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개념과 본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교육의 개념
1. 교육이란 말의 어원(語源)
2. 교육에 대한 정의(定義)
(1) 기능적 정의(functional definition)
(2) 규범적 정의(normative definition)
(3)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4) 피터스의 준거적 정의

제 2절 교육의 목적
1. 목적의 의미
2.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1) 내재적 목적
(2) 외재적 목적
3) 오코너(O' Connor)의 교육목적론
4) 훅(S. Hook)의 교육목적론

제 3절 교육의 정당화
1. 교육의 정당화의 의미
2. 수단적 정당화와 비수단적 정당화

제 4절 교양교육
(1) 허친스(R. M. Hutchins)의 교양교육이론
(2) 하버드 보고서에 담긴 교양교육이론
(3) 허스트(P. H. Hirst)의 교양교육이론

제 4절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1. 교육학의 성립과정
1) 교육학이란 용어의 유래
2) '학'(학문)으로서의 성립과정
2. 교육학에 관한 논쟁들
1) 논쟁 1: 교육학은 응용과학인가 아니면 독립과학인가?
2) 논쟁 2: 교육학은 규범과학인가 경험과학인가?
3. 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1) 교육학의 모형
2) 교육학의 분야

본문내용

우선 그는 보고서의 전편에 나오는 개념들이 애매하고 모호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하버드보고서는 교양교육의 개념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함으로써 지식의 추구라는 교양교육 본래의 개념을 모호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 R.D. Archambault(ed). Philosophical Analysis and Education(London: RKP, 1965), pp. 116-119.
허스트에 있어서 교양교육은 지식의 형식(forms of knowledge)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지식을 얻는다는 것은 합리적 정신을 믿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에게 있어 어떤 개념적 구조의 형식 하에서 구조화된 경험을 얻는 것이 곧 지식이요 합리적 정신이기 때문이다. 결국 교양교육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지식의 형식들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지식의 형식을 소유함으로써 우리는 비교적 복잡한 성격을 띠고 있는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볼 수 있게 된다(신득렬, 교육철학, 대구: 학문사, 1981, pp. 233-251 참조).
제 4절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1. 교육학의 성립과정
1) 교육학이란 용어의 유래
교육학(pedagogics; pedagogy of education)이란 용어는 고대 그리스에서 아동을 학교에 데 리고 다니면서 예절, 몸가짐, 말씨, 행동 등을 지도하던 'paidugous'(敎僕)에서 유래함. 이 어원에 의하면 교육학이란 "아동을 지도하기 위한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하지만 오늘날교육학은 훨씬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 예컨대 한기언 교수는 교육학을 정의하기를, "인간형성을 대상으로 삼는 자율적인 종합과학"이라고 규정하였다.
2) '학'(학문)으로서의 성립과정
o 역사적으로 교육학이 처음 문헌으로 선을 보인 것은 17세기 초의 라스케(M. H. Rathke)의 『교 수의 방법』과 코메니우스(J. A. Comenius)의 『대교수학』에서였다. 이들은 교육의 본질, 목적, 학교제도, 내용, 방법 등의 영역을 다루고 있으나 어디까지나 가장 관심사는 교수방법론에 있었다.
o 1779년 헬레(Helle)대학의 트렙(E. C. Trapp)에 의해 교육학 강좌가 처음으로 개설됨--> 이것은 학계에서 인정받은 최초의 교육학 강좌였음.
o 교육학을 하나의 독립과학으로서 체계화시킨 사상가는 독일의 헤르바르트(Herbart)였다. 그는 『일반교육학』이란 저서에서 교육목적을 철학으로부터, 교육방법을 심리학으로부터 끌어들여 교육학의 체계를 완성함. 그러나 그의 교육학에 대한 접근법은 여전히 사변적이 었음.
2. 교육학에 관한 논쟁들
1) 논쟁 1: 교육학은 응용과학인가 아니면 독립과학인가?
(1) 응용과학의 입장: - 헤르바르트가 교육학을 하나의 학으로 성립을 시켰지만 그의 교육 학은 응용과학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육의 목적은 윤리학의 연구대상인 "도덕적 품성의 도야"에 두었고, 이 도야의 방법을 심리학에서 찾았기 때문에 그의 교육학은 심리학과 윤리학의 응용과학으로 볼 수밖에 없다.
- 나토르프(P. Natorp)는 교육목적을 도덕, 과학, 예술의 조화로운 발전에 두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윤리학, 논리학, 미술이 그 기초과학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역시 교육학을 응용과학으로서 이해했다고 볼 수 있다.
(2) 독립과학의 입장:- 모이만(E. Meumann)은 [실험교육입문강의]에서 교육학이 여러 가 지 기초과학과 보조과학을 가지고 성립하긴 했으나, 이 때문에 학 문의 독립성(독자성)이 손상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 크리크(E. Krieck)는 교육의 본질이 명백하고, 교육이라는 사실을 성립케 하는 법칙과 교육과정이 뚜렷하여 독자적인 연구대상과 목 적, 방법이 있기 때문에 교육학은 독립과학으로서 '교육과학'이라고 주장---> 오늘날 교육학은 이상과 같은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립과학으로서 자율성을 확보하고 있다(독립된 연구영역,
독자적인 연구목적, 독자적인 연구방법을 구비함)
2) 논쟁 2: 교육학은 규범과학인가 경험과학인가?
(1) 국내에서의 논쟁: - 鄭範謨의 주장: 학문마다 독특한 영역과 탐구방법이 있는데도 교육학만이 과학도 아니고, 철학도 아니고, 문학도 아닌 어중간한 상태로 머물러야 할 이유가 없다. 교육학이 다루는 현상이 경험과학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고, 통제될 수 있는 현상인한 교육학도 경험과학으로서 지위를 가질 수 있다.
- 李奎浩의 주장: 교육학을 경험과학 내지 행동과학으로 규정하려는 것은 위험하다고 주장.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이 서로 대립하여 한 쪽이 다른 한쪽을 배척하는 것은 이념과 방법 사이의 갈등을 내면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 따라서 교육학은 철학과 과학이가지고 있는 성격과 장점을 통합적 관점에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
(2) 외국에서의 논쟁: 교육학은 교육이라는 실제적 활동을 하는데 응용되는 이론을 말함. 이 관점에서 보면, 교육은 '실제'(practice)를 가리키는 반면에 교육학은 '이론'(theory)을 가리킨다. 이 입장에 대해 오코너와 허스트는 다른 견해를 피력한다.
- 오코너(O'Connor)에 의하면, 교육이론서나 교육사상사에 나타난 진술에는 형이상학적 진술, 가치판단적 진술, 경험적 진술 등이 있는데 이 진술들은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이론으로서 자격을 갖지 못한다는 것.
- 허스트(P. H. Hirst)는 오코너가 형이상학적 신념이나 도덕적 가치를 과소평가하였다고 비판하고, 교육이론의 통합성을 강조함. 즉 교육이론 안에 가치진술과 사실진술을 모두 포함시켜야 한다고 봄.
3. 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1) 교육학의 모형: 정범모에 의하면,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라는 교육본질에 어느 정도 직접 관계하는가에 따라,
제 1층: 교육이론: 교수이론(교사·교수이론, 교과이론, 학생학습이론, 상호작용이론)
제 2층: 교육상황이론(학교환경이론, 사회환경이론)
제 3층: 교육이론(교육목적이론, 교육평가이론)
2) 교육학의 분야: 교육철학, 교육사, 비교교육학,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 교육행정학, 교육경제학, 교육재정학, 교육인류학, 교육공학, 교육환경학 등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0.0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