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양 끝을 잘라 작은 지붕면을 만든 것을 박공지붕이라한다.
다) 모임지붕
지붕마루에서 네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으로 주택 등에 적용한다.
라) 방형지붕
지붕 중앙에서 네 귀방향으로 경사진 지붕이다.
마) 합각지붕
박공지붕의 양 옆에 모임지붕 단부의 경사면을 붙여 댄 지붕이다.
바) 꺾인지붕
박공지붕면을 중앙점에서 꺾어 상하 경사 물매를 차이지게 한 지붕이다.
사) 평지붕
지붕을 평평하게 하여 지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지붕이다.
아) 솟을지붕
지붕 위에 또 다른 작은 지붕을 만든 것으로 채광·환기 등을 위하여 설계한 지붕이다.
자) 톱날지붕
외쪽지붕이 연속되어 톱날 같은 형태를 갖춘 것으로 공장 규모가 큰 지붕의 채광·환기의 목적으로 설계 되어진다.
차) 맨사드 지붕
모임지붕을 꺾어 지붕 속을 고미다락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든 지붕이다.
카) 눈썹지붕
외쪽지붕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접어 한쪽 지붕면은 길게, 다른 면은 짧게 한 지붕이다.
2. 지붕틀
지붕의 모양에 맞추어 구조체를 만든 것으로, 지붕의 하중을 받아 기둥에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지붕틀 구조는 한식·양식·절충식 등이 있으나 절충식과 양식지붕틀 구조만을 설명한다. 1) 절충식 지붕틀 구조
절충식 구조는 처마도리에 지붕보를 걸고 그 위에 동자기둥과 대공을 세워 중도 리·마루T대를 걸쳐대고 서까래를 받게 한 지붕틀이다. 이 구조는 작업이 단순하고 공사비가 적게 들므로 기둥간격 6m 이하의 소규모 건물에 적용한다. 그러나 지붕의 하중은 수직재를 통하여 지붕보에 전달하므로 큰 휨이 발생하므로 구조적으로는 불리하지만, 하중을 벽체에 분산시키면 경제적인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가) 지붕보(tie beam)
지붕보는 기둥 위의 처마도리에 1.8m 정도의 간격으로 걸쳐대고 지붕의 하중을 처마도리와 기둥에 전달한다. 지붕보는 통나무를 사용하고, 처마도리 위에 걸침턱 주먹장 걸침으로 하고, 주걱볼트로 지붕보와 처마도리를 연결하며, 크기는 간사이 3m에 끝마구리 지름 12㎝ 정도이면 가능하다.
나) 귀잡이보
수평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모서리와 처마도리와 간막이도리가 만나는 부분에 45도 방향으로 댄 것을 귀잡이보라 한다. 귀잡이보는 처마도리·간막이도리 및 박공보에 빗턱통 넣고, 통나무 지붕보에는 빗턱통 넣고 볼트죔을 한다.
다) 동자기둥·대공
지붕보 위의 중간에 기둥을 세워 중도리를 지지하는 것을 동자기둥이라 하고, 보의 중앙에 세워 마룻대를 지지한는 것을 대공이라 한다. 동자기둥 상부는 중도리에 긴 장부맞춤, 대공 상부에는 마루대에 긴 장부맞춤으로 하여 산지치기 또는 벌림쐐기치기로 한다.
라) 중도리·마루대
동자기둥 위에 처마도리와 같이 걸쳐대어 서까래 또는 지붕널을 받는 것을 중도리라 하며, 마룻대는 용마루의 중도리를 말하며, 크기는 중도리와 마룻대는 같은 단면을 사용한다. 중도리 이음은 동자기둥 중심에서 턱걸이 주먹장이음으로 하고, 마룻대 이음은 대공 중심에서 내민 엇걸이 산지이음으로 하되 중도리 이음위치와 엇갈리게 해야 한다.
마) 지붕꿸대·지붕가새·도리방향가새
지붕꿸대는 지붕틀을 고정 시키고 동자기둥과 대공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간을 연결하는 부재를 말하며, 따라서 지붕보 연결재는 지붕의 내풍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도리방향 가새 및 지붕가새를 보강하기 위한 보방향 가새를 사용한다.
