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산업의 성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있다.
우수 전문인력이 집중된 대학에서 정보통신 분야 창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으로서 ‘대학 정보통신창업지원센터’를 전국 26개 대학에 설치·운영중이다. 대학 정보통신창업지원센터는 대학의 전문인력 활용과 중소·벤처기업의 집적을 통해 상호 정보 및 기술·인력 교류 등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향후 정보통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등장할 것이 예상되는 소프트웨어산업과 IT SoC산업에서의 중소·벤처기업 창업활성화를 위해 전국 16개 지역 ‘소프트웨어지원센터’ 및 ‘IT SoC 지원센터’를 설립·운영중이다.
한편,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경영진단 및 컨설팅 지원을 위해 전문법인 및 전문가 pool을 구성하여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경영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정보통신 중소·벤처기업이 협소한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세계시장을 목표로 한 제품 개발 및 마케팅, 벤처캐피탈 확보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국 실리콘밸리 등 6개 지역에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해외IT지원센터(iPark)’를 설치, 운영중이다.
4. 자금지원
많은 벤처기업이 사업성은 양호하지만, 초기자본 부족으로 도산하거나 추가자금 조달능력 부족으로 성장의 기회를 잃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벤처기업은 급격한 성장에 따른 시설증설, 추가 운전자금 증가 등으로 소요자금 규모가 큰데 비해 신용 능력과 담보 능력이 부족하여 자금조달이 제한됨으로써 일시적 자금부족으로 인한 재무위험이 일반기업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에 정보통신부는 유망벤처기업에 대한 직·간접 자금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우선 간접 자금지원정책으로 ‘정보통신 전문투자조합’결성을 지원하고 있다. 2002년 3월 현재 총 5,683억 원 규모의 정보통신 전문투자조합 37개를 결성하여 이를 통해 462개 기업에 2,774억 원을 투자하였다.
한편, 정보통신부의 심사를 통한 직접 자금지원정책에는 출연방식과 융자방식 등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출연방식은 정보통신 부문에 파급효과가 높은 핵심기술 개발자금지원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산업기술개발사업’, ‘우수신기술지정·지원사업’,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등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정보통신부는 이를 통해 2002년 3,542억 원 규모의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였다. 융자방식은 개발된 기술의 상업화, 상업화를 위한 설비구입, 기타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금 등을 지원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정보통신설비구입및시설개체지원사업’, ‘정보통신산업기술개발지원사업’, ‘중대형컴퓨터보급지원사업’, ‘선도기술개발보급지원사업’, ‘멀티미디어산업지원사업’, ‘소프트웨어개발·보급지원사업’ 등이 있다.
<표6-2-7>정보통신부 출연사업 지원규모
(단위: 억 원)
지원사업
1999
2000
2001
2002
산업기술개발사업
300
300
800
400
우수신기술지정·지원사업
100
100
100
100
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
1,500
1,570
3,693
3,042
합계
1,900
1,970
4,593
3,542
자료: 정보통신연구진흥원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0.24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