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국의 보육정책
2. 영국의 보육시설유형
1) 유아학교와 유아학급
2) 공립 보육시설
3)사립 유아원
4)놀이집단
3. 일본의 보육정책
1) 빈곤대책으로서의 보육제도
2) 여성노동력 확보와 보육제도(60~70년대)
3) 여성의 사회진출의 보편화와 보육제도(80년대)
4) 저출산과 지역사회의 아동양육지원을 위한 대책으로서의 보육제도
5) 엔젤플랜(1995년~1999년)과 신엔젤플랜(2000년~)
4. 프랑스의 보육정책
1) 보육시설의 유형
5. 선진국 보육정책에 대한 느낀점
2. 영국의 보육시설유형
1) 유아학교와 유아학급
2) 공립 보육시설
3)사립 유아원
4)놀이집단
3. 일본의 보육정책
1) 빈곤대책으로서의 보육제도
2) 여성노동력 확보와 보육제도(60~70년대)
3) 여성의 사회진출의 보편화와 보육제도(80년대)
4) 저출산과 지역사회의 아동양육지원을 위한 대책으로서의 보육제도
5) 엔젤플랜(1995년~1999년)과 신엔젤플랜(2000년~)
4. 프랑스의 보육정책
1) 보육시설의 유형
5. 선진국 보육정책에 대한 느낀점
본문내용
전 도모 2) 부모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 3) 아이들에게 균등한 혜택이 돌아가도록 재정지원 3) 육아의 남녀 공동책임을 지원하는 보육정책 마련이다.
1) 보육시설의 유형
프랑스에서 운영되고 있는 영유아를 위한 보육은 크레쉬(creches)라 불리우는 보육시설이ㅔ서 주로 담당한다. 프랑스의 크레쉬는 크게 세가지 형태로 나뉜다. 공립, 부모협동에 의한 자발적 크레수, 사립크레쉬와 일시보육 등이다. 공사립 모두 국가지원을 받기 때문에 개별가정의 보육비부담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반면 크레쉬의 수가 부족한 편이어서 파리같은 대도시에서는 임신 3-5개월 때부터 크레쉬에 미리 등록해서 1년이상 기다려야 한다. 자리가 날 때 까지는 공동육아방식을 이용하거나 가정보육모인 '누누'에게 아이를 맡기고 있다.
누누는 1960년 이후 생겨났고 사신의 집에서 2-3명의 유아들을 개별적으로 돌본다. 누누는 1년의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시에 등록이 되어있다. 부모들은 누누에게 지급하는 보육비용에 대해서도 추후에 세금혜택을 받고 있다. 따라서 프랑스는 어떤 형태의 보육이라도 국가가 지원하고 있는 셈이다. 누누는 기존의 보육시설, 모자보건원, 사회복지관과 연계되어 운영되므로 그 규모는 작으나 자격을 인정받고 기관에 등록된 누누들이 하나의 조직을 형성하여 일하고 있다. 이러한 조직에서는 보통 원장 1명이 30명 정도의 누누를 관리한다. 원장은 누누의 집을 방문하여 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며 교사 연수, 행정 교육, 자료 및 기타 필요한 활동을 지원한다.
5. 선진국 보육정책에 대한 느낀점
* 느낀점 - 일단 저는 다른 나라의 보육정책을 조사하면서 체계적이고 아이들을 생각하는 선진국의 보육정책은 역시 뭔가 다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우리 나라의 보육정책도 아이들을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많은 부분이 부족하다고 알 수 있었고 어서 우리 나라도 유아교육에 대한 공교육이 하루빨리 이루어졌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선진국의 보육정책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선진국의 보육정책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고 적절하게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는 그런 보육정책을 만들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 영국, 일본,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과 비교하면서 우리 나라가 현재 가지고 있는 많은 보육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뜻 깊었습니다.
1) 보육시설의 유형
프랑스에서 운영되고 있는 영유아를 위한 보육은 크레쉬(creches)라 불리우는 보육시설이ㅔ서 주로 담당한다. 프랑스의 크레쉬는 크게 세가지 형태로 나뉜다. 공립, 부모협동에 의한 자발적 크레수, 사립크레쉬와 일시보육 등이다. 공사립 모두 국가지원을 받기 때문에 개별가정의 보육비부담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반면 크레쉬의 수가 부족한 편이어서 파리같은 대도시에서는 임신 3-5개월 때부터 크레쉬에 미리 등록해서 1년이상 기다려야 한다. 자리가 날 때 까지는 공동육아방식을 이용하거나 가정보육모인 '누누'에게 아이를 맡기고 있다.
누누는 1960년 이후 생겨났고 사신의 집에서 2-3명의 유아들을 개별적으로 돌본다. 누누는 1년의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시에 등록이 되어있다. 부모들은 누누에게 지급하는 보육비용에 대해서도 추후에 세금혜택을 받고 있다. 따라서 프랑스는 어떤 형태의 보육이라도 국가가 지원하고 있는 셈이다. 누누는 기존의 보육시설, 모자보건원, 사회복지관과 연계되어 운영되므로 그 규모는 작으나 자격을 인정받고 기관에 등록된 누누들이 하나의 조직을 형성하여 일하고 있다. 이러한 조직에서는 보통 원장 1명이 30명 정도의 누누를 관리한다. 원장은 누누의 집을 방문하여 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며 교사 연수, 행정 교육, 자료 및 기타 필요한 활동을 지원한다.
5. 선진국 보육정책에 대한 느낀점
* 느낀점 - 일단 저는 다른 나라의 보육정책을 조사하면서 체계적이고 아이들을 생각하는 선진국의 보육정책은 역시 뭔가 다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우리 나라의 보육정책도 아이들을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많은 부분이 부족하다고 알 수 있었고 어서 우리 나라도 유아교육에 대한 공교육이 하루빨리 이루어졌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선진국의 보육정책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선진국의 보육정책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들었고 적절하게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는 그런 보육정책을 만들었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 영국, 일본, 프랑스와 같은 선진국과 비교하면서 우리 나라가 현재 가지고 있는 많은 보육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뜻 깊었습니다.
추천자료
보육정책 분석
육아보육정책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A+ 레포트)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현황과 개선 방안
우리나라 농어촌의 보육환경 변화에 따른 보육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종류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과제와 전망
현행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각각 제시하여 설명하...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보육정책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한 가지를 선택하여 아래 ...
현재 실시되고 있는 무상보육정책에 대해 개념, 내용, 장단점, 개선방안에 대해 기술.
우리나라 보육정책 서비스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여 보시오
[장애아보육론] 장애아동을 위한 보육정책에서의 개선점과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