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수 -학습방법의 일반론
1. 보건교육의 개념, 목적 및 중요성
2. 학습이론 및 건강교육모델
3. 학습의 본질
4. 보건교육 계획안 작성방법
Ⅱ. 보건교육의 방법 및 학습자료
1. 보건교육 방법
2. 교육자료의 선택
Ⅲ. 7차 교육과정의 이해
1. 7차 교육과정의 특성
2. 신, 구 교육과정의 비교
참고문헌
1. 보건교육의 개념, 목적 및 중요성
2. 학습이론 및 건강교육모델
3. 학습의 본질
4. 보건교육 계획안 작성방법
Ⅱ. 보건교육의 방법 및 학습자료
1. 보건교육 방법
2. 교육자료의 선택
Ⅲ. 7차 교육과정의 이해
1. 7차 교육과정의 특성
2. 신, 구 교육과정의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성
격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기준
○지역 수준의 편성 . 운영 지침
○학교 교육 과정 편성 . 운영의 공통적, 일반적 기준
○교육과정 고시의 법적 근거 명시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학교교육과정의 공통, 일반적 기준
○교육 과정 성격의 명료화
-공통성과 다양성의 추구
-학생 중심 교육 과정
-학교 교육 체제의 개선
-교육의 질적 수준 유지, 관리
○국가 수준 기준으로서의 성격과 법적 근거 제시
○국가, 시 . 도교육청, 지역 교육청, 학교의 역할, 기능 부여
구분
제 6차 교육 과정
제 7차 교육 과정
비 고
교육
과정
의
구성
방침
○도덕성과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 시민 육성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 개발
○개성, 능력, 요구를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교육 과정 편성 . 운영 체제 개선, 교육의 질 관리 강화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는 기본 능력 육성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 과정 도입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교육 과정 편성 . 운영의 자율성 확대
○교육 과정 평가 체제 확립,
교육의 질 관리 강화
○제7차 교육 과정 구성의 기본 원칙을 구체화하여 제시
편
제
와
시
간
(단
위)
배
당
기
준
○학교 급별 개념에 의한 교육 과정 체제
-초등 학교 별도 구성
-중학교별도 구성
-고등 학교 별도 구성
○학년제 개념에 기초한 일관성 있는 구성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초1∼ 고1까지의 10년간)
-선택 중심 교육 과정(고교 2, 3 학년의 2년간)
○학교 급별 개념에서 탈피, 학년제 또는 단계 개념에 기초한 일관성 있는 체제
○편제의 영역
-초등 학교: 교과, 특별 활동, 학교 재량 시간
-중등학교:교과, 특별 활동
○편제의 영역
-중학교: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
-국민 공통 기본 교과:10교과
○재량 활동의 신설 및 확대
○교육 현장의 자율, 재량권 확대
○중학교의 교과
-필수 교과:11
-선택 교과: 3
○중학교의 교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0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생활 외국어'과목 신설
○기술 . 산업, 가정 교과의 통합
-'기술 . 가정': 남녀 공통 이수
○세계화, 개방화에 대응하는 외국어 교육의 강화
○이수 교과목 수의 축소 조정
편
제
와
시
간
(단
위)
배
당
기
준
○고등 학교의 교과
-공통 필수 과목: 10
-선택 교과: 60
○교육부, 시 . 도, 학교의 역할 분담
○과정 구분
-인문 . 사회, 자연, 직업 및 기타 과정
○제 2외국어: 7개 과목
○전문 교과
-농업, 공업, 상업, 수산 . 해운, 가사 . 실업,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에 관한 교과
○고등 학교의 교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0(1)
-선택 과목: 79
○학생의 과목 선택권 부여
-학생 선택: 최대 50%
○과정 구분 폐지
○'아랍 어' 과목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교과군 개념 도입
○'국제에 관한 교과'신설
○'예술에 관한 교과' 에 문예 창작과, 연극 영화과, 사진과 신설
○학생 선택의 폭 확대를 위한 다양한 선택 과목 개설
○다양한 유형의 학생 개인별 선택 가능
○세계화에 부응하여 제 2 외국어 교육의 다양화
○학습자의 진로안내
○국제 계열 고교의 신설에 대비
○특성화 교육
편성
과
운영
의
지침
○편성
-시. 도교육청, 학교의
역할, 기능 제시 구분
○운영
-시. 도교육청, 학교의
역할, 기능 제시 구분
○기본 지침별도 제시
○편성, 운영 지침
-지역 교육청의 역할, 기능 부여
-초.중. 고등학교의 공통지침과 학교급별 지침 구분 제시
○국가, 시 도, 지역 교육청, 학교에서의 편성, 운영의 역할 분담 명료화
○독서 교육 강화 항목 명시
교
육
과
정
의
구
성
체
제
<고시문>
<총론>
제1장 교육과정 편성, 운영
1, 교육 과정의 편성, 운영
2. 교육 과정의 구성 방침
3. 편제
4. 시간(단위)배당 기준
5. 편성 . 운영의 기본 지침
제2장 교과와 특별 활동
1. 교과
가. 보통 교과
나. 전문 교과
2. 특별 활동
<고시문>
<교육 과정의 성격>
<총론>
제1장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1. 교육 과정의 구성 방향
2. 학교 급별 교육 목표
3. 편제와 시간(단위)배당
기준
4. 교육 과정의 편성. 운영 지침
