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노인복지 - 영국의 노인복지 [A+대박자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진국의 노인복지 - 영국의 노인복지 [A+대박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영국의 노인복지 정책
1. 소득보장 정책
2. 의료보장 정책
3. 주택보장 정책
4. 사회복지서비스 정책

Ⅱ. 영국 노인복지의 독특한 제도
1. 노인복지공장
2. 이웃보호
3. 활동 부자유 노인급식
4. 이동배식
5. Home from Hospital
6. 주간휴식처 제공 서비스
7. 신체보조기구 대여 서비스

Ⅲ. 영국 노인복지 프로그램
1. 보호주택
2. 주택보조금 정책
3. 재가보호
4. 금융관련 분야
5. 가정봉사 서비스
6. 가정간호(지역사회간호)
7. 작업치료
8. 교통관련 서비스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있는 사람에게도 중복 급여규칙에 따라 연금연령이 지나도 지불할 수 있다. 또한 1990년 10월에 도입된 수발자 보험은 소득관련 급여, 소득보장, 주택급여, 지역사회위탁급여의 일부로서 보호수당을 받거나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 지급되는데 1년에 30,000명 정도가 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은희상, 전게서, p. 53.
5. 가정 봉사 서비스
가정봉사 서비스는 가사적 서비스, 대인적 서비스, 사회적 서비스, 역할훈련서비스가 있다. 첫째, 가사적서비스(house hold tasks)는 일상적인 집안청소 수행, 식사준비, 세탁, 난방, 침대정리, 의복다림질, 쇼핑 등을 해준다.
둘째, 대인적 서비스(personal care)는 목욕, 의복손질, 면도 및 이발, 개인위생 및 대소변보기, 치료 또는 약물의 지속적인 처방지원, 약물지도 및 감독을 주로 한다.
셋째, 사회적 서비스(social care)는 연금수급, 법규 및 규정 알려주기, 편지 써주기, 집세 계산 및 지불, 친척과의 관계 유지, 지속적인 취미 또는 사회활동 조장, 1차 진료기관의 연결, 전화 걸어주기, 가계부 써주기 등이 있다.
넷째, 역할훈련 서비스(training role)는 자아보호능력의 유지 및 회복시키기 등을 포함한다. 김범수, “재가복지론”, 서울: 홍익제, 1997, p. 225.
< 표 3-1 > 가정봉사원 서비스의 사례수(1970-1994)
구분 / 연도
1970
1977
1980
1992
1994
전체사례
443,200
665,100
743,500
528,600
537,600
지방정부
517,700
478,400
자원봉사
2,300
12,900
민간
8,600
46,300
* 자료 DHSS(1995), Health and Personal Social Service Statistics, London, HMSO.
임병우, “노인을 위한 영국의 홈 헬프 서비스”, <한국노년학연구> 제7호, 1998, p. 96.
영국의 가정봉사원 서비스 대상인구는 1980년대 중반까지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계속해서 증가추세를 보여왔다.
가정봉사원 서비스를 받은 클라이언트는 대부분 독거노인이며, 1/4 정도는 배우자 또는 자녀들하고 동거하는 노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약 10%는 65세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표 3-2 > 가구구성별 가정봉사원 서비스 분포 (단위 : %)
가구구성
가정봉사를 받은 노인
노인전체 중 비중
혼자사는 노인
73
46
배우자와 사는 노인
20
38
배우자 이외 다른 이와 사는 노인
1
5
자녀와 사는 노인
5
8
자녀 외의 다른 이와 사는 노인
1
2

100
100
표본크기
275
2962
* 자료 : 1985 General Household Survey.
최은영, “노인보호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 영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개발원, 1996, p. 29.
1991년 일반가구조사에 의하면, 영국에서 노인인구의 10%가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가정봉사원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노인의 2/3의 경우는 겨우 일주일에 한 두 시간의 서비스를 받고 있었고, 노인의 5%는 일주일에 7시간 이상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65세 이상 노인의 4%는 유료봉사원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들보다 독거노인들이 훨씬 많았고, 75세 이상 독거노인들이 1/4이 지방정부로부터 가정봉사원 서비스를 제공받았다. 임병우, “영국의 커뮤니티 케어(재가복지)에서 노인을 위한 가정봉사원 서비스”,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한국재가노인복지협 회 편, 1999, p. 171.
6. 가정간호(지역사회간호)
병원에 입원할 정도는 아니지만 간호를 받아야 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것으로 서비스 내용은 주사, 투약, 의료처치, 목욕, 토일렛, 카운슬링, 격려, 교육 등이다. 가정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원은 지역간호원, 등록일반 간호원, 등록지역 간호원, 간호보조원 기술적 간호와 신병지원활동 그리고 조언상담이 주요항목이다. 김하경, “재가노인복지 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 : 광주대 산업대학원, 2002, p. 50.
7. 작업치료
치료가 어려운 장애를 갖고 있으나 독립적인 생활을 원하는 사람에게 그들의 신체적,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주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김영희, 전게서, p. 35.
8. 교통 관련 서비스
영국의 노인들은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시에 지역에 따라 무료 또는 할인혜택을 받고 있다. 영국의 국영철도청은 65세 이상 노인에게 노인철도카드제공으로 국내는 물론 다른 유럽국가를 여행시에 50%까지 할인 혜택을 주고, 영국항공사도 65세 이상 노인에게는 50%를 할인혜택을 준다. 박물관은 노인에게 무료로 개방하고 미술관 그리고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각종 시설에서도 노인에게는 입장료의 할인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시니어저널, 2001. 3. 5 일자 신문
참 고 문 헌
강희태 (2001). 「노인복지 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김영희 (2002). 「한국 재가복지 서비스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명지대 지방자치대학원.
김진덕 (2001). 「노령사회의 노인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성남 : 경원대 행정대학원.
김정미 (1999). 「한국과 OECD 5개국의 노인복지정책 비교 분석」. 서울 : 이화여대 대학원.
김하경 (2002). 「재가노인복지 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 : 광주대 산업대학원.
송윤환 (2001).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동국대 사회과학대학원.
이명숙 (2001). 「21세기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 인천 : 인천대 행정대학원.
임종관 (2002). 「재가복지 서비스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주 : 상지대 행정대학원.
은희상 (2002).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실버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익산 : 원광대 행정대학원.
홍은화 (2001). 「한국 노인 장기요양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익산 : 원광대 행정대학원.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11.09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