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개요
2. 무선 및 이동통신에서의 RF
3 Cellular/PCS RF단 UNIT 소개와 특징.
3.1 Duplexer
3.2LNA
3.3HPA
3.4 SAW Filter
3.5 IF filter
4. RF 설계방식 제안
4.1 Direct-Implementation
4.2 Single Wide-Band Architecture.
4.3 Hybrid Architecture
4.4 Dual-Band 설계
5.향후 RF 집적회로 진화 방향.
6.참고 문헌
2. 무선 및 이동통신에서의 RF
3 Cellular/PCS RF단 UNIT 소개와 특징.
3.1 Duplexer
3.2LNA
3.3HPA
3.4 SAW Filter
3.5 IF filter
4. RF 설계방식 제안
4.1 Direct-Implementation
4.2 Single Wide-Band Architecture.
4.3 Hybrid Architecture
4.4 Dual-Band 설계
5.향후 RF 집적회로 진화 방향.
6.참고 문헌
본문내용
IF cha주파수 사이의 차이가 90Mhz이기 때문에 cellualr Rx Tx mixer 에 같은 LO 주파수를 넣을 경우 Rx Tx RF channel 주파수 사이의 차이가 90Mhz가 되어 현재 상용 서비스되는 cellular system에서는 사용할 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RX Tx RF channel 사이를 45Mhz 로 만들기 위해서는 Rx Tx 에 각각 다른 LO가 들어가야 되고 이것은 LO 가 들어가게 되고 이것은 PLL을 사용해야 된다는 의미이다.그러나 paging channel 에 의한 channel assignment message 는 하나이고 이것은 현재 상용 서비스되는 cellular system 에서는 RF용 PLL을 Rx Tx 따로 사용할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따라서 이문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첫째 아래의 그림5에 나타냈듯이 Rx mixer LO 단자 입구에 mixer를 하나 추가
-7-
하여 1089-1114Mhz 의 LO 주파수를 만드는 방법이다.이때 MSM 에는 IF Rx 주파수가 85.38 Mhx 로 입력되어 있고 MSM 으로부터 PLL로의 CONTROL SIGNAL 에는 RF Rx 주파수와 IF Rx 주파수에 관련된 LO 주파수정보가 전 달되므로 VCO output 주파수는 정상적으로 954-979MHZ 로 출력되어 Tx mixer로 들어가고 Rx mixer로는 중가에 mixer를 한번 더 거쳐,LO 1089-1114 Mhz,
그림 5.mixer을 사용하는 방안
RF 869-894 Mhz, IF 220.38 Mhz system 으로 가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 mixer의 LO signal 은135Mhz 로 고정된 oscillator를 사용하게 된다.두 번째 방안으로는 아래의 그림6에서 나타냈듯이 정상적인 MSM 과 PLL을 사용하여 Tx mixer 에는 954-979 Mhz LO를 넣어주고 PLL 하나를 더 병렬로 연결하여 Rx mixer 에 연결하는 방법인데 이때 이 PLL 은 MSM에서 오는 control signal 에 포함되어 있는 LO 주파수에 관한 데이터를 954-979 Mhz 가 아닌 1089-1114Mhz 롤 인식할 수 있도록 PLL data register를 modify 해주 면 될 것이다.
그림 6.PLL을 사용하는 방안
-8-
이상 두가지 방법에 의해 cellular 의 RF Rx Tx channel 사이의 간격은 45Mhz IF Rx Tx channel 사이의 간격은 90Mhz 로서 PCS 의 IF 주파수로 총합하여 사용할 수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아래의 그림7은 전체적인 block diagram을 나타내었다.
그림 7.CDMA RF SYSTEM block diagram
5.향후 RF 집적회로 진화 방향.
