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와 사회복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보사회란?
2. 사회복지의 정보화
3. 사회복지 정보화의 필요성
1) 사회복지기관과 시설의 정보화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
2)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정보화
3) 민간 복지자원 동원체계의 정보화
4. 사회복지의 정보화 현황 및 문제점
1) 인터넷, PC통신 가입자 및 이용자 현황
2) 우리나라의 보편적 서비스
3) 사회복지관련 정보통신망
4) 정보화 추진현황에 따른 문제점
5. 앞으로의 발전 방향
1) 사회복지관의 정보네트워크 구축
2) 복지관련 인력의 전문화
3) 자원봉사자의 전문화
4)
5) 2010년 미래상
6) 복지서비스 지식정보화의 비전과 목표

Ⅲ. 결론

본문내용

욕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의 확보는 사회복지관의 성장·발전의 관건이 되고 있다. 지역주민의 보다 전문적인 욕구파악과 평가가 이루어 지도록하여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 ·평가하여 지역주민이 바라는 서비스가 무엇이며, 서비스의 만족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의 재구축,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기법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정보화 시대의 사회복지관의 역할은 정보 콘텐츠(Contents)의 대량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짐을 인식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디지털화를 통한 네트워크를 활용 공유함으로써 부가가치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외 - 통합창구의 필요성, 임상업무 또는 직접서비스 중심의 정보화, 행정업무지원을 위한 정보화, 양질의 정보제공, 정보시스템의 구성
6) 2010년 미래상
http://www.welfare.or.kr/library/복지경영/복지서비스지식정보
복지서비스 지식정보화의 비전 2001년 2월 - 사회복지정보원 사회복지사 한덕연
① 복지서비스 수요자의 입장
② 일반국민의 입장
③ 서비스 공급자 입장
④ 정책/행정담당자의 입장
7) 복지서비스 지식정보화의 비전과 목표
http://www.welfare.or.kr/library/복지경영/복지서비스지식정보
복지서비스 지식정보화의 비전 2001년 2월 - 사회복지정보원 사회복지사 한덕연
① 복지서비스 수요자 측면
복지 정보와 서비스에의 접근성 제고
② 복지서비스 공급자 측면
복지서비스 공급자들이 서비스를 생산,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
③ 시민들 측면
복지활동에의 시민참여를 촉진
④ 정책 및 행정 측면
복지서비스 정책과정 및 행정업무를 효율화
⑤ 지식정보화 기반 측면
복지서비스 지식정보화 기반 조성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정보사회와 관련한 사회복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동시에 정보화가 사회복지에서도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또 앞으로 많은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사회복지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의 정보화가 필연적이라고 본다. 일반 사람들은 사회복지에서도 정보화가 필요한가, 휴먼서비스라는 점에서 굳이 정보화가 필요한가 라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지만 좀 더 효율적이고,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에서도 정보화가 필요한 것이다. 정보의 불평등을 없애고, 모두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그런 정보화 말이다.
사회복지 정보화의 여러 가지 기능들과 필요성, 앞으로의 과제 등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것들을 계기로 사회복지 정보화에 좀 더 관심을 갖기를 바라며, 사회복지 정보화가 하루 빨리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자료
1. http://www.welfare.or.kr/library/복지경영/복지서비스지식정보
복지서비스 지식정보화의 비전 2001년 2월 - 사회복지정보원 사회복지사 한덕연
2. http://education.sangji.ac.kr/~welfare/nomunbooks/99/20.hwp
지역사회복지관의 정보화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 상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이정준
3. http://old.welfare.net/library/welfare_comm/sum_chap4_1.htm
복지통신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보고서
김기훈, 김강민, 한덕연 1995. 12 한국정보문화센터
4. http://education.sangji.ac.kr/%7Ejbsong/jaryo/jaryo/2001/037.htm
전국 사회복지 시설의 정보화 현황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5. http://biho.taegu.ac.kr/~kspark/2000/file/38monseminar.hwp
복지정보통신과 정보 접근권의 이해 김남진
6. http://www.cuk.ac.kr/%7Ewelfare/proposal/review4.hwp
정보화사회와 장애인 복지 - 유명화
7. http://nengjung.kit.ac.kr/~knamij/w09lecture.htm
8. http://education.sangji.ac.kr/%7Ejbsong/jaryo/jaryo/2001/037.htm
9. http://user.chollian.net/~corma/uipad/3-14.html
http://user.chollian.net/~corma/uipad/home.html
- 홈페이지 개설의 취지
의령군행정발전연구회는 지방자치제의 효율적 운영과 무한경쟁시대에 즈음한 세계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행정운영 관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대안을 발굴하 고, 또한 연구하고 토론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공무원의 자질함양과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하여 1995년 5월 12일 창립하였습니다.
10. http://stat.nca.or.kr/main4.php3?page=&number=121 한국전산원 정보화통계
- 지식정보화의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국가사회 정보화를 촉진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대표적인 전문기관입니다. '87년 설립이후 14년 동안 척박한 정보화 토양 에 최초의 씨앗을 뿌린 국가기간전산망사업을 비롯하여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축사업 등 정보화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넓혀준 사업뿐만 아니라 국가사회 정보화 촉진을 위하여 필 요한 여러 가지 일들을 선도적으로 발굴하여 추진함으로써 오늘날 우리나라가 지식정보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해오고 있습니다.
11. 사회복지정보원 - http://welfare.or.kr/
꿈과 열정으로, 땀과 눈물로, 우리는 오늘도 복지인의 길을 간다
12.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음. 2002. 『 또 다른 세상, 또 다른 비전 』. 서울 : 역사넷.
13. 구자순 편저. 2000. 『 인터넷과 사회현실 』.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부.
14. 차대운, 조명래, 정영만, 박유진 공저. 『 21세기 정보사회론 』. 서울 : 형설출판사.
15. 이현조 저. 1997. 『 커뮤니케이션의 유토피아-정보화와 한국인의 삶 』. 서울 : 나남.
16. 김통원 외 공저. 2003. 『 사회복지 웹사이트 』. 서울 :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9.22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