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6은 혁명인가 쿠데타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5.16은 혁명인가 쿠데타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516의 배경과 전개과정
516의 의미
혁명과 쿠데타는 무엇인가
혁명과 쿠데타의 기준
5.16의 성격

결론

본문내용

혁명으로 간주한 것이며, 기준5에서 제시한 정변의 목적에 따른 혁
명적 성격(단지 지배 계급 내의 정권 다툼이 아니라 당시 사회, 정치적 상황 역시 정
변의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점) 은 5.16 주체 세력의 명목상의 목적일 뿐이다.
즉, 5.16 주체 세력은 그들의 이익을 위해 4.19로 인해 막 싹이 튼 민주주의를 민간 정부의 무능과 부패, 그리고 사회 혼란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정권을 잡고 있던 세력을 무력으로 몰아낸 것이다. 다시 말해 당시 정치, 사회적 배경이 그들에게 빌미를 제공한 것이 아니라 5.16 세력이 당시의 상황을 그들의 명분으로 이용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5.16은 쿠데타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앞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5.16은 군부의 내외적 원인과 당시 사회적인 상황으로 이루어진 쿠데타이다. 즉 권력을 지향한 군부세력이 불법적으로 합법적인 정부를 정복하여 권력을 획득한 사건이다. 이후 국가 주도의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나 군사문화의 확산, 군의 탈법적인 정치 개입, 민주적 정권교체의 지연, 산업화에 따른 불균형, 인권 유린등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5.16의 쿠데타적 성격을 정리하면,
첫째, 5.16의 주체세력이 기득권 층이었다는 점.
둘째, 혁명과 달리 민중의 지지가 없었다는 점.
셋째, 결과적으로 사회에 (정치 세력의 교체를 제외한)아무런, 전면적이고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지 못 했다는 점.
넷째, 정변의 목적이 당시 정치, 사회적 상황을 명분으로 내세운 무력을 이용한 정 권 교체라는 점.
을 들 수 있겠다.
역사적으로 고려나 조선의 건국 역시 쿠데타로 이루어진 일이다. 그렇다면 지금 5.16을 평가하는 것은 아직 섣부른 일 일지도 모른다. 이 사건이 잘 한 것이냐, 잘못한 것이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옳았느냐, 옳지 않았느냐를 따지기에는 확실히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이 옳다고만 할 수도 없는 문제이다. 역사적 평가는 언제라도 변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를 연구하는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과거를 현재의 거울삼아 반성적 성찰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일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명(1998) [고쳐쓴 한국현대정치사] (을유문화사)
김영식 외(1997) [한국현대정치사] (집문당)
김인걸 외(1999) [한국 현대사 강의] (돌베개)

키워드

5.16,   혁명,   쿠데타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1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