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수범
미수범의 성립여부가 문제되는 특수한 범죄의 경우
보고서 작성 소감
미수범의 성립여부가 문제되는 특수한 범죄의 경우
보고서 작성 소감
본문내용
결을 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기본범죄가 미수인데도 중한 결과의 발생에 대해 기수처벌을 내림으로써, 대법원이 기본범죄가 중한 결과를 발생시킬 위험성을 예방하기위해 이와 같은 판결을 내렸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Ⅲ. 보고서 작성 소감
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자료를 보면서 이해가 어려웠던 부분은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에 관한 내용이었다. 거동범이나 부작위범의 미수에 관하여는 학설의 견해들이나 그 체계를 분류해놓은 형식이 대부분 비슷하게 나뉘어져 있어 쉽게 학설의 견해를 분류하여 이해할 수 있었는데, 결과적 가중범에서는 그 학설마다 나뉘는 견해를 교수님들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책에 기술해놓고 있어 그 내용을 이해하는데 처음엔 조금 혼란스러웠었다. 결과적 가중범을 부정설과 긍정설로 나누어 설명하는 책도 있고, 진정결과적과중범, 부진정결과적가중범에 따라 분류하는 견해, 미수시기에 따라 분류하는 견해 등 보고서 정리를 위해 자료로 보았던 책들에 결과적 가중범의 학설 체계가 워낙 다양하고 복잡하게 기술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꾸 읽고, 보고서를 직접 써가면서 하니 다양하게 분류된 체계를 내 나름대로 잘 종합할 수 있어, 결과적 가중범의 정리를 끝내고 나서는 그 내용을 나름대로 내 것으로 만든 것 같아 한편으로 좀 뿌듯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미수범의 관련문제에 대해 알아보면서, 배우는 학생으로서 아직 짧은 소견이지만 생각해보건대, 미수범 처벌의 인정, 부인을 떠나서 피해자의 법익이 크게 침해되지 않는 한 피고인을 보호하여 최대한 형벌을 가볍게 해주는 것이 결과적 가중범의 예방 차원에서 미수 처벌을 부정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으며, 미수범 처벌규정의 목적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끝-
<참고문헌>
김일수, 제5판 새로 쓴 형법각론, 박영사, 서울, 2003.
김일수, 제7판 새로 쓴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9.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6.
손동권, 형법총론, 율곡출판사, 서울, 2004.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서울, 2003.
오영근, 형법총론, 대명출판사, 서울, 2002.
이영란, 개정판 한국형법학,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3.
이재상, 제4판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9.
정영일, 개정판 형법개론, 박영사, 서울, 2004.
하태훈, 개정판 사례중심형법총론, 법원사, 서울, 2002.
Ⅲ. 보고서 작성 소감
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자료를 보면서 이해가 어려웠던 부분은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에 관한 내용이었다. 거동범이나 부작위범의 미수에 관하여는 학설의 견해들이나 그 체계를 분류해놓은 형식이 대부분 비슷하게 나뉘어져 있어 쉽게 학설의 견해를 분류하여 이해할 수 있었는데, 결과적 가중범에서는 그 학설마다 나뉘는 견해를 교수님들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책에 기술해놓고 있어 그 내용을 이해하는데 처음엔 조금 혼란스러웠었다. 결과적 가중범을 부정설과 긍정설로 나누어 설명하는 책도 있고, 진정결과적과중범, 부진정결과적가중범에 따라 분류하는 견해, 미수시기에 따라 분류하는 견해 등 보고서 정리를 위해 자료로 보았던 책들에 결과적 가중범의 학설 체계가 워낙 다양하고 복잡하게 기술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꾸 읽고, 보고서를 직접 써가면서 하니 다양하게 분류된 체계를 내 나름대로 잘 종합할 수 있어, 결과적 가중범의 정리를 끝내고 나서는 그 내용을 나름대로 내 것으로 만든 것 같아 한편으로 좀 뿌듯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미수범의 관련문제에 대해 알아보면서, 배우는 학생으로서 아직 짧은 소견이지만 생각해보건대, 미수범 처벌의 인정, 부인을 떠나서 피해자의 법익이 크게 침해되지 않는 한 피고인을 보호하여 최대한 형벌을 가볍게 해주는 것이 결과적 가중범의 예방 차원에서 미수 처벌을 부정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으며, 미수범 처벌규정의 목적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끝-
<참고문헌>
김일수, 제5판 새로 쓴 형법각론, 박영사, 서울, 2003.
김일수, 제7판 새로 쓴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9.
박상기,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6.
손동권, 형법총론, 율곡출판사, 서울, 2004.
신동운, 형법총론, 법문사, 서울, 2003.
오영근, 형법총론, 대명출판사, 서울, 2002.
이영란, 개정판 한국형법학,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2003.
이재상, 제4판 형법총론, 박영사, 서울, 1999.
정영일, 개정판 형법개론, 박영사, 서울, 2004.
하태훈, 개정판 사례중심형법총론, 법원사, 서울, 2002.
추천자료
여성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여성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신용카드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주한미군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남녀공학여부와 청소년의 성 이미지
주한미군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보험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범죄와 사회복지
주한미군범죄의 실태와 대응방안
성범죄자 신상 공개의 정당성
간통죄의 위헌여부 및 존치론과 폐지론 개선방향
주한미군범죄의 실태와 대응방안
[연금, 개인연금, 국민연금, 기업연금, 근로자퇴직연금, 공적 연금, 사적 연금, 특수직역연금...
[아동복지] 자폐아의 부적응 문제 (자폐아동의 실태 및 문제제기, 자폐아동의 정의·특성·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