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opharyngeal Ca. pneumoni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ypopharyngeal Ca. pneumon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일반적 사항

2.병력

3.입원경과

4.환자에게 제공되는 치료와 간호활동

5.투약내용

6.임상소견

7.문헌고찰

8.간호과정

본문내용

, 근육피판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할 수 있다. 수술시 병변의 상방은 2cm, 하방은 6cm 이상의 절제연을 두는 것이 원칙이다.방사선 치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근치적 목적으로 총 7000 rad의 양을 7주 동안 조사할 수 있다. 수술 전·후에 나누어 조사하는 방법도 있다. 잠복 경부전이율은 20% 정도로 이상와암은 진단시 60%에서 경부전이가 관찰된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양측성 경부청소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7. 간호과정
1) 간호사정
ABGA상 PH 7.25 lung sound상 마찰음 들림.
PCO2 100 suction시 oro, nasal secreation 양상 bloody 중량.
PO2 69.8 pneumonia로 Rt.lower lung hazz~
HCO3 42
02 saturation 90%
2) 간호진단
: 폐포-모세혈관막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 간호목표
:환자의 호흡수가 정상이다.
환자의 동맥혈 가스분압이 정상이다.
4) 간호계획 및 수행(5월23일)
활력징후를 측정한다.(호흡,맥박을 중심으로)
동맥혈 가스, 전해질 수치를 모니터한다.
조직의 산소공급 결정인자를 모니터한다.( PaO2 , SaO2 , Hb . 심박출량)
호흡기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킨다.(Rt. up <-> Lt. up)
(position change 시 back massage수행함)
인공호흡기를 적용 시 충분한 습기를 제공한다.
인공호흡기에 물이 차지 않도록 하고, line을 잘 관리한다.
필요시 기관내나 비기관 흡인을 수행한다.(수시로 수행함)
1) 간호사정
IV route, A-line, C-line, Jame's tube, Foley catheter, C-tube 삽입, Ventilator
C-tube 제거한 부위 oozing
WBC 3600, CRP 23.02, Hb 8.8
T. protein/albumin: 5.7/2.6
2) 간호진단
: 부적절한 방어체계, 침습적인 기구사용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간호목표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상범위의 활력징후를 유지한다.
기구 삽입 부위가 깨끗하고 화농성 배액이 없다.
4) 간호 계획 및 수행 (5월 23일)
①매 시간 Vital check를 수행 한다.
(vital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110/60-90-24-36.5)
외과적 절개부위와 기구삽입부위를 시진한다.(c-tube제거부위 oozing)
간호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을 씻는다.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Maxipime,Citocin,Vancomycin)
무균적으로 Suction을 수행하고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한다.(bloody하게 중량)
tracheostomy site dressing을 매 duty 마다 교환한다.(이상 없음)
발적 or pus 등의 분비물이 있는지 살피고 있을 경우 성상을 관찰하여 기록한다.
monitoring
(CBC, 균 배양 검사)
부종이 있는 부위에 적절한 피부 관리를 제공한다.
충분한 영양섭취를 제공한다.
환자관리장비를 교환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07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