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중국의 WTO 가입 경과
Ⅱ . WTO 가입의 의미
Ⅲ. WTO 가입 이후 중국경제의 향방
Ⅳ.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Ⅴ. 주요 산업별 영향
Ⅵ. 대응방향
Ⅱ . WTO 가입의 의미
Ⅲ. WTO 가입 이후 중국경제의 향방
Ⅳ.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Ⅴ. 주요 산업별 영향
Ⅵ. 대응방향
본문내용
외자기업 상대적 경쟁력 회복
2.화학 분야
1) 수입관세 인하에 따른 한국산 제품 수출 증대
2) 비관세장벽 점차 철폐 수출입 확대
3) 중국산제품 경쟁력 제고로 제3국향 SOURCING 영업 확대- GSP 향유로 합성수지 제품류(플라스틱 백,타포린 등) 삼국간 거래 가능
4) 투자환경 개선에 따른 사업기회 확대- 무역법인 활용 내수시장 적극 참여 : 메탄올,페놀,합성 수지등- 고부가 합성수지 compounding 사업, tank terminal 사업 등 진출
5) 양자, 금산, 연산등 대형 complex 와의 전략적 제휴 필요성 증대
3.철강 분야
1) WTO 가입 후 업계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큰 분야 임.- 중국철강업계 구조적 문제 심각 및 대부분 MILL 경쟁력 열세
2) 관세 장벽의 단계적 인하 및 개선으로 수출여건은 단기적 영향보다는 점진적 호전- 국내공급부족 품목인 stainless 와 수입량 소량품목인 봉형강의 경우는 관세율 대폭 인하인 반면 대종품목인 HR/CR은 소폭 인하 방침 → 한국 업계의 대중수출 가치 미미
3) 수입 쿼터제 및 국영기업의 독점 무역권 점차적 폐지- 수입총량 관리제는 2005년까지 운영 예상- 내수영업 진입과 신규 수요가 개발에 유리하나, 향후 영업형태상 대금회수의 위기관리가 중요할 것임.
4.섬유부분과 보험 및 기타
*섬유 부분
1) 현 MFA 협정하의 국제무역환경에서 WTO 가입 후 대폭 개선
2) 타격분야는 화섬 및 염색가공업계 심각
3) 수출용 원자재의 대중수출 확대 가능 시
4) 중국산 의류 및 면 마 등 천연섬유직물의 한국수입 급증
5) 천진시장과 모방직의 경우 대부분 수출이므로 영향이 미미하고 원자재 수입분에서 관세 인하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 예상
*보험 및 기타
1) 금융개방으로 신규사업 분야 진출 기회 기대
2) 카메라의 관세율은 현 25%로 관세 인하 시 내수 판매 분은 일본제품과의 경쟁이 불가피함.
Ⅵ. 대응방향
1.전략적이면서 구체적인 대응이 절실한 시점
- 중국의 WTO가입은 70년대 이후 계속된 발전과 개방정책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서, 앞으로 거대 중국의 용틀임이 한층 가속
-중국의 개방과 부상이 결코 새로운 사실은 아니지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함
-중국이 부상하면 국내에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이 등장할 것이므로 여기에 대응해야 함2.세계화와 역내협력을 동시에 추구
-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데 대응하여 우리는 세계화와 역내협력을 동시에 추구해야 함
-특히 중국, 대만 홍콩, 동남아 화교자본을 포함하는 중화경제권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
3.국내 산업구조 조정으로 중국과의 차별성 유지
-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여 산업구조 고도화를 한층 가속화하고, 업종별 특성에 맞게 전략을 차별화
- 중국 기업과의 제휴를 확대하고 수평적, 수직적 분업을 강화
4.기업들은 중국 부상이 주는 기회와 위협을 정면 돌파
- 중국의 WTO가입은 우리 기업들에게 위협이면서 좋은 기회
- 기업도 대중 진출 전략을 치밀하게 설계하여 성과를 극대화
2.화학 분야
1) 수입관세 인하에 따른 한국산 제품 수출 증대
2) 비관세장벽 점차 철폐 수출입 확대
3) 중국산제품 경쟁력 제고로 제3국향 SOURCING 영업 확대- GSP 향유로 합성수지 제품류(플라스틱 백,타포린 등) 삼국간 거래 가능
4) 투자환경 개선에 따른 사업기회 확대- 무역법인 활용 내수시장 적극 참여 : 메탄올,페놀,합성 수지등- 고부가 합성수지 compounding 사업, tank terminal 사업 등 진출
5) 양자, 금산, 연산등 대형 complex 와의 전략적 제휴 필요성 증대
3.철강 분야
1) WTO 가입 후 업계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큰 분야 임.- 중국철강업계 구조적 문제 심각 및 대부분 MILL 경쟁력 열세
2) 관세 장벽의 단계적 인하 및 개선으로 수출여건은 단기적 영향보다는 점진적 호전- 국내공급부족 품목인 stainless 와 수입량 소량품목인 봉형강의 경우는 관세율 대폭 인하인 반면 대종품목인 HR/CR은 소폭 인하 방침 → 한국 업계의 대중수출 가치 미미
3) 수입 쿼터제 및 국영기업의 독점 무역권 점차적 폐지- 수입총량 관리제는 2005년까지 운영 예상- 내수영업 진입과 신규 수요가 개발에 유리하나, 향후 영업형태상 대금회수의 위기관리가 중요할 것임.
