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민락>
<보허자>
<낙양춘>
<수제천>
<취타>
<영산회상>
<보허자>
<낙양춘>
<수제천>
<취타>
<영산회상>
본문내용
영산회상과 타령으로 전정악으로 포함시키는 추세
대취타
취타(만파정식지곡)
용
도
行樂
행진음악, 감상음악
악기
편성
타악기 - 자바라, 장고, 용고
관악기 - 나발, 나각
유일한 선율악기 - 태평소
향피리 중심
산현육각 편성
요즘에 들어 관현악 편성
장
단
1행 12정간. 20장단
특징
야외에서 연주하는 것을 감안 해
피리 - 한 옥타브↑ 연주
씩씩하고 호탕한 느낌
대취타를 장2도↑ 관현악곡으로 편성한 곡.
100% 향악화 됐다고 할 수 有
5. 종류
길군악
-취타 바로 뒤에 이어지는 관악곡
길타령
-우림령, 일승월항지곡
선
법
태주 평조
음
계
5음음계(태주, 고선, 임종, 남려, 청황종)
장
4장(3장까지 연주하고 12장을 반복한다)
4장
장
단
8박 1장단
12박1장단
악기
편성
삼현육각(피리 : 한 옥타브↑연주)
광장음악적 특징
특징
가사길군악, 민요길군악 등 많은 파생곡이 생겼다.
타령에서 파생되어졌다.
별우조타령
- 관악 합주곡으로 영산회상중 타령을 우조로 변조한 별개의 타령이란 뜻.
- 독립적으로 연주 X ,취타에서 길군악 길타령 별우조타령으로 계속 연주.
- 타령장단
- 4장 36장단
- 광장 음악적 특징을 갖음.
군악
- 타령 뒤에 있는 군악을 말함.
- 임의적으로 짜여져 있는 음악이며 궁과 관련한 감상위주의 곡.
- 4장
- 12박 1장단
- 타령 장단
<영산회상>
1. 유래
- 불교음악
- ‘영축산’ - 석가모니가 첫 번째 깨달음을 얻은 후 말한 설법.
‘축’이 탈락하고 영산+ 모일 회+상
2. 변천과정
15C 「대악후보」,「악학궤범」-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가사의 성악곡.
향악정재,
상령산의 형태기악화가 되면서 곡 확장.
17C 1610 「양금신보」- 줄풍류 음악 (양반들이 즐기던 민간의 풍류방음악)
1641 「이수삼산제불금보」- 줄풍류 음악으로 완전히 정착
1741 「한금신보」- 선율변주, 반복, 여러곡으로 분할이 일어남.
1779 「어은보」- 현행 중령산 최초 등장
19C초 북학파의 실학사상 → 사회적, 음악적으로 커다란 변화.
「유예지」- 현행 상령산 ~ 중령산까지의 형태 나타남. 모음곡형태X
기악화, 세속화 개인의 재량에 따라...
1841년 「삼죽금보」- 모음곡의 현태로 완성.
중중 때부터 가사는 탈락되고 기악화가 되면서 점차 완전한 세속화가 일어났다.
타령, 군악, 염불 ⇒ 줄풍류와 상관이 없는 듯 하나 실학에 바탕을 두고
민속 ↓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면서 여러 방면으로 다양한 흡수가
취타계 일어났다.
불교음악계
3. 악기계통별 분류
15C 영산회상(현악) : 향악정재
l
기능상필요에 의해4도↑변조 현악영산회상4도↓변조
17C줄풍류음악(현악) -관악영상회상 평조회상
: 양반, 중인 이용 궁중내 -1장단 향당교주 - “춘앵전” 반주음악
-연향:처용무반주음악 같은곡이지만 다른느낌 곡
궁중외 - 민간, 대풍류 필요에 의해 파생 됨.
오위영 세악수 -군악
↓더깊은 민간음악으로 전승
탈춤
장소 : 풍류방 장소 : 궁중 내, 외
중요성 : 장소에 따라 음악적 특징이 달라진다.
