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마토그래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적

2. 원리

3. 실험방법

4. 실험 시 주의 사항

5. 실험 기구 및 시약

6. 사용되는 지시약

7. 결과레포트

본문내용

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그 극성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전 세미나를 통해 이 시약들의 극성크기를 예상하였다. 먼저 극성이 제일 클 것으로 판단되었던 것은 브로모페놀블루였다. 그 이유는 Br의 분자량(4개 결합)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다음은 Br 2개가 결합되어있는 브로모크레졸퍼플일 것이라 생각되었다. 또한 남은 두 시약인 페놀프탈레인과 페놀레드 중 분자량이 더 큰 페놀레드(SO3포함)가 더 큰 극성을 띨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실제 실험 결과 페놀레드와 브로모크레졸퍼플이 순서가 뒤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자량 이외에 결합에 관련된 성질이 작용했다고 판단된다.
실험 간에 TLC실험에서 반점이 전개액 내에 있는 용매 속에 잠기게 되었다면, 아마도 떨어뜨린 시약이 TLC판 윗부분(전개액을 따라)에 정확히 다다르지 못하고, 하향 또는 전(全) 방향으로 분산되어 우리가 원하는 실험 결과를 전혀 얻지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 후 생긴 또 다른 의문점 중 전개액을 담은 비커의 입구를 막지 않았다면 용매의 전개가 수월하게 이루어 지지 않았을 것이며, 심지어 전개액이 모두 증발하여 TLC판에서 충분히 전개되지 않아 다른 시약의 검출이 용이하지 못했을 것이고, Rf값에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실험 결과 값을 도출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실제 위 실험에서 페놀프탈레인과 브로모크레졸퍼플이 높은 위치까지 올라갔으나, 실험도중 전개액이 증발하면 두 시약이 같은 높이까지 도달한 후 실험이 종료되어 다시 실험을 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하게 될 것이다. 실제 우리가 실행한 실험을 통해서 TLC판을 비커에서 꺼낸 직후, 전개액이 순식간에 증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반드시 시계접시를 덮어야 한다.
TLC판에 전개액이 균일한 속도로 올라가지 않는다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 있다. 실험결과 가운데가 위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전개액이 올라간 것으로 미루어 볼 때, TLC 판 가운데 부분이 약간 더 빠른 속도로 올라갔다는 것을 추측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오차허용범위 이내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만약 다이클로로메탄과 메탄올의 5:1 혼합 용액이 아닌 중성인 물을 사용한다면 이 실험자체가 극성은 극성끼리 비극성은 비극성끼리 잘 섞이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인데 만약 중성인 물을 사용한다면 만약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효과적인 실험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TLC판에 시료를 묻힐 때 균일한 크기와 균일한 양의 시료를 정확히 묻히지 못하여서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을 것이다. 페놀프탈레인 같은 경우 무색으로 육안으로는 용액을 떨어뜨렸는지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였으므로, 이때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그리고, TLC판의 시약이 묻은 부분을 손으로 만졌을 경우, 미세한 홈이 파이거나, 실험진행에 방해를 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Tip :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시료가 올라가는데, 윗점과 아랫점을 고려해서 따로 분석하면 플러스 될것임.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1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