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청소년의 특징
1. 신체적 특징
2. 지적 특징
3. 사회적 특징
4. 정신적 특징
B. 청소년 문화
C. 청소년문제와 교육
1. 청소년의 비행실태
2. 청소년문제의 교육적 과제
1. 신체적 특징
2. 지적 특징
3. 사회적 특징
4. 정신적 특징
B. 청소년 문화
C. 청소년문제와 교육
1. 청소년의 비행실태
2. 청소년문제의 교육적 과제
본문내용
년의 욕구 사이의 불일치
사회적 통제가 너무 경직될 때
결손가정, 주부취업의 증가 등 가정의 훈육적, 교육적 기능의 약화
대중교육과 학력상승
과열경쟁 및 처벌위주의 생활지도 등의 학교교육
심리학적 요인으로는,
願望隔差論
) 원망격차론이란, 개인의 바람과 그리고 능력간의 차이를 뜻하는데, 이 원망격차가 크면 클수록 좌절과 갈등이 커질 뿐 아니라 욕구불만과 적개심이 커져 청소년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韓完相, 「現代社會와 靑年文化」(서울 :法文社, 1973)
(원망격차론, aspiration discrepancy)
자아개념의 혼란
지적능력, 판단력 그리고 분별력 등의 결여
기존의 사회규범과 권위에 대한 비동조적 심리나 반항심, 저항감 등
1. 청소년의 비행실태
비행(delinquency)이란 법적인 의미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쓰여지고 있는 개념이다. 비행은 대체로 법령에 위배되는 반사회적 행동이나 또는 부도덕한 풍기문란 행위 등을 포괄하는 뜻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학생의 경우에는 교칙 위반이나 가출을 비롯하여 학생으로서의 본분에서 벗어난 일탈행동이 비행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많으므로 비행과 일탈행동의 문제를 한데 묶어 하나의 청소년 문제로 다루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청소년 비행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청소년 비행의 추세를 보면 1993년부터 상당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②청소년 비행의 동기를 살펴보면, 우연·利慾(이용)-유흥비 마련-이 있다.
③청소년 비행의 교육정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청소년의 범죄의 54.6%가 고등학교 졸업자→중학교 졸업자→초등학교 졸업자 순으로 보이고 있다.
④청소년 비행의 시기는 계절별로 보아 4∼6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 다음이 7∼9월로 나타났다.
2. 청소년문제의 교육적 과제
①가정에서는 부모, 학교에서는 교사가 청소년을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올바른 인격의 소유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힘써야할 것이다.
②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비교육적 환경, 특히 물적 환경을 개선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③가족의 교육적, 훈육적 기능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④청소년들이 여가를 건전하고도 신나게 보낼 수 있는 대책이 다각도 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⑤지역간에 존재하는 교육격차, 문화격차, 경제격차를 해소함으로써 청소년 들의 불만을 덜어주는 대책이 요청된다.
⑥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아정체성이 확립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사회적 통제가 너무 경직될 때
결손가정, 주부취업의 증가 등 가정의 훈육적, 교육적 기능의 약화
대중교육과 학력상승
과열경쟁 및 처벌위주의 생활지도 등의 학교교육
심리학적 요인으로는,
願望隔差論
) 원망격차론이란, 개인의 바람과 그리고 능력간의 차이를 뜻하는데, 이 원망격차가 크면 클수록 좌절과 갈등이 커질 뿐 아니라 욕구불만과 적개심이 커져 청소년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韓完相, 「現代社會와 靑年文化」(서울 :法文社, 1973)
(원망격차론, aspiration discrepancy)
자아개념의 혼란
지적능력, 판단력 그리고 분별력 등의 결여
기존의 사회규범과 권위에 대한 비동조적 심리나 반항심, 저항감 등
1. 청소년의 비행실태
비행(delinquency)이란 법적인 의미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쓰여지고 있는 개념이다. 비행은 대체로 법령에 위배되는 반사회적 행동이나 또는 부도덕한 풍기문란 행위 등을 포괄하는 뜻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학생의 경우에는 교칙 위반이나 가출을 비롯하여 학생으로서의 본분에서 벗어난 일탈행동이 비행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많으므로 비행과 일탈행동의 문제를 한데 묶어 하나의 청소년 문제로 다루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청소년 비행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청소년 비행의 추세를 보면 1993년부터 상당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②청소년 비행의 동기를 살펴보면, 우연·利慾(이용)-유흥비 마련-이 있다.
③청소년 비행의 교육정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청소년의 범죄의 54.6%가 고등학교 졸업자→중학교 졸업자→초등학교 졸업자 순으로 보이고 있다.
④청소년 비행의 시기는 계절별로 보아 4∼6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 다음이 7∼9월로 나타났다.
2. 청소년문제의 교육적 과제
①가정에서는 부모, 학교에서는 교사가 청소년을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올바른 인격의 소유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힘써야할 것이다.
②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비교육적 환경, 특히 물적 환경을 개선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③가족의 교육적, 훈육적 기능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④청소년들이 여가를 건전하고도 신나게 보낼 수 있는 대책이 다각도 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⑤지역간에 존재하는 교육격차, 문화격차, 경제격차를 해소함으로써 청소년 들의 불만을 덜어주는 대책이 요청된다.
⑥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아정체성이 확립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2011년 2학기 청소년교육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
2016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2 청소년과학교교육]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계획서 2개를 수집한 후, 특기 적성 ...
2016년 2학기 청소년과학교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청소년과학교교육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