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개량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반개량
1.1 치환공법
1.2 재하중공법

본문내용

단히 넓다. 다른 방법의 추종을 허용하지 않는다.
2. 지하수위저하는 우물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제일 효과적이나, 웰포인트공법에서 jet를 사용하는 고로, 우물의 설치는 용이하다. 특히 불투수층까지 완전배수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것 이상의 효과적인 방법이 없다.
④ 웰포인트공법의 단점
1. 두꺼운 암층이 긴 경우에는 웰포인트의 설치를 jet로 실시하기 곤란하다. jet 이외의 방법에 의하면 대단히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그러나 암층만이면 붕괴 및 bulking의 위험이 없는 고로 양수로 충분하고, 무리하게 웰포인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2. 웰포인트 공법에서 굴착경사면에 따라 얇게 배수하는 것인 고로, 깊이 굴착하면 큰 활동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 심부 우물을 병용하고, 심소의 수압을 감소시킬 것이 필요하다.
⑷ 대기압공법
이 공법은 연직드레인을 병용한 재하공법의 일종이다.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샌드드레인 시공구역 위에 휠터 층이 되는 샌드매트를 깔고, 그 속에 경질단회 비밀관을 사용한 흡인관을 부설한 후 그 표면에 기밀한 막을 덮어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한다.
흡인관을 연결한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막내의 공기를 배제하면, 막의 내외에 기압차가 생기므로 그것이 하중이 되어 지반에 재하되게 된다. 이와같이 대기압을 재하하기 때문에 이 공법을 대기압 공법이라 한다.
진공공법에서는 성토하중에 의한 직접적인 재하와 달라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반내의 흙에 대하여 등방삼축의 압밀하중을 부과하는 것으로 되므로 흙이 변형에 의해서 흐트러지거나 측방으로 유동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재하중으로서는 공기가 새거나 진공펌프의 효율 등에 따라 5~5.5t/m2정도가 한도로서 큰 압밀을 기대하지는 못한다.
또 연약층 속에 통수능력이 큰 사층이 있어 샌드파일이 그 층에 관입되어 있을 때에는 개량의 지하수를 모이게 할 뿐 진공으로 할 수는 없을 때가 있다. 따라서 이 공법은 샌드파일을 투수층까지 넣지 말고 충분한 여유를 갖고 연약층내에 멈추게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 때문에 설계에 앞서 연약층 속에 있는 모래층의 두께 범위 및 투수능력과 하부투수층의 위치와 간극수압의 상황 등을 충분히 조사하여둘 필요가 있다.
또 샌드매트를 덮는 피막은 기밀한 것이라야 하므로 보통 고무, 단화비닐 또는 포리애치렌 등이 사용된다. 이 피막의 단부는 도랑을 깊게 파고 묻은 다음 밀대되도록 하여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