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에 관하여(뉴런과 시냅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계에 관하여(뉴런과 시냅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신경계란?

2.신경계의종류

3.신경계의 구성

4.뉴런

5.뉴런의 분류

6.지지세포

7.슈반초와 수초

8.축삭의 전기적 활동

9.신경자극의 전도

10.시냅스

11.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

12.시냅스총합

본문내용

달물질이 시냅스를 통과하여 자극을 전도하는 경우이다.
(과정)
축삭종말에 활동전위 도달->축삭 종말에 위치한 Ca2+채널열림-> Ca2+ 이온이 축삭종말안으로 들어옴->확산된 Ca2+ 이온으로 인해 신경전달물질을 담은 소포가 축삭막과 융합-> 세포외 유출을 통해 신경물질들이 시냅스 후 막 즉 다음뉴런으로 전달됨.
(cf)
EPSP: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후막의 이온채널을 열어 생성되는 탈분극
IPSP :시냅스 후막이 더욱 음성화되어 일어나는 과분극
11.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Ach)
신경전달물질 중 가장 대표적인 아세틸콜린 즉 Ach은 시냅스 후 세포체내로 운반되지 않고 시냅스 후막의 Ach수용체와 결합하여 Na+와 ka+의 막투과성을 조절하는 게이트를 열어 이온채널이 열리게 한다.
①Ligand(신경전달물질)-Operated 채널
이온채널이 수용체 자체에 존재하므로 리간드와 수용체가 결합하면 이온채널 열림
ACh와 니코틴성 ACh 수용체의 결합 → Na+, K+이온채널 열림
②G-Protein Operated 채널
무스카린성 ACh수용체는 이온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음. 따라서 이 경우엔 G-단백질의 중재작용을 통해 이온채널을 연다.
(cf)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AChE)
자극이 계속되서 전도됨을 방지하는 물질로 시냅스 틈새의 Ach를 불활성화 시킴
*장기상승작용(LTP)
시냅스 전달로 인한 흥분성이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장기기억화에 관여한다
*시냅스 억제
많은 신경전달물질들은 시냅스 후 막을 탈분극 시키지만 약간의 신경전달물질은 정반대의 과분극을 일으켜 정반대의 작용을 한다.
(예:GABA, 글리신)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0.3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