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소설에서 배경의 기능
1.개연성 부여
2.인물의 성격 형성
3.메타포 로서의 기능
Ⅱ.배경의 유형
Ⅲ.작가 소개
Ⅴ.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 분석
Ⅳ.작품의 이해
Ⅵ.발표를 마무리 하며
1.개연성 부여
2.인물의 성격 형성
3.메타포 로서의 기능
Ⅱ.배경의 유형
Ⅲ.작가 소개
Ⅴ.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 분석
Ⅳ.작품의 이해
Ⅵ.발표를 마무리 하며
본문내용
골 장터 풍경 묘사, 주인공 허 생원을 닮은 나귀 묘사 등은 뚜렷한 사실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인간의 삶을 운명적으로 표현한 세 가지는, 단 한 번의 연애에 대한 추억과 동행하는 ‘동이’가 아들이라는 생각, 그리고 세 인물이 모두 불행하고 가난하고 외로움 등이다.
Ⅴ.<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 분석
메밀꽃 필 무렵 은 허 생원의 한평생의 이야기를 펼쳐 가는 일련의 플롯과 봉평장에서 대화장으로 옮겨 가는 장돌뱅이들의 이동이라는 일련의 플롯이 뒤섞여 있다고 하겠다. 이 가운데서, 장돌뱅이들의 이동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공간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겠다.
<봉평장 → 객주집 → 산길(개울, 메밀밭) → 대화장>
즉, 봉평장을 끝내고 술집에서 두 사람이 갈등을 일으키는 것, 밤길에서 허 생원이 자신의 추억을 말하는 것, 개울을 건널 때 친자임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을 ‘혈육 찾기’라는 핵심적 모티브(motive)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배경은 단순한 사건의 환경이 아니라 잊혀졌던 과거를 회상시키고, 더 적극적으로는 동이와 허 생원의 다툼을 화해(和解)시키는 기능(機能)을 하기도 한다. 이런 배경(背景)은 작은 사건보다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플롯 진행에 참여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개울’이라는 배경은, 동이와 허 생원간의 혈육(血肉)의 정을 더욱 강화(强化)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허 생원이 개울에 빠져 동이의 등에 업힘으로써 오히려 동이에게 혈육 같은 정을 느끼고 그로 하여금 동이의 어머니가 있다는 제천으로 가볼 결심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작품의 정신적 배경은 향토적(鄕土的), 서정적(抒情的), 원시적(原始的), 육감적(肉感的)이라는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그 네 배경이 모두 직접적으로 제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품 속에서 간접적으로 시사(示唆)해 준다고 할 것이다. 특히, ‘향토적이고 서정적이며 육감적’인 정신적 배경은 동이와 허 생원에게 있어서 인생의 전환점(轉換點)을 이루었던 몇몇 행동 속에 철저히 투영(投映)되고 있다. 허 생원이 성 서방네 처녀와 물레방앗간에서 인연을 맺을 때 동이와 허 생원 사이의 관계가 암시되면서 그 점이 잘 드러난다 하겠다.
Ⅵ.발표를 마무리 하며
근대소설이 인물의 성격이나 행위에 역점을 두고 구축되는 데 비해 효석은 공간에 의해 서사체를 구축하였다. 그의 소설에 있어서 공간이란 단순한 배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징화되어 인물의 행위에 작용하고 주제와 융합되어 작품자체가 심상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공간과 인물행위와 주제가 완벽하게 융합되었을 때 극적 효과가 크고 작품으로 성공하고 있음을 보게 되었다. 한편, 서사구조의 핵을 이루는 것은 자연과 애욕의 세계로써 효석은 한국 현대문학에 성과 자연의 문학을 꽃피운 작가라 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용남 ,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1
권정호, 『이효석 문학 연구』, 월인사, 2003
이상옥, 『이효석』, 민음사, 1993
우한용 외3명,『현대소설의 이해』 , 새문사, 1999
여기서 인간의 삶을 운명적으로 표현한 세 가지는, 단 한 번의 연애에 대한 추억과 동행하는 ‘동이’가 아들이라는 생각, 그리고 세 인물이 모두 불행하고 가난하고 외로움 등이다.
Ⅴ.<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 분석
메밀꽃 필 무렵 은 허 생원의 한평생의 이야기를 펼쳐 가는 일련의 플롯과 봉평장에서 대화장으로 옮겨 가는 장돌뱅이들의 이동이라는 일련의 플롯이 뒤섞여 있다고 하겠다. 이 가운데서, 장돌뱅이들의 이동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공간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겠다.
<봉평장 → 객주집 → 산길(개울, 메밀밭) → 대화장>
즉, 봉평장을 끝내고 술집에서 두 사람이 갈등을 일으키는 것, 밤길에서 허 생원이 자신의 추억을 말하는 것, 개울을 건널 때 친자임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을 ‘혈육 찾기’라는 핵심적 모티브(motive)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배경은 단순한 사건의 환경이 아니라 잊혀졌던 과거를 회상시키고, 더 적극적으로는 동이와 허 생원의 다툼을 화해(和解)시키는 기능(機能)을 하기도 한다. 이런 배경(背景)은 작은 사건보다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플롯 진행에 참여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개울’이라는 배경은, 동이와 허 생원간의 혈육(血肉)의 정을 더욱 강화(强化)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허 생원이 개울에 빠져 동이의 등에 업힘으로써 오히려 동이에게 혈육 같은 정을 느끼고 그로 하여금 동이의 어머니가 있다는 제천으로 가볼 결심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작품의 정신적 배경은 향토적(鄕土的), 서정적(抒情的), 원시적(原始的), 육감적(肉感的)이라는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그 네 배경이 모두 직접적으로 제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품 속에서 간접적으로 시사(示唆)해 준다고 할 것이다. 특히, ‘향토적이고 서정적이며 육감적’인 정신적 배경은 동이와 허 생원에게 있어서 인생의 전환점(轉換點)을 이루었던 몇몇 행동 속에 철저히 투영(投映)되고 있다. 허 생원이 성 서방네 처녀와 물레방앗간에서 인연을 맺을 때 동이와 허 생원 사이의 관계가 암시되면서 그 점이 잘 드러난다 하겠다.
Ⅵ.발표를 마무리 하며
근대소설이 인물의 성격이나 행위에 역점을 두고 구축되는 데 비해 효석은 공간에 의해 서사체를 구축하였다. 그의 소설에 있어서 공간이란 단순한 배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징화되어 인물의 행위에 작용하고 주제와 융합되어 작품자체가 심상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공간과 인물행위와 주제가 완벽하게 융합되었을 때 극적 효과가 크고 작품으로 성공하고 있음을 보게 되었다. 한편, 서사구조의 핵을 이루는 것은 자연과 애욕의 세계로써 효석은 한국 현대문학에 성과 자연의 문학을 꽃피운 작가라 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용남 ,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2001
권정호, 『이효석 문학 연구』, 월인사, 2003
이상옥, 『이효석』, 민음사, 1993
우한용 외3명,『현대소설의 이해』 , 새문사,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