바) 종보
지붕 경사 및 간사이가 클 때에는 동자기둥·대공이 길게 되므로 이들을 짧게하거나, 지붕속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짧은 동자기둥·대공을 설치하는 데 이를 종보라 하고, 종보 하부는 창고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방을 고미다락(attic room)이라 한다.
사) 지붕 귀의 구조
박공지붕은 동일한 구조의 지붕틀을 나란하게 놓고 그 위에 처마도리·중도리·마룻대를 박공면에서 45㎝ 정도 내밀어 박공처마와 지부을 구성하는 단순 구조이며, 모임지붕 일 때 지붕 모서리는 다음과 같다.
a) 우미량(牛尾樑)
모임지붕의 지붕귀에는 동자기둥·대공을 세울 수 있는 지붕보를 배치해야한다. 따라서 지붕의 귀를 설치하는 보를 짧게 하여 설치하는 데 이때 동자기둥·대공을 받게 하는 짧은 보를 우미량이라 한다. 우미량은 박공보·처마도리에 턱걸이 두겁주먹장 맞춤으로 하여 주걱볼트로 죄고, 지붕보에는 걸침턱으로 걸치고 양면에 엇꺾쇠를 한다.
b) 추녀
모임지붕에서 중도리가 직각으로 만나는 귀에 마룻대에서 처마도리까지 걸치고 귀서까래를 받는 부재를 추녀라 하며 윗면은 지붕물매에 맞추어 ∧자형으로, 지붕골에 사용하는 것은 회첨추녀라 하며 ∨자형으로 깎는다. 추녀의 이음은 중도리 중심에서 턱걸이 주먹장이음하여 꺾쇠로 보강한다. 추녀의 물매는 보의 1/2 간사이의 대각선 수평길이가 밑변이 되고 처마도리에서 마룻대까지의 수직거리가 높이가 되므로 평물매보다 완만하게 되고, 추녀물매에서 처마 끝까지의 길이가 추녀의 길이가 된다.
아) 서까래
지붕널을 덮을 수 있도록 경사 방향에 마룻대에서 처마도리까지 걸쳐 댄 것으로, 단면은 5㎝ 각재를 45㎝ 간격으로 배치하고, 처마도리·중도리·마룻대에 빗이음 못박기하며, 이음의 위치는 엇갈리게 한다.
자) 지붕널
기와를 덮을 수 있도록 서까래 위에 까는 널을 지붕널이라 하며, 서까래가 45㎝ 정도일때는 널두께 12㎜ 정도로 하며, 이음은 서까래 위에서 뱌?턱·빗쪽매로 하며 이음의 위치는 엇갈리게 하고, 지붕널은 맞댄쪽매로 한다.
2) 양식 지붕틀 구조
경골지붕틀은 약식 비붕틀 ·본식 지붕틀으로 나누어지며, 정식 지붕틀은 왕대공지붕틀·쌍대공지붕틀로 구분된다.
가) 경골 지붕틀
경골 지붕틀은 규모가 작은 건물·경골조 건물의 지붕틀로 목재는 10x5㎝, 10x15㎝ 각 등의 표준치수를 사용하고, 접합법은 간단하며 철물로 보강처리 한다.
a) 약식 지붕틀
맞댄 지붕틀·외쪽 지붕틀로 규모가 작은 건물에 적용되며, 박공지붕은 서까래를 수직으로 잘라 마룻대 옆면에 못박고, 서까래 윗면에 연결쇠를 써서 튼튼하게 결속한다. 지붕 간사이가 큰 것은 중간 지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b) 본식 지붕틀
평보·
다) 모임지붕
지붕마루에서 네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으로 주택 등에 적용한다.
라) 방형지붕
지붕 중앙에서 네 귀방향으로 경사진 지붕이다.
마) 합각지붕
박공지붕의 양 옆에 모임지붕 단부의 경사면을 붙여 댄 지붕이다.
바) 꺾인지붕
박공지붕면을 중앙점에서 꺾어 상하 경사 물매를 차이지게 한 지붕이다.