○국가수준기준체제정비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성격 명시
○다면적인 인간상 제시
○학교 급별 교육목표와 교육 중점 제시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 과정 체제 도입
○교육 과정 편성 . 운영의 기본 지침 제시
○시. 군. 구 지역 교육청의 역할 부여
○교육과정평가체제확립
교
육
과정의
구성
체제
<각 론>
1. 성격
2. 목표
3. 내용
가. 내용 체계
나. 내용
4. 방법
5. 평가
제2장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 국민 공통 기본 교과
2.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 과목
3. 특별 활동
제3장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1. 보통 교과
2. 전문 교과
※각론 구성 요소
1. 성격 2. 목표 3. 내용
가. 내용 체계
나. 학년(단계)별 내용
4. 교수. 학습 방법 5. 평가
○초 . 중 . 고를 하나로 묶어서 일관성 있게 구성
○학생 선택의 폭 확대
○국제에 관한 교과신설
○내용 중심에서 탈피하여 성취 목표(능력) 중심의 교육 과정 구성
○수준별 교육 과정의 도입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상세한 지침 제시
참고문헌
남현철(1998),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박형종, 김공현 등(1997), 보건교육: 계획, 행동이론, 평가를 중심으로, 신광출판사
서문자, 박영임, 유재순, 김인자(2000),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수문사
이갑순(1998), 건강교육: 간호과정의 적용, 현문사
교육부고시 제1997-15(별책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교육부
교육부고시 제1997-15(별책3),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교육부
Stanhope, Lancaster(1996), Community health nursing; Promoting health of aggregates, families and individuals, 4th. Mosby.
성
격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기준
○지역 수준의 편성 . 운영 지침
○학교 교육 과정 편성 . 운영의 공통적, 일반적 기준
○교육과정 고시의 법적 근거 명시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
-학교교육과정의 공통, 일반적 기준
○교육 과정 성격의 명료화
-공통성과 다양성의 추구
-학생 중심 교육 과정
-학교 교육 체제의 개선
-교육의 질적 수준 유지, 관리
○국가 수준 기준으로서의 성격과 법적 근거 제시
○국가, 시 . 도교육청, 지역 교육청, 학교의 역할, 기능 부여
구분
제 6차 교육 과정
제 7차 교육 과정
비 고
교육
과정
의
구성
방침
○도덕성과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 시민 육성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 개발
○개성, 능력, 요구를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교육 과정 편성 . 운영 체제 개선, 교육의 질 관리 강화
○사회적 변화를 주도하는 기본 능력 육성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 과정 도입
○교육 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
○능력, 적성, 진로를 고려한 교육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
○교육 과정 편성 . 운영의 자율성 확대
○교육 과정 평가 체제 확립,
교육의 질 관리 강화
○제7차 교육 과정 구성의 기본 원칙을 구체화하여 제시
편
제
와
시
간
(단
위)
배
당
기
준
○학교 급별 개념에 의한 교육 과정 체제
-초등 학교 별도 구성
-중학교별도 구성
-고등 학교 별도 구성
○학년제 개념에 기초한 일관성 있는 구성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초1∼ 고1까지의 10년간)
-선택 중심 교육 과정(고교 2, 3 학년의 2년간)
○학교 급별 개념에서 탈피, 학년제 또는 단계 개념에 기초한 일관성 있는 체제
○편제의 영역
-초등 학교: 교과, 특별 활동, 학교 재량 시간
-중등학교:교과, 특별 활동
○편제의 영역
-중학교: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
-국민 공통 기본 교과:10교과
○재량 활동의 신설 및 확대
○교육 현장의 자율, 재량권 확대
○중학교의 교과
-필수 교과:11
-선택 교과: 3
○중학교의 교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0
○중학교 재량 활동의 선택 과목
-'생활 외국어'과목 신설
○기술 . 산업, 가정 교과의 통합
-'기술 . 가정': 남녀 공통 이수
○세계화, 개방화에 대응하는 외국어 교육의 강화
○이수 교과목 수의 축소 조정
편
제
와
시
간
(단
위)
배
당
기
준
○고등 학교의 교과
-공통 필수 과목: 10
-선택 교과: 60
○교육부, 시 . 도, 학교의 역할 분담
○과정 구분
-인문 . 사회, 자연, 직업 및 기타 과정
○제 2외국어: 7개 과목
○전문 교과
-농업, 공업, 상업, 수산 . 해운, 가사 . 실업, 과학, 체육, 예술, 외국어에 관한 교과
○고등 학교의 교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 10(1)
-선택 과목: 79
○학생의 과목 선택권 부여
-학생 선택: 최대 50%
○과정 구분 폐지