4. 종류
1) 현악 영산회산
아명 : 중광지곡
용도 : 풍류방에서 줄풍류 음악으로 사용
연주악기 : 세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음량이 적은 편성 : 풍류방 음악이므로,방에서 즐길수 있는 편성
특징- 뒤에 천년만세가 붙어 ‘가즌회상’으로 불림
- 별곡이 붙는 형태가 특이
- 상령산 ~ 세령산 : 속도가 잠점 빨라 짐.
악조 : 황종궁 계면조 「대악후보」 상령산
But 그 후에 음악에는 계면조 X.
거의 모든 곡의 평조화 현, 중려궁 평조쪽으로 해석.
2)관악영산회상
아명 : 표정만방지곡
기능 : 정재에 춤 반주음악으로 쓰임.
악기 : 삼편육각 편성, 향피리, 대금, 해금, 장구, 좌고
특징 춤 반주 음악으로 상령산 향당교주라 부름.
함령지곡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현악영산회상에 비해 높은 음, 길게 끄는 음이 가능 ← 관악기사용으로
음량이 크다 - 대금 : 역취법
- 장구 :복판을 친다.
춤의 분위기 조성을 위해 리듬이 상당히 역동적이다.
박자의 절주 : 신축성 - 피리, 장구의 호흡이 중요
연음기법 나타남 (→ 피리가 나타나면 연음형식 자동)
3) 평조회상
아명 - 유초신지곡
용도 - 춤 반주. 관악영산회상과는 또 다른 느낌의 곡 필요에 의해 만들어짐.
악기편성 - 관악 + 현악 : 향피리 중심의 관현합주 편성.
대금, 향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고
특징 황종궁 → 우조음악 낮은 조로(4도↓ 조옮김)이 되었기
임종궁 → 평조음악 때문에 다른 느낌.
본격적인 분석 X.
독주곡으로 많이 이용.
관악 영산회상과 마찬가지로 하현도드리 탈락현상. → 8곡
기본곡에서도 낮은곡이므로.
악조 - 임종궁 계면조.
현, 임종궁 평조화 진행중.
(거의 모든 영산회상의 평조화가 진행중이다.)
5. 각 악곡의 특징 비교
악곡명
장, 수
장단 및 박자
특징
상영산
4장
(종지구분확실히 됨←기악화, 양식화)
20박 1장단
독주 음악으로 많이 쓰임
중령산
5장
(유일한 5장)
-파생되는 과정에서 1장이 늘어남.)
20박 1장단
5장 마지막 장단 빨라지면서 세령산으로 넘어간다.
상령산 4도↑로 파생
세령산
4장
3. 2. 2. 3
10박 1장단
중령산 가락을 빠르게 변주,
현악에서 단소-양금의 병주
가락덜이
3장
10박 1장단
세령산 1장~3장가락을
줄여서 파생
삼현도드리
4장
1장 - 10박 1장단
나머지-도드리장단
(6박자)
1장-돌장(가락덜이와 연결)
나머지-6박자도드리음악
1장 = 4장(선율반복)
하현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삼현도드리를 4도↓로,
2장 이하 곡을 변주한 곡
염불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육자염불”이란 곡으로 앞부분만 있었으나 역사적 흐름에 따라 도드리화 된 곡.
타령
4장
12박 타령장단
경쾌한 느낌 삼현육각
군악
4장
12박 타령 장단
확실히 평조라는 느낌.
태주궁 평조.
(나머지 대부분이 황종궁)
2장부터 태주궁 평조
3장 - ‘권마성’ 등장.
관악에의해(대금,피리)
권마성 : 가마꾼들이 행차할 때 하는 높은 소리
대취타
취타(만파정식지곡)
용
도
行樂
행진음악, 감상음악
악기
편성
타악기 - 자바라, 장고, 용고
관악기 - 나발, 나각
유일한 선율악기 - 태평소
향피리 중심
산현육각 편성
요즘에 들어 관현악 편성
장
단
1행 12정간. 20장단
특징
야외에서 연주하는 것을 감안 해
피리 - 한 옥타브↑ 연주
씩씩하고 호탕한 느낌
대취타를 장2도↑ 관현악곡으로 편성한 곡.
