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수업 학습지도안(지구온난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구수업 학습지도안(지구온난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단원명

Ⅱ. 단원의 연구
1. 단원의 개관
2. 단원 선정 이유
3. 단원 학습 목표
4. 단원 구성 및 연구성

Ⅲ. 단원의 지도 계획
1. 단원 지도 계획(총 5시간)
2.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3. 평가 계획

Ⅳ. 본시 교수 학습 지도 계획
1. 단원명
2. STS수업모형 선정이유
3. 본시 학습 목표
4. 본 차시 지도상 유의점
5. 학습자 실태 조사
6. 본시 지도 계획

※ 탐구학습활동

※ 형성평가

※ 참고자료(읽을거리)

본문내용

1997
1998
에너지소비량
(백만TOE)
93.2
103.6
116.0
126.9
137.2
150.4
165.2
180.6
165.8
이산화탄소배출량
(백만톤)
234
263
287
314
340
371
408
434
368
기온
(℃)
12.8
12.3
12.5
12.0
13.5
12.2
12.2
12.9
13.8
☞ 자료 : 산업자원부, 통계청 ( * 1998년은 우리나라가 IMF를 겪은 해이다. )
1. 연도별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기온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보자.
2.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추리해 보자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지구의 평균 기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비교 하여 보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 수 록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에너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지구의 평균 기온을 상승시키는
물질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3.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해결 방안은 무엇일까?
기후와 기후변화과정을 정확히 탐지하여 이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관측활동을 강화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원인들을 찾아내어 이를 미리 방
- 기후변화 협약 등 각종 국제환경협약에 가입
미래의 기후와 그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 활동 강화
최소한의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 - 낮은 지대에 둑 건설,, 대체에너지물질의 개발,
조기 경보체제의 수립, 신품종의 농작물 개발등
재생가능 에너지 사용 - 태양, 바람, 물 등
에너지 소비 줄이기 - 에너지 효율 기술의 활용, 에너지를 절약하는 생활 습관 기르 기, 에너지 가계부 작성하기 등
소비할 때에도 에너지 고려하기 -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철음식이나 유기농 식품 구 입, 환경 마크가 있는 제품 구입, 물건 아껴쓰기 등
주 제
형 성 평 가
일 시
2005년 월 일 교시
학년 반 번 조 성명 : ( )
1. 다음 중 현재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기체는?
① 이산화탄소 ② 프레온가스 ③ 메탄 ④ 일산화질소 ⑤ 오존
2. 지구 온난화가 진행될 때 예상되는 현상들 이다. 다음 중에서 옳지 않은 것 은?
① 극지방의 얼음이 녹을 것이다.
② 해수면이 점점 높아질 것이다.
③ 바다의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높아질 것이다.
④ 증발이 많아질 것이다.
⑤ 구름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3. 다음은 온실효과에 대한 해석이다. 타당한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은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와 관련이 있다.
ㄴ. 1920년 이후 지구의 평균 기온이 급격히 상승한 것은 오존층의 파괴가 그 원인이다.
ㄷ. 이산화탄소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반사시키기 때문에 지구의 기온을 하강시킨다.
ㄹ.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는 생태계를 변화시킬수 있다.
① ㄱ,ㄴ ② ㄱ,ㄹ ③ ㄴ,ㄷ ④ ㄷ,ㄹ ⑤ ㄱ,ㄷ,ㄹ
주 제
형 성 평 가 ( 모범답안 )
일 시
2005년 월 일 교시
학년 반 번 조 성명 : ( )
1. 다음 중 현재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기체는? ( ① )
① 이산화탄소 ② 프레온가스 ③ 메탄 ④ 일산화질소 ⑤ 오존
☞ 이산화탄소의 승온 효과는 작지만 농도가 높아 현재 온실 효과의 기여도가 제 일 높다.
2. 지구 온난화가 진행될 때 예상되는 현상들 이다. 다음 중에서 옳지 않은 것 은? ( ③ )
① 극지방의 얼음이 녹을 것이다.
② 해수면이 점점 높아질 것이다.
③ 바다의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높아질 것이다.
④ 증발이 많아질 것이다.
⑤ 구름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 해수의 온도상승은 기체의 용해도를 감소시킨다.
3. 다음은 온실효과에 대한 해석이다. 타당한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 ② )
ㄱ.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은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와 관련이 있다.
ㄴ. 1920년 이후 지구의 평균 기온이 급격히 상승한 것은 오존층의 파괴가 그 원인이다.
ㄷ. 이산화탄소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반사시키기 때문에 지구의 기온을 하강시킨다.
ㄹ.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는 생태계를 변화시킬수 있다.
① ㄱ,ㄴ ② ㄱ,ㄹ ③ ㄴ,ㄷ ④ ㄷ,ㄹ ⑤ ㄱ,ㄷ,ㄹ
☞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는 온실효과를 일으켜 지구 평균 기온을 상승시키고
이러한 지구 온난화는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한다.
참 고 자 료 (읽을거리)
1. 지구의 온실 효과 기체
지구는 온실 효과 기체의 온실 효과 때문에 생물체가 살기에 적당한 온도인 평균 15℃정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온실 효과가 없다면 지구의 평균 기온은 약 -18℃가 된다. 온실 효과 기체의 온실 효과율은 기체마다 다르다. 이산화탄소의 온실 효과율은 작지만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다른 온실 효과 기체의 농도에 비해 훨씬 크므로 온실 효과를 나타내는 비율은 매우 크다.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다른 온실 효과 기체도 인간의 활동에 따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들 기체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2.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기온 변화
그림은 과거 100년 동안의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전 지구의 평균 기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두 그래프를 비교하여 보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구의 평균 기온은 과거 100년 동안에 약 0.5℃정도 상승하였다.
최근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지구의 평균 기온을 예측한 결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300ppm에서 600ppm으로 2배 증가한다면, 지구의 평균 기온은 1.5~4.5℃ 정도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에 우리 나라의 중부 지방은 온대, 남부 지방은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으로 예측된다.
3. 지구 온난화의 영향
지구의 온난화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해수면의 변화이다. 최근 100년 동안에 10.5㎝ 정도 상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1℃ 상승함에 따라 해수면은 16~30㎝ 정도의 비율로 상승한다고 한다. 만약에 지구의 대륙 빙하가 모두 녹는다면 해수면은 약 60m 상승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면이 높아지면 해안의 저지대는 해수에 잠기게 되므로 그만큼 경작지가 줄게 되고, 그에 따른 식량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11.0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