○'아랍 어' 과목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교과군 개념 도입
○'국제에 관한 교과'신설
○'예술에 관한 교과' 에 문예 창작과, 연극 영화과, 사진과 신설
○학생 선택의 폭 확대를 위한 다양한 선택 과목 개설
○다양한 유형의 학생 개인별 선택 가능
○세계화에 부응하여 제 2 외국어 교육의 다양화
○학습자의 진로안내
○국제 계열 고교의 신설에 대비
○특성화 교육
편성
과
운영
의
지침
○편성
-시. 도교육청, 학교의
역할, 기능 제시 구분
○운영
-시. 도교육청, 학교의
역할, 기능 제시 구분
○기본 지침별도 제시
○편성, 운영 지침
-지역 교육청의 역할, 기능 부여
-초.중. 고등학교의 공통지침과 학교급별 지침 구분 제시
○국가, 시 도, 지역 교육청, 학교에서의 편성, 운영의 역할 분담 명료화
○독서 교육 강화 항목 명시
교
육
과
정
의
구
성
체
제
<고시문>
<총론>
제1장 교육과정 편성, 운영
1, 교육 과정의 편성, 운영
2. 교육 과정의 구성 방침
3. 편제
4. 시간(단위)배당 기준
5. 편성 . 운영의 기본 지침
제2장 교과와 특별 활동
1. 교과
가. 보통 교과
나. 전문 교과
2. 특별 활동
<고시문>
<교육 과정의 성격>
<총론>
제1장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1. 교육 과정의 구성 방향
2. 학교 급별 교육 목표
3. 편제와 시간(단위)배당
기준
4. 교육 과정의 편성. 운영 지침
○국가수준기준체제정비
○학생중심 교육과정의 성격 명시
○다면적인 인간상 제시
○학교 급별 교육목표와 교육 중점 제시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 과정 체제 도입
○교육 과정 편성 . 운영의 기본 지침 제시
○시. 군. 구 지역 교육청의 역할 부여
○교육과정평가체제확립
교
육
과정의
구성
체제
<각 론>
1. 성격
2. 목표
3. 내용
가. 내용 체계
나. 내용
4. 방법
5. 평가
제2장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 국민 공통 기본 교과
2.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 과목
3. 특별 활동
제3장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1. 보통 교과
2. 전문 교과
※각론 구성 요소
1. 성격 2. 목표 3. 내용
가. 내용 체계
나. 학년(단계)별 내용
4. 교수. 학습 방법 5. 평가
○초 . 중 . 고를 하나로 묶어서 일관성 있게 구성
○학생 선택의 폭 확대
○국제에 관한 교과신설
○내용 중심에서 탈피하여 성취 목표(능력) 중심의 교육 과정 구성
○수준별 교육 과정의 도입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상세한 지침 제시
참고문헌
남현철(1998),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박형종, 김공현 등(1997), 보건교육: 계획, 행동이론, 평가를 중심으로, 신광출판사
서문자, 박영임, 유재순, 김인자(2000),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수문사
이갑순(1998), 건강교육: 간호과정의 적용, 현문사
교육부고시 제1997-15(별책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교육부
교육부고시 제1997-15(별책3),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교육부
Stanhope, Lancaster(1996), Community health nursing; Promoting health of aggregates, families and individuals, 4th. Mosby.
추천자료
[보건교육] 보건교육사 제도의 현황에 대한 분석 레포트
[보건교육A] 중년(노년)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 : 사회...
[보건교육A형 4학년]초중고학생의 게임중독증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모...
방통대 간호/환경4학년 보건교육 A형 :초중고학생의 게임중독증에 대한 보건교육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보건교육 C형] 초중고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보건교육
[보건교육 B형] 생애전환기대상인구(40대 이상)의 건강검진에 대한 보건교육 - 건강검진
[보건교육B형]생애전환기대상인구(40대이상)의 건강검진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
[보건교육] 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DE 모...
[보건교육실습] 대상포진 - 대상포진 보건교육.pptx
방통대 보건교육 B형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하여 생애전환기대상인구(40대이상)의 건...
[2017년 보건교육A형]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보건교육 -인구 사회적 특성을 상세...
[보건교육 D형] 노인의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보건교육
초/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건교육 B형 집단따돌림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
보건교육 B형 고등학생 대상, 그린의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한 집단따돌림 보건학습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