4.섬유부분과 보험 및 기타
*섬유 부분
1) 현 MFA 협정하의 국제무역환경에서 WTO 가입 후 대폭 개선
2) 타격분야는 화섬 및 염색가공업계 심각
3) 수출용 원자재의 대중수출 확대 가능 시
4) 중국산 의류 및 면 마 등 천연섬유직물의 한국수입 급증
5) 천진시장과 모방직의 경우 대부분 수출이므로 영향이 미미하고 원자재 수입분에서 관세 인하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 예상
*보험 및 기타
1) 금융개방으로 신규사업 분야 진출 기회 기대
2) 카메라의 관세율은 현 25%로 관세 인하 시 내수 판매 분은 일본제품과의 경쟁이 불가피함.
Ⅵ. 대응방향
1.전략적이면서 구체적인 대응이 절실한 시점
- 중국의 WTO가입은 70년대 이후 계속된 발전과 개방정책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서, 앞으로 거대 중국의 용틀임이 한층 가속
-중국의 개방과 부상이 결코 새로운 사실은 아니지만,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함
-중국이 부상하면 국내에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부분이 등장할 것이므로 여기에 대응해야 함2.세계화와 역내협력을 동시에 추구
-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데 대응하여 우리는 세계화와 역내협력을 동시에 추구해야 함
-특히 중국, 대만 홍콩, 동남아 화교자본을 포함하는 중화경제권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
3.국내 산업구조 조정으로 중국과의 차별성 유지
-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여 산업구조 고도화를 한층 가속화하고, 업종별 특성에 맞게 전략을 차별화
- 중국 기업과의 제휴를 확대하고 수평적, 수직적 분업을 강화
4.기업들은 중국 부상이 주는 기회와 위협을 정면 돌파
- 중국의 WTO가입은 우리 기업들에게 위협이면서 좋은 기회
- 기업도 대중 진출 전략을 치밀하게 설계하여 성과를 극대화
추천자료
교육개방 (WTO 도하 개발 의제에 제출한 제1차 양허안)
[중국][중국 전통사상][중국 역사][중국 산업][중국인][중국 농업][중국 경제][중국과 한국 ...
[중국생물의약산업][중국관광산업][중국영화산업][중국바이오칩산업][중국방송산업][중국섬유...
중국의 지역별 영화산업(영화시장), 중국영화산업(중국영화시장)의 세대구분, 중국영화산업(...
[중국진출]한국기업의 중국진출 현황과 애로사항,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성공과 실패요인, 한...
[중국 경제범죄 관련 형법][중국 청산방해죄 관련 형법][중국 환경범죄 관련 형법][중국 형법...
[중국시장진출]게임산업과 패션산업의 중국시장진출, 방송산업과 IT산업의 중국시장진출, 소...
[후진타오]중국 후진타오국가주석체제의 특징, 중국 후진타오국가주석체제의 국내외 정책 방...
[중국 제조업][제조기업][제조][기업]중국 제조업(제조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중국 제조업(...
[중국기업 시장][국제시장][문화컨텐츠시장][패션시장]중국기업 국제시장, 중국기업 문화컨텐...
[정치외교] WTO출범의 의미와 미래
경제성장과 사회복지 - 중국,중국의 경제성장과 사회복지제도,중국의 경제발전사,중국의 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