사) 평지붕
지붕을 평평하게 하여 지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지붕이다.
아) 솟을지붕
지붕 위에 또 다른 작은 지붕을 만든 것으로 채광·환기 등을 위하여 설계한 지붕이다.
자) 톱날지붕
외쪽지붕이 연속되어 톱날 같은 형태를 갖춘 것으로 공장 규모가 큰 지붕의 채광·환기의 목적으로 설계 되어진다.
차) 맨사드 지붕
모임지붕을 꺾어 지붕 속을 고미다락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든 지붕이다.
카) 눈썹지붕
외쪽지붕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접어 한쪽 지붕면은 길게, 다른 면은 짧게 한 지붕이다.
2. 지붕틀
지붕의 모양에 맞추어 구조체를 만든 것으로, 지붕의 하중을 받아 기둥에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지붕틀 구조는 한식·양식·절충식 등이 있으나 절충식과 양식지붕틀 구조만을 설명한다. 1) 절충식 지붕틀 구조
절충식 구조는 처마도리에 지붕보를 걸고 그 위에 동자기둥과 대공을 세워 중도 리·마루T대를 걸쳐대고 서까래를 받게 한 지붕틀이다. 이 구조는 작업이 단순하고 공사비가 적게 들므로 기둥간격 6m 이하의 소규모 건물에 적용한다. 그러나 지붕의 하중은 수직재를 통하여 지붕보에 전달하므로 큰 휨이 발생하므로 구조적으로는 불리하지만, 하중을 벽체에 분산시키면 경제적인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가) 지붕보(tie beam)
지붕보는 기둥 위의 처마도리에 1.8m 정도의 간격으로 걸쳐대고 지붕의 하중을 처마도리와 기둥에 전달한다. 지붕보는 통나무를 사용하고, 처마도리 위에 걸침턱 주먹장 걸침으로 하고, 주걱볼트로 지붕보와 처마도리를 연결하며, 크기는 간사이 3m에 끝마구리 지름 12㎝ 정도이면 가능하다.
나) 귀잡이보
수평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모서리와 처마도리와 간막이도리가 만나는 부분에 45도 방향으로 댄 것을 귀잡이보라 한다. 귀잡이보는 처마도리·간막이도리 및 박공보에 빗턱통 넣고, 통나무 지붕보에는 빗턱통 넣고 볼트죔을 한다.
다) 동자기둥·대공
지붕보 위의 중간에 기둥을 세워 중도리를 지지하는 것을 동자기둥이라 하고, 보의 중앙에 세워 마룻대를 지지한는 것을 대공이라 한다. 동자기둥 상부는 중도리에 긴 장부맞춤, 대공 상부에는 마루대에 긴 장부맞춤으로 하여 산지치기 또는 벌림쐐기치기로 한다.
라) 중도리·마루대
동자기둥 위에 처마도리와 같이 걸쳐대어 서까래 또는 지붕널을 받는 것을 중도리라 하며, 마룻대는 용마루의 중도리를 말하며, 크기는 중도리와 마룻대는 같은 단면을 사용한다. 중도리 이음은 동자기둥 중심에서 턱걸이 주먹장이음으로 하고, 마룻대 이음은 대공 중심에서 내민 엇걸이 산지이음으로 하되 중도리 이음위치와 엇갈리게 해야 한다.
마) 지붕꿸대·지붕가새·도리방향가새
지붕꿸대는 지붕틀을 고정 시키고 동자기둥과 대공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간을 연결하는 부재를 말하며, 따라서 지붕보 연결재는 지붕의 내풍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도리방향 가새 및 지붕가새를 보강하기 위한 보방향 가새를 사용한다.
바) 종보
지붕 경사 및 간사이가 클 때에는 동자기둥·대공이 길게 되므로 이들을 짧게하거나, 지붕속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짧은 동자기둥·대공을 설치하는 데 이를 종보라 하고, 종보 하부는 창고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방을 고미다락(attic room)이라 한다.