회로 설계기술면에서 그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어 이제는 단일칩 송수신기 구현 가능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상태에 와있다. 그런데 RF ,IF , 아날로그 , 디지털로 구성된 송수신기 회로를 단일칩으로 구현하는데 상기한 모든 공정들 중에 어는것도 최적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현재의 1-2Ghz 대역용 시장 상황을 살펴보면, 전력 증폭기에서는 오래 전부터 화합물 주도해 왔고 또한 앞으로도 당분간은 그 추세를 바꾸지 못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그리하여 RF 및 IF 부분은 대체로 Bipolar 및 BiCMOS 공정이 주도하고 있는 실정이고, 아날로그 및 디지털 부분은 BiCMOS 또는 CMOS 공정이 주도하고 있다.향후 기술 추세는 실리콘 기술이 갈수록 높은 주파수의 RF 부품 시장에서 강세를 보일 것이고 화합물 반도체는 보다 높은 주파수 시장으로 옮겨가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그리고 CMOS 이용한 RF 가 점점 상용 수준에 가까워 지고 있는데, 디지철 집적회로를 위해 투자되는 CMOS 공정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조만 간에 1-2 Ghz대역에 상용 제품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9-
6.참고 문헌
1.한금구,신현섭,Design of wireless Transceiver for CDMA Cellular/PCS Dual-Mode Mobile Station .1 1999.8.9
2.이상구,RF 집적회로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2000.02
3. 이상근,방효창 ,IMT-2000 CDMA 기술 .세화,p10-11,2001,02
4.WWW.RFDH.COM
5.유현구.F Transceiver architecture Design , ,2000,07,24
-10-
-7-
하여 1089-1114Mhz 의 LO 주파수를 만드는 방법이다.이때 MSM 에는 IF Rx 주파수가 85.38 Mhx 로 입력되어 있고 MSM 으로부터 PLL로의 CONTROL SIGNAL 에는 RF Rx 주파수와 IF Rx 주파수에 관련된 LO 주파수정보가 전 달되므로 VCO output 주파수는 정상적으로 954-979MHZ 로 출력되어 Tx mixer로 들어가고 Rx mixer로는 중가에 mixer를 한번 더 거쳐,LO 1089-1114 Mhz,
그림 5.mixer을 사용하는 방안
RF 869-894 Mhz, IF 220.38 Mhz system 으로 가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 mixer의 LO signal 은135Mhz 로 고정된 oscillator를 사용하게 된다.두 번째 방안으로는 아래의 그림6에서 나타냈듯이 정상적인 MSM 과 PLL을 사용하여 Tx mixer 에는 954-979 Mhz LO를 넣어주고 PLL 하나를 더 병렬로 연결하여 Rx mixer 에 연결하는 방법인데 이때 이 PLL 은 MSM에서 오는 control signal 에 포함되어 있는 LO 주파수에 관한 데이터를 954-979 Mhz 가 아닌 1089-1114Mhz 롤 인식할 수 있도록 PLL data register를 modify 해주 면 될 것이다.
그림 6.PLL을 사용하는 방안
-8-
이상 두가지 방법에 의해 cellular 의 RF Rx Tx channel 사이의 간격은 45Mhz IF Rx Tx channel 사이의 간격은 90Mhz 로서 PCS 의 IF 주파수로 총합하여 사용할 수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아래의 그림7은 전체적인 block diagram을 나타내었다.
그림 7.CDMA RF SYSTEM block diagram
5.향후 RF 집적회로 진화 방향.
회로 설계기술면에서 그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어 이제는 단일칩 송수신기 구현 가능성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상태에 와있다. 그런데 RF ,IF , 아날로그 , 디지털로 구성된 송수신기 회로를 단일칩으로 구현하는데 상기한 모든 공정들 중에 어는것도 최적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현재의 1-2Ghz 대역용 시장 상황을 살펴보면, 전력 증폭기에서는 오래 전부터 화합물 주도해 왔고 또한 앞으로도 당분간은 그 추세를 바꾸지 못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그리하여 RF 및 IF 부분은 대체로 Bipolar 및 BiCMOS 공정이 주도하고 있는 실정이고, 아날로그 및 디지털 부분은 BiCMOS 또는 CMOS 공정이 주도하고 있다.향후 기술 추세는 실리콘 기술이 갈수록 높은 주파수의 RF 부품 시장에서 강세를 보일 것이고 화합물 반도체는 보다 높은 주파수 시장으로 옮겨가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그리고 CMOS 이용한 RF 가 점점 상용 수준에 가까워 지고 있는데, 디지철 집적회로를 위해 투자되는 CMOS 공정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조만 간에 1-2 Ghz대역에 상용 제품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9-
6.참고 문헌
1.한금구,신현섭,Design of wireless Transceiver for CDMA Cellular/PCS Dual-Mode Mobile Station .1 1999.8.9
2.이상구,RF 집적회로 .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2000.02
3. 이상근,방효창 ,IMT-2000 CDMA 기술 .세화,p10-11,2001,02
4.WWW.RFDH.COM
5.유현구.F Transceiver architecture Design , ,2000,07,2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