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응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향응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하향응의 유년시절과 혁명운동

2) 손문정책 계승과 민권 보장 운동

3) 구국회 활동과 제 2차 국공합작

4) 항일전 승리를 위한 노력

5) 내전 반대와 신중국 건립을 위한 노력

본문내용

게 질책하고 중공의 인민 영도에 대해서는 아주 긍정적인 호응을 했다.
중공중앙의 관심과 요청으로 하향응은 1949년 4월 중순에 북평에 와서 새 정협 준비사업에 참가했고 5월 27일 상해가 해방되었다. 얼마 후 하향응과 송경령은 함께 9월 21일에 개막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1기 전체회의에 참가했다. 하향응은 '중국국민당혁명위원회'를 대표하여 축사를 함으로써 새 정협의 개막을 축하했고 이 회의에서 송경령은 중앙인민정부 부주석으로 당선되고 하향응은 중앙인민정부위원회 위원으로 당선되어 10월 1일 오후, 그들은 함께 천안문 개국대전에 참가했으며, 아울러 기타 중앙인민정부 영도자들과 함께 취임을 선포했다.
신중국이 성립된 후 하향응은 중앙인민정부위원회 위원, 정협전국위원회 부주석, 화교 사무위원회 주임, 중국미술가협회 주석 등의 직책을 역임했다. 그녀는 일상적으로 화교 대표와 외국 귀빈들을 접견하고 국민당의 전직 군정요인들과 친절하게 회견했고 조국의 건설사업에관심을 가지고 여러 차례 공장과 농촌에 가서 사업을 시찰했다. 사업의 와중에서도 그녀는 틈틈이 그림을 그리고 사회주의 조국을 노래하고 공산당의영도를 옹호했으며 단호히 사회주의의 길을 걸었다.
하지만 1970년 하향응이 폐렴으로 입원하게 되었고 송경령과 주은래 등 당과 국가의 영도자들은 여러 차례 병원에 찾아가 문안했으며 빈틈없는 관심과 배려를 보내며 하향응에게 최대한으로 정신적인 위안을 주었지만 1972년 9월 1일 하향응은 9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렇게 하향응은 유복한 환경에서 자라났지만 조국을 위해 그러한 환경도 마다한 채 남편 요중개와 손문을 따라 혁명에 투신했고 1925년 손문과 남편을 잇따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유지의 계승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녀가 가진 이상과 혁명의 실천을 위한 용기, 투쟁정신을 너무나 숭고한 것이었고 이런 투철한 신념과 정신력이 그녀가 혼란한 상황속에서도 조국을 위해 노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리고 오랜 기간 조국을 위해 자신의 목숨도 아까워하지 않았던 하향응의 업적은 역사속에서 만이 아니라 그녀가 살았던 시대속에서도 당과 정부에서 그녀의 추도대회를 거행해 줄 만큼 위대한 것이었다.
하향응은 비록 남편을 일찍 잃어 여자로서는 외로운 삶을 살았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녀의 주위에는 송경령을 비롯한 많은 동지들이 있었기에 여성 정치가, 혁명가로서의 삶은 그 누구 보다도 위대했다고 생각된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26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