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으로 삼는 경향성이 뚜렷하다. 그리고 그 전통주의란 것의 존재는 비록 의심될지언정 그것의 합리성은 의심 될 수 없다고 본다. 종이쪼가리와 금속쪼가리에 불과한 돈을 왜 벌어야 하는가? 그 이유는 우리가 하고 싶은 욕구와 자유를 돈을 통해 영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하고 싶은 욕구와 자유를 포기 한 채 자본의 습득에 매진하고 있는 형편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모든 교육도 결국은 취직을 위한 과정일뿐이고, 목표는 취직과 돈이라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감안 했을때 그 존재성이 의심되는 베버의 전통주의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지 않을까? 전통주의가 있었던 것이든 없었던 것이든 간에 그 전통주의가 보여주는 합리성만큼은 음미하여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현재 한국의 자본주의에 대한 고찰
헤라클레이토스의 자본주의 이론
자본주의 멸망
[기업지배구조]기업지배구조 현황과 기업지배구조 개선 및 개혁(기업지배구조란, 경영자혁명...
[성윤리][성교육 프로그램][성교육]성윤리, 성교육 프로그램 고찰과 성교육의 문제점 및 성교...
[환경보건윤리및정책]사회 생태주의 윤리와 생태 여성주의 윤리에 대하여
[재상산][생산]생산과 재생산, 단순재생산의 요소, 단순재생산의 결과, 자본주의적 재생산, ...
김윤영의 루이뷔똥을 통해 바라본 자본주의와 인간
[중소기업경영자의 윤리의식제고] 기업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및 문제의 발생, 기업윤리수준의...
남북한의 지정학적 위치와 특징 및 대외적 환경 분석자본주의 정신에 대한 정의 및 특징 분석
시장주의 경제체제와 자본주의 경제체제
경제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 근대 자본주의의 정신
[공직자 직업윤리] 공직윤리의 개념과 중요성 및 내용, 공직사회 부패와 원인, 공직윤리 확립...
생태위기의 원인에 대한 고찰 ―기계론적 세계관 인간중심주의 자본주의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