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이성질체 [ 異性質體, isomer ]
● 기하이성질체 [ 幾何異性質體, geometrical isomer ]
● 위치이성질체 [ 位置異性質體, position isomer ]
● 구조이성질체현상 [ 構造異性質體現象, structural isomerism ]
● 기하이성질체현상 [ 幾何異性質體現象, geometrical isomerism ]
● 입체이성질체현상 [ 立體異性質體現象, stereoisomerism ]
● 배위화합물 [ 配位化合物, coordination compound ]
● 입체선택성 [ 立體選擇性, stereoselectivity ]
● 입체적 구조 [ 立體的構造, steric conformation ]
● 토토메리현상 [ tautomerism ]
● 시스형 [ cis-form ]
● 메소형 [ mesoform ]
● 이소 [ iso ]
● 광학분할 [ 光學分割, optical resolution ]
● 기하이성질체 [ 幾何異性質體, geometrical isomer ]
● 위치이성질체 [ 位置異性質體, position isomer ]
● 구조이성질체현상 [ 構造異性質體現象, structural isomerism ]
● 기하이성질체현상 [ 幾何異性質體現象, geometrical isomerism ]
● 입체이성질체현상 [ 立體異性質體現象, stereoisomerism ]
● 배위화합물 [ 配位化合物, coordination compound ]
● 입체선택성 [ 立體選擇性, stereoselectivity ]
● 입체적 구조 [ 立體的構造, steric conformation ]
● 토토메리현상 [ tautomerism ]
● 시스형 [ cis-form ]
● 메소형 [ mesoform ]
● 이소 [ iso ]
● 광학분할 [ 光學分割, optical resolution ]
본문내용
성질체로서는 에탄의 엇갈린 구조와 가리워진 구조, 부탄의 안티(트랜스) 구조와 빗놓인 구조, 시클로헥산의 의자 구조와 보트 구조 등이 있다.
롤(timolol)이 같은 경우도 있다.
토토메리현상 [ tautomerism ]
어떤 화합물이 서로 변환할 수 있는 2종의 이성질체(토토머)로 존재하는 현상.
호변이성(互變異性)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아세토아세트산에틸은 케토형과 엔올형의 평형혼합물로 케토형, 브롬 등에 대해서는 엔올형으로 반응한다.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에 대해서는 2개의 이성질체를 단리(單離)할 수 있는데, 화합물에 따라서는 한쪽 형만이 단리되고, 다른 것은 유도체(誘導體)로만 알려져 있는 것이 많다.
시스형 [ cis-form ]
치환기 또는 리간드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화학용어.
2개의 치환기(원자 또는 원자단)가 분자 내의 어떤 면의 같은 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 이 둘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시스'를 접두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메소형 [ mesoform ]
2개 이상의 동종의 비대칭 중심을 분자 내의 대칭적 위치에 가지고 있는 분자의 광학비활성(光學非活性)인 입체이성질체(異性質體).
입체의 배치가 그 거울상과 일치하기 때문에 광학적 활성을 잃어버린다. 예를 들면, 타르타르산은 2개의 비대칭중심을 가지는 화합물인데, 광학활성을 가지는 2종(d형:녹는점 168∼170 , l형:녹는점 168∼170 ), 외에 광학활성을 보이지 않는 메소형(녹는점 159∼160 )의 3종의 이성질체가 있다.
이소 [ iso ]
이성질체(異性質體)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관용명이므로 화합물의 구조식을 알 수는 없다. 계통명으로서는 가지가 달린 사슬식 탄화수소에서만 인정된다. 이소프탈산 이소니트릴 이소부탄 등은 그 예이다. 그리스어로 '같다'는 뜻이다.
광학분할 [ 光學分割, optical resolution ]
광학이성질체의 혼합물(라세미체)을 선광성물질(旋光性物質:광학활성체)로 분리시키는 방법.
라세미분할이라고도 한다. 비대칭탄소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합성하면 라세미체가 생기므로 광학분할에 의해서 선광성 물질을 만든다. 분할방법으로는 선광성을 지닌 산 또는 염기로부터 염을 만든 다음 분할하거나, 단결정의 결정형에 의해서 구별하는 방법이나, 또는 박테리아에 의해 광학이성질체의 어느 쪽 하나를 소비시키고 나머지 선광성 물질을 얻는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롤(timolol)이 같은 경우도 있다.
토토메리현상 [ tautomerism ]
어떤 화합물이 서로 변환할 수 있는 2종의 이성질체(토토머)로 존재하는 현상.
호변이성(互變異性)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아세토아세트산에틸은 케토형과 엔올형의 평형혼합물로 케토형, 브롬 등에 대해서는 엔올형으로 반응한다.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에 대해서는 2개의 이성질체를 단리(單離)할 수 있는데, 화합물에 따라서는 한쪽 형만이 단리되고, 다른 것은 유도체(誘導體)로만 알려져 있는 것이 많다.
시스형 [ cis-form ]
치환기 또는 리간드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화학용어.
2개의 치환기(원자 또는 원자단)가 분자 내의 어떤 면의 같은 쪽에 위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 이 둘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시스'를 접두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메소형 [ mesoform ]
2개 이상의 동종의 비대칭 중심을 분자 내의 대칭적 위치에 가지고 있는 분자의 광학비활성(光學非活性)인 입체이성질체(異性質體).
입체의 배치가 그 거울상과 일치하기 때문에 광학적 활성을 잃어버린다. 예를 들면, 타르타르산은 2개의 비대칭중심을 가지는 화합물인데, 광학활성을 가지는 2종(d형:녹는점 168∼170 , l형:녹는점 168∼170 ), 외에 광학활성을 보이지 않는 메소형(녹는점 159∼160 )의 3종의 이성질체가 있다.
이소 [ iso ]
이성질체(異性質體)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관용명이므로 화합물의 구조식을 알 수는 없다. 계통명으로서는 가지가 달린 사슬식 탄화수소에서만 인정된다. 이소프탈산 이소니트릴 이소부탄 등은 그 예이다. 그리스어로 '같다'는 뜻이다.
광학분할 [ 光學分割, optical resolution ]
광학이성질체의 혼합물(라세미체)을 선광성물질(旋光性物質:광학활성체)로 분리시키는 방법.
라세미분할이라고도 한다. 비대칭탄소원자를 가지는 화합물을 합성하면 라세미체가 생기므로 광학분할에 의해서 선광성 물질을 만든다. 분할방법으로는 선광성을 지닌 산 또는 염기로부터 염을 만든 다음 분할하거나, 단결정의 결정형에 의해서 구별하는 방법이나, 또는 박테리아에 의해 광학이성질체의 어느 쪽 하나를 소비시키고 나머지 선광성 물질을 얻는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추천자료
기업마케팅에 대해
Moral Theories 에대해
경제적 유인제도에대해
환경에 대해
영국의 관료제에 대해 미시, 거시측면에서 살펴보고, 영국과 우리나라의 행정개혁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사방법에 대해
창의성에 대해
다음의 사례에 대해 사례관리 대상자들의 문제사정과 사례관리 계획과 사례관리에 의한 접근...
창의성에 대해
케어복지와 케어기술에 대해 논하라
영아반의 부모참여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 부모참여수업의 필요성, 참여 수업에서의...
친환경 건물에 대해 (친환경 건축, 친환경 건물이란, 친환경 건물 필요성, 친환경적 설계).pptx
부모 역할에 대해 국가가 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부모역할과 국가)
노인학대의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