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치료의 이해 접근법과 방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음악치료
(1) 음악치료의 정의
(2) 음악 치료의 성립 배경과 역사

2. 음악치료의 이해
(1) 음악과 심리치료

3. 음악치료의 이론적 기반
(1)음악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
(2) 음악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
(3)음악에 대한 사회적인 반응

4. 음악치료의 접근법
(1)국제 음악치료의 동향
(2) 음악치료의 접근방법

5. 음악의 효과
(1) 의학에서의 음악효과

6. 음악치료의 방식
(1)노래부르기/찬트(singing/chanting)
(2) 악기연주하기(instrument playing)
(3) 음악적 동작(music-movement)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순간 순간마다의 즐거웠던 기억에 관련된 음악 감상을 치료사와 같이 하면서 긍정적인 자기 과거 생활의 연상을 이끌어 내므로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켜 주기도 합니다.
6. 음악치료의 방식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악치료’ 하면, 음악감상을 떠올립니다.
음악치료에선 단순한 음악감상만이 아니라, 치료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노래를 부르고, 악기 연주를 하며, 음악에 맞춰 동작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또 새로운 노래를 만들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서 치료목적을 이루어 나가는 것입니다.
이때 치료사는 클라이언트의 흥미와 선호도, 능력에 맞춰 음악 활동을 계획하고, 클라이언트가 특정한 음악적 기술이 없어도 연주할 수 있는 악기와 구조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누구에게나 안전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음악활동은 노래부르기(singing), 음악감상(listening), 악기 연주하기(playing), 음악적 동작(movement), 음악 만들기(creating), 악보보기(reading) 등의 활동을 포함합니다.
(1)노래부르기/찬트(singing/chanting)
노래부르기는 자발적인 음악적 표현의 첫 번째 형태이다. 아동에게, 아동을 위해서, 또는 아동과 함께 노래부르는 것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인식을 자극하는 접촉과 의사소통의 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노래부르기나 멜로디를 허밍하는 것은 자아를 확장시키기 위해 음악적 도구-인간의 음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노래를 통해 언어 자극을 유도할 수 있다. 가사의 의미를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그것을 감각적·정서적인 인식의 어떤 단계에서 경험 할 수는 있으며, 반복되는 절과 가사로 이루어진 노래는 기억을 발달시킨다.
(2) 악기연주하기(instrument playing)
악기를 치료에 사용하는 본질적인 측면은 그것이 정서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정 표현의 배출구로서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있다.
(3) 음악적 동작(music-movement)
음악적 동작이란 리드미컬한 대근육운동, 기본적인 이동, 구조화되고, 자유로운 정신 운동 동작, 지각-운동 활동, 창조적인 동작/무용, 사교무용, 리드미컬하게 말하기/노래부르기/찬트하기와 결합된 동작, 그리고 악기 연주와 결합된 동작 등을 모두 포함한다.
발달장애인을 위해서는 먼저 근육운동감각적 경험을 통해 인식을 자극하고 신체 부위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발달시켜 나가야 하며, 상상력이 풍부한 동작을 촉진시키고 다감각적인 자극을 제공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후프, 스카프, 그림 등의 비음악적인 자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 문헌
Bonny, H., Savany, L. (1973), Music and your mind, NY:Station Hill Press.
Graven, S. (2000), Sound and the developing infant in the NICU: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care. Journal of Perinatol, 20, 88-93,
Hawkes, N. (March 30, 1998). Fetus has an ear for music at 20 weeks. The London times.
Pratt, R. (1989), A brief history of music and medicine. IN: M. Lee, (Ed.), Rehabilitation, music and human well-being. Saint Louise: MMB Music, Inc.
Roskam, K. (1992),Feeling the sound. Saint Louise: MMB Music, Inc.
Sidorenko, N. (2000),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cience, July-Sep 2000, Vol. 35 Issue 3, P 199
Sekeles, C. (1996), Music: motion and emotion, Saint Louise: MMB Music, Inc.
Thaut, .M., McIntosh, G. Rice R., Thaut, H, (1999).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gait theory, Colorado State University.
Wilmer H. (1975), Practical Jung: nuts and bolts of Jungian Psychotherapy, Wilmette,Ill.: Chiron Publicatons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0.2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