100% 향악화 됐다고 할 수 有
5. 종류
길군악
-취타 바로 뒤에 이어지는 관악곡
길타령
-우림령, 일승월항지곡
선
법
태주 평조
음
계
5음음계(태주, 고선, 임종, 남려, 청황종)
장
4장(3장까지 연주하고 12장을 반복한다)
4장
장
단
8박 1장단
12박1장단
악기
편성
삼현육각(피리 : 한 옥타브↑연주)
광장음악적 특징
특징
가사길군악, 민요길군악 등 많은 파생곡이 생겼다.
타령에서 파생되어졌다.
별우조타령
- 관악 합주곡으로 영산회상중 타령을 우조로 변조한 별개의 타령이란 뜻.
- 독립적으로 연주 X ,취타에서 길군악 길타령 별우조타령으로 계속 연주.
- 타령장단
- 4장 36장단
- 광장 음악적 특징을 갖음.
군악
- 타령 뒤에 있는 군악을 말함.
- 임의적으로 짜여져 있는 음악이며 궁과 관련한 감상위주의 곡.
- 4장
- 12박 1장단
- 타령 장단
<영산회상>
1. 유래
- 불교음악
- ‘영축산’ - 석가모니가 첫 번째 깨달음을 얻은 후 말한 설법.
‘축’이 탈락하고 영산+ 모일 회+상
2. 변천과정
15C 「대악후보」,「악학궤범」- ‘영산회상불보살’이라는 가사의 성악곡.
향악정재,
상령산의 형태기악화가 되면서 곡 확장.
17C 1610 「양금신보」- 줄풍류 음악 (양반들이 즐기던 민간의 풍류방음악)
1641 「이수삼산제불금보」- 줄풍류 음악으로 완전히 정착
1741 「한금신보」- 선율변주, 반복, 여러곡으로 분할이 일어남.
1779 「어은보」- 현행 중령산 최초 등장
19C초 북학파의 실학사상 → 사회적, 음악적으로 커다란 변화.
「유예지」- 현행 상령산 ~ 중령산까지의 형태 나타남. 모음곡형태X
기악화, 세속화 개인의 재량에 따라...
1841년 「삼죽금보」- 모음곡의 현태로 완성.
중중 때부터 가사는 탈락되고 기악화가 되면서 점차 완전한 세속화가 일어났다.
타령, 군악, 염불 ⇒ 줄풍류와 상관이 없는 듯 하나 실학에 바탕을 두고
민속 ↓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면서 여러 방면으로 다양한 흡수가
취타계 일어났다.
불교음악계
3. 악기계통별 분류
15C 영산회상(현악) : 향악정재
l
기능상필요에 의해4도↑변조 현악영산회상4도↓변조
17C줄풍류음악(현악) -관악영상회상 평조회상
: 양반, 중인 이용 궁중내 -1장단 향당교주 - “춘앵전” 반주음악
-연향:처용무반주음악 같은곡이지만 다른느낌 곡
궁중외 - 민간, 대풍류 필요에 의해 파생 됨.
오위영 세악수 -군악
↓더깊은 민간음악으로 전승
탈춤
장소 : 풍류방 장소 : 궁중 내, 외
중요성 : 장소에 따라 음악적 특징이 달라진다.
4. 종류
1) 현악 영산회산
아명 : 중광지곡
용도 : 풍류방에서 줄풍류 음악으로 사용
연주악기 : 세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거문고
음량이 적은 편성 : 풍류방 음악이므로,방에서 즐길수 있는 편성
특징- 뒤에 천년만세가 붙어 ‘가즌회상’으로 불림
- 별곡이 붙는 형태가 특이
- 상령산 ~ 세령산 : 속도가 잠점 빨라 짐.
악조 : 황종궁 계면조 「대악후보」 상령산
But 그 후에 음악에는 계면조 X.
거의 모든 곡의 평조화 현, 중려궁 평조쪽으로 해석.
2)관악영산회상
아명 : 표정만방지곡
기능 : 정재에 춤 반주음악으로 쓰임.
악기 : 삼편육각 편성, 향피리, 대금, 해금, 장구, 좌고
특징 춤 반주 음악으로 상령산 향당교주라 부름.
