재일 정차근. 『해방전후사의 바른이해』. 평민사. 1991. pp177∼202
결론
겉으로 보기엔, 풍자와 리얼리즘은 형상화방식에 있어서 서로 대척적인 듯이 생각된다. 왜냐하면 풍자가 대상을 과장하고 비꼬는 묘사방식을 중심으로 하는 데 반해 리얼리즘은 대상에 대한 객관적 묘사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비교는 리얼리즘을 묘사 방식으로 편협하게 이해할 대에만 가능한 비교이다. 리얼리즘이란 일종의 예술적 조종 원리이다. 따라서 형상화 방식은 엄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총체성에 대한 지향이다. 다시 말해 삶의 총체적 연관을 그리려 노력할 때 리얼리즘의 성취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대상을 아무리 객관적으로 묘사하더라도 그것이 인간의 사회적 삶과 연관을 맺지 못한 채 고립되어 있으면 리얼리즘에 도달할 수 없는 법이다. 반면에 대상을 왜곡하고 과장하더라도 그것과 사회적 삶과의 연관만 제대로 그려낼 수 있으면 높은 리얼리즘의 성취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정공법이 불가능한 파시즘적 현실 속에서 풍자소설의 리얼리즘적 가능성은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채만식은 바로 풍자의 리얼리즘적 가능성을 크게 열어준 선구적 작가이다.
하지만 풍자가 리얼리즘의 성취에 있어서 일정한 제약으로 작용하는 면이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념적 방향성을 결여한 풍자란 항상 현실의 모든 것을 부정하기만 하는 일종의 허무주의에 빠질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채만식의 풍자소설에서도 그러한 허무주의 혹은 냉소주의의 자취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채만식은 풍자소설로 전환한 수에도 동반자문학 시절의 문제의식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문제의식이야말로 채만식의 풍자를 허무주의의 늪에서 건져준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채만식에게 있어서 풍자의 선택은 일종의 전술적 변화였을 뿐 전략이나 이념의 포기는 아니었다고 하겠다. 채만식이 풍자와 리얼리즘의 통일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여기에서 기인한다.
이중에서도 「논 이야기」는 일제 잔재의 청산이라는 민족사적 과제와 그와 관련된 농민의 고통을 비판한 이 시기 풍자소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원용, 『채만식의 단편소설 연구』, 부산대학교, 1993
김춘섭·박태상·정덕준,『우리소설 바르게 읽기』, 태학사, 2000
문학과 사상 연구회, 『채만식 문학의 재인식』, 소명, 1999
송기섭, 『해방기 소설의 반영의식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신효정, 『문학산책』, 답게, 2000
윤여탁·오성호·하정일·김동훈·김만수 공저,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 태학사, 1984
장영우 편저, 『한국 대표 단편 32선』, 춘원, 1993
정현기 감수, 『단편소설의 분석과 감상』, 송정문화사, 1993
조창환, 『해방전후 채만식 소설 연구』, 태학사. 1997
허재일 정차근, 『해방전후사의 바른 이해』, 평민사. 1991
허재일 정차근. 『해방전후사의 바른이해』. 평민사. 1991. pp177∼202
결론
겉으로 보기엔, 풍자와 리얼리즘은 형상화방식에 있어서 서로 대척적인 듯이 생각된다. 왜냐하면 풍자가 대상을 과장하고 비꼬는 묘사방식을 중심으로 하는 데 반해 리얼리즘은 대상에 대한 객관적 묘사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비교는 리얼리즘을 묘사 방식으로 편협하게 이해할 대에만 가능한 비교이다. 리얼리즘이란 일종의 예술적 조종 원리이다. 따라서 형상화 방식은 엄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총체성에 대한 지향이다. 다시 말해 삶의 총체적 연관을 그리려 노력할 때 리얼리즘의 성취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대상을 아무리 객관적으로 묘사하더라도 그것이 인간의 사회적 삶과 연관을 맺지 못한 채 고립되어 있으면 리얼리즘에 도달할 수 없는 법이다. 반면에 대상을 왜곡하고 과장하더라도 그것과 사회적 삶과의 연관만 제대로 그려낼 수 있으면 높은 리얼리즘의 성취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정공법이 불가능한 파시즘적 현실 속에서 풍자소설의 리얼리즘적 가능성은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채만식은 바로 풍자의 리얼리즘적 가능성을 크게 열어준 선구적 작가이다.
하지만 풍자가 리얼리즘의 성취에 있어서 일정한 제약으로 작용하는 면이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념적 방향성을 결여한 풍자란 항상 현실의 모든 것을 부정하기만 하는 일종의 허무주의에 빠질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채만식의 풍자소설에서도 그러한 허무주의 혹은 냉소주의의 자취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채만식은 풍자소설로 전환한 수에도 동반자문학 시절의 문제의식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문제의식이야말로 채만식의 풍자를 허무주의의 늪에서 건져준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채만식에게 있어서 풍자의 선택은 일종의 전술적 변화였을 뿐 전략이나 이념의 포기는 아니었다고 하겠다. 채만식이 풍자와 리얼리즘의 통일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여기에서 기인한다.
이중에서도 「논 이야기」는 일제 잔재의 청산이라는 민족사적 과제와 그와 관련된 농민의 고통을 비판한 이 시기 풍자소설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원용, 『채만식의 단편소설 연구』, 부산대학교, 1993
김춘섭·박태상·정덕준,『우리소설 바르게 읽기』, 태학사, 2000
문학과 사상 연구회, 『채만식 문학의 재인식』, 소명, 1999
송기섭, 『해방기 소설의 반영의식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신효정, 『문학산책』, 답게, 2000
윤여탁·오성호·하정일·김동훈·김만수 공저,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 태학사, 1984
장영우 편저, 『한국 대표 단편 32선』, 춘원, 1993
정현기 감수, 『단편소설의 분석과 감상』, 송정문화사, 1993
조창환, 『해방전후 채만식 소설 연구』, 태학사. 1997
허재일 정차근, 『해방전후사의 바른 이해』, 평민사. 1991
추천자료
네오리얼리즘
리얼리즘,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염상섭의 삼대를 중심으로 한 사실주의 문학 연구
리얼리즘이란?
리얼리즘의 유형
네오리얼리즘
리얼리즘 영화에 관한 소론-홍상수의 생활의 발견
[영화][영화의 역사][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독일 표현주의 영화][프랑스 누벨바그 영...
[예술][예술의 기능][예술의 심리학][예술과 예술행정][예술과 산업][예술과 리얼리즘][예술...
[구비문학의세계] 4공통- 설화 가운데 민담 2편을 선택- 각 민담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기존 ...
‘청산별곡(靑山別曲)’ 연구 및 교육적 접근 방법 (고려속요의 갈래상 특징과 수용사적 특징과...
네오리얼리즘 [Neorealism]
현대 문학사 - 1920 ∼ 30년대 전반 소설 희곡 비평(1920년 통속 소설과 페미니즘 방법론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