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황을 모욕적이라고 생각했고 또 이웃 유럽나라와 비교해 불공평하다고 느꼈다. 그때까지의 국가정책은 통일을 완수하고 그 이후에는 제국을 내부적으로 공고히 다지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1890년 이후부터 독일의 정책은 막스 베버의 말대로 세계정책을 의미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민족통일을 완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계정책을 통해 다른 나라와 동등한 위치를 획득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중부유럽에 한정된 비스마르크의 엄격한 제한적 정책으로부터 결정적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영국과 러시아 프랑스와의 마찰로 독일은 사방에서 포위당하는 상황에 노이게 되었고 정치적으로 고립되었다. 외교전선에 먹구름이 끼었고 국내사정도 마찬가지였다. 상이한 사회계층 사이에 어느 정도 유지되었던 사회적 안정도 심각한 위협에 처하게 되었다. 사민당은 선거를 거듭할수록 세력을 더 확장시켰고 더 빈번해진 파업사태는 점점 더 커져가는 노동조합의 자의식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었다. 언론과 의회는 아무런 제재나 처벌 없이 공개적으로 사회질서의 근간까지 공격하였다. 군부는 군장교를 뽑는데 귀족출신을 선호한다든가 결투문제를 두고 공식적으로 이중 잣대를 적용한다든가 하는 문제를 두고 국민들의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모든 계층사이의 갈등이 이처럼 심화되면서 독일내의 분위기는 갈수록 악화되었다. 국제적 위기와 전쟁의 위험이 일어났고 결국 제 1차 세계대전의 발발이 있었다. 비스마르크 제국의 ‘내부통일’이 평화시기에는 갈등과 분열을 거듭하다가 전쟁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었다는 것은 독일역사의 비극적이면서도 매우 부정적인 측면이다.
추천자료
독일의 문서보존 체제(요약)
독일의 여성복지서비스 현황
독일 정당의 특징
독일 통일의 교훈 : 독일의 경제통합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교훈을
독일경찰인사제도, 독일경찰, 인사제도
독일과 영국의 사회복지 정책의 발전과정독일 사회복지 발달사, 영국 사회복지발달사-베버리...
독일재통일
[독일 정당][독일][기독교민주당][CDU][사회민주당][SPD][녹색당][자유민주당]독일 정당의 역...
독일의 역사(독일의 흥망 정리자료)
[정치교육][정치사회화][독일 정치교육 사례][정치교육의 내실화 방안]정치교육의 정의, 정치...
[독일][독일교육][국제교류정책][주5일제수업][직업교육훈련제도][특수학교][교원양성제도]독...
[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 소련, 소비에트연방]소련붕괴(소비에트연방 붕괴)의 배경,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