사) 지붕 귀의 구조
박공지붕은 동일한 구조의 지붕틀을 나란하게 놓고 그 위에 처마도리·중도리·마룻대를 박공면에서 45㎝ 정도 내밀어 박공처마와 지부을 구성하는 단순 구조이며, 모임지붕 일 때 지붕 모서리는 다음과 같다.
a) 우미량(牛尾樑)
모임지붕의 지붕귀에는 동자기둥·대공을 세울 수 있는 지붕보를 배치해야한다. 따라서 지붕의 귀를 설치하는 보를 짧게 하여 설치하는 데 이때 동자기둥·대공을 받게 하는 짧은 보를 우미량이라 한다. 우미량은 박공보·처마도리에 턱걸이 두겁주먹장 맞춤으로 하여 주걱볼트로 죄고, 지붕보에는 걸침턱으로 걸치고 양면에 엇꺾쇠를 한다.
b) 추녀
모임지붕에서 중도리가 직각으로 만나는 귀에 마룻대에서 처마도리까지 걸치고 귀서까래를 받는 부재를 추녀라 하며 윗면은 지붕물매에 맞추어 ∧자형으로, 지붕골에 사용하는 것은 회첨추녀라 하며 ∨자형으로 깎는다. 추녀의 이음은 중도리 중심에서 턱걸이 주먹장이음하여 꺾쇠로 보강한다. 추녀의 물매는 보의 1/2 간사이의 대각선 수평길이가 밑변이 되고 처마도리에서 마룻대까지의 수직거리가 높이가 되므로 평물매보다 완만하게 되고, 추녀물매에서 처마 끝까지의 길이가 추녀의 길이가 된다.
아) 서까래
지붕널을 덮을 수 있도록 경사 방향에 마룻대에서 처마도리까지 걸쳐 댄 것으로, 단면은 5㎝ 각재를 45㎝ 간격으로 배치하고, 처마도리·중도리·마룻대에 빗이음 못박기하며, 이음의 위치는 엇갈리게 한다.
자) 지붕널
기와를 덮을 수 있도록 서까래 위에 까는 널을 지붕널이라 하며, 서까래가 45㎝ 정도일때는 널두께 12㎜ 정도로 하며, 이음은 서까래 위에서 뱌?턱·빗쪽매로 하며 이음의 위치는 엇갈리게 하고, 지붕널은 맞댄쪽매로 한다.
2) 양식 지붕틀 구조
경골지붕틀은 약식 비붕틀 ·본식 지붕틀으로 나누어지며, 정식 지붕틀은 왕대공지붕틀·쌍대공지붕틀로 구분된다.
가) 경골 지붕틀
경골 지붕틀은 규모가 작은 건물·경골조 건물의 지붕틀로 목재는 10x5㎝, 10x15㎝ 각 등의 표준치수를 사용하고, 접합법은 간단하며 철물로 보강처리 한다.
a) 약식 지붕틀
맞댄 지붕틀·외쪽 지붕틀로 규모가 작은 건물에 적용되며, 박공지붕은 서까래를 수직으로 잘라 마룻대 옆면에 못박고, 서까래 윗면에 연결쇠를 써서 튼튼하게 결속한다. 지붕 간사이가 큰 것은 중간 지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하여야 한다.
b) 본식 지붕틀
평보·
추천자료
국내 건축물의 수입 철강재 사용에 따른 안전성 검토
국내 내진설계 건축물 조사
중국 건축 문화에 대한 고찰
건축사조 정리 PPT
라멘구조
[철][철의유용성][철골][철골라멘구조체][철골보][철골보아파트]철의 유용성과 철골 라멘 구...
초고층 건축의 도시계획적 의미
[마루][대청마루][현대적 마루][마루의 공간적 의미][마루의 발생][마루의 발전][마루의 구조...
[건설산업][건축][건설][건설업체][건설업][건설시장]건설산업의 현황, 건설산업의 사명, 건...
[강구조][강구조 정의][강구조 장단점][강구조 역사][철큰콘크리트구조][마천루][강재][강구...
건축 시공학 - 신공법 및 신기술에 대한 조사
[한국건축사] 익공계 양식이 무엇이며, 조선시대에는 왜 익공계 양식을 주로 사용 했는가
포스트모더니즘과 건축
중국 건축사의 이해 일반적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