함령지곡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현악영산회상에 비해 높은 음, 길게 끄는 음이 가능 ← 관악기사용으로
음량이 크다 - 대금 : 역취법
- 장구 :복판을 친다.
춤의 분위기 조성을 위해 리듬이 상당히 역동적이다.
박자의 절주 : 신축성 - 피리, 장구의 호흡이 중요
연음기법 나타남 (→ 피리가 나타나면 연음형식 자동)
3) 평조회상
아명 - 유초신지곡
용도 - 춤 반주. 관악영산회상과는 또 다른 느낌의 곡 필요에 의해 만들어짐.
악기편성 - 관악 + 현악 : 향피리 중심의 관현합주 편성.
대금, 향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고
특징 황종궁 → 우조음악 낮은 조로(4도↓ 조옮김)이 되었기
임종궁 → 평조음악 때문에 다른 느낌.
본격적인 분석 X.
독주곡으로 많이 이용.
관악 영산회상과 마찬가지로 하현도드리 탈락현상. → 8곡
기본곡에서도 낮은곡이므로.
악조 - 임종궁 계면조.
현, 임종궁 평조화 진행중.
(거의 모든 영산회상의 평조화가 진행중이다.)
5. 각 악곡의 특징 비교
악곡명
장, 수
장단 및 박자
특징
상영산
4장
(종지구분확실히 됨←기악화, 양식화)
20박 1장단
독주 음악으로 많이 쓰임
중령산
5장
(유일한 5장)
-파생되는 과정에서 1장이 늘어남.)
20박 1장단
5장 마지막 장단 빨라지면서 세령산으로 넘어간다.
상령산 4도↑로 파생
세령산
4장
3. 2. 2. 3
10박 1장단
중령산 가락을 빠르게 변주,
현악에서 단소-양금의 병주
가락덜이
3장
10박 1장단
세령산 1장~3장가락을
줄여서 파생
삼현도드리
4장
1장 - 10박 1장단
나머지-도드리장단
(6박자)
1장-돌장(가락덜이와 연결)
나머지-6박자도드리음악
1장 = 4장(선율반복)
하현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삼현도드리를 4도↓로,
2장 이하 곡을 변주한 곡
염불도드리
4장
도드리 장단
“육자염불”이란 곡으로 앞부분만 있었으나 역사적 흐름에 따라 도드리화 된 곡.
타령
4장
12박 타령장단
경쾌한 느낌 삼현육각
군악
4장
12박 타령 장단
확실히 평조라는 느낌.
태주궁 평조.
(나머지 대부분이 황종궁)
2장부터 태주궁 평조
3장 - ‘권마성’ 등장.
관악에의해(대금,피리)
권마성 : 가마꾼들이 행차할 때 하는 높은 소리
추천자료
동물성 자연독 종류, 원인물질과 특징, 증상
열전대의 원리와 종류 및 그 특징
독일의 장기요양보험제도A+ (특징, 발달과정, 종류, 내용)
식품과 영양의 정의와 종류 및 유래, 특징, 분류, 효소, 제법, 갈변, 냄새, 색소, 맛, 활용도...
단기금융상품 재테크의 이유, 종류, 방법, 개념, 특징, 고려사항, 효과, 특징, 성과, 문제점,...
[현대인과 패션] 원료섬유 종류, 신소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신소재 사례와 특징, 사용상...
노인복지시설의 종류를 기재하고 그 특징을 비교하여 기술.
드라마의 종류에 따른 언어의 특징
[음식문화사_한국 전통식품]된장(콩의 역사, 된장의 유래), 간장의 역사와 유래 및 종류, 고...
[생화학] 지방 및 대사 - 지방의 특징, 지방산의 특징, 지질의 종류, 지질대사
엔진의 종류 및 설명 (정의) (가스터빈엔진이란?, 가스터빈엔진의 종류, 가스터빈의 특징)
[솔로 이코노미 현상] 솔로 이코노미 (Solo Economy) - 솔로 이코노미 원인과 특징, 종류 및 ...
레트로 마케팅의 개념과 특징레트로 마케팅의 기본원리레트로 마케팅의 종류레트로 마케팅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