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대형 할인 소매점 이용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분석

Ⅳ. 맺음말

본문내용

있으며 30분 이상을 자동차로 이동하여 소매점을 이용하고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약 1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형할인 매장이 지리적인 면에서 해당지역별로 지역화되어 이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대형할인 매장의 위치 선택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표 8> 거 리
30분 이내
30분 - 1시간
1시간 이상
220(80.6%)
41(15.0%)
12(4.4%)
본 연구지 두 번째 목적인 소비자의 대형할인 매장 이용관련 만족도에 대한 조사는 소매점과 관련된 6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주차문제, 가격, 품질, 취급품목, 계산 대기시간, 서비스의 6개 변수를 이용하였으며 척도는 매우 불만족에서 매우 만족까지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표 9>에 종합되어 있다.
<표 9> 대형할인 소매점 이용에 대한 만족도
매우불만족
약간불만족
보 통
약간만족
매우만족
주차문제
가 격
품 직
취급품목
계산대기시간
서비스
18( 6.6)
0( 0.0)
1( 0.5)
11( 4.0)
29(10.6)
28(10.8)
46(16.8)
13( 4.8)
40(14.7)
51(18.7)
77(28.2)
70(25.6)
76(27.8)
102(37.4)
129(47.3)
113(41.4)
96(35.2)
131(48.0)
65(23.8)
133(48.7)
93(34.1)
80(29.3)
45(16.5)
35(12.8)
68(24.9)
25( 9.2)
10( 3.7)
18( 6.6)
26( 9.5)
9( 3.3)
우선 전체적인 만족도의 분포를 살펴 보면, 가격을 제외하고는 모든 측정변수에 있어서 보통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는 매우 불만족이나 매우 만족이라는 양극단에 치우쳐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가격에 관한 만족도의 결과를 보면 매우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은 273명 중 한명도 없으며 약간 불만족이라는 응답도 5% 미만에 그쳐 대형 할인 매장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거의 전 고객이 대형할인 매장의 가격수준에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가격의 만족은 품질의 부실함을 뜻하는 경우가 많은데 품질 만족도의 결과를 살펴 보면 약 85%의 고객이 품질이 보통이거나 만족스럽다고 응답한 것을 보면 대형할인매장이 상품의 품질면에 있어서도 뒤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대다수의 고객들이 만족스러운 품질의 상품을 만족스러운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은 대형할인 매장의 강점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주차문제와 취급품목면에서는 각기 77%의 응답자가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현 고객들의 주차와 취급품목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끝으로 계산대기 시간과 종업원의 서비스 측면은 다소 높은 불만족을 보이고 있는데 보통 이하의 불만족을 표시한 고객은 각각 74%와 84%로 나타나 대형할인 매장 운영에 있어서 계산대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수 있는 방법과 보다 친절한 고객서비스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Ⅳ. 맺 음 말
본 연구는 새로운 소매형태로 최근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대형할인 매장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형할인 매장의 일반적 이용실태를 조사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주고객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이용한 기술, 구매행동관련 변수를 통한 이용실태 파악, 그리고 대형할인 매장의 매장관련 변수를 이용한 만족도를 측정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형할인 매장을 이용하는 주고객은 역시 20대와 30대의 여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월평균 가계소득은 대다수가 100만원에서 300만원에 속하고 있으며 거의 모두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행동 관련 변수를 통한 구매행태는 대부분의 고객이 1년 이상씩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대형할인 매장을 이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1개월에 2-4번 이상씩 이용하고 1회의 구매액수는 대다수가 1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구입하는 품목은 일반식료품으로 약 61%의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차로 30분 이내의 매장을 이용하는 지역적 고객의 이용도가 높은 것이 밝혀졌다.
끝으로 대형할인 매장 관련 변수를 이용한 고객만족도 측정에서는 계산 대기시간과 서비스 부분에서 비교적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소매점 관련 변수인 가격, 품질, 주차 등의 면에서는 대다수가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대형할인 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일반적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형할인 매장이 국내에 소개된지 불과 수년밖에 안됨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높은 이용도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기본적 연구를 토대로 하여 대형할인 매장 운영에 관한 마케팅 전략적 측면에서 또한 소비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소비자 행동의 측면에서 이 분야를 주제로 한 보다 많은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Ⅴ. 참 고 문 헌
미일 GMS패턴을 알아본다, 월간 경영과 마케팅, pp. 30-33.
이성조배수현, 새유통관리론, 무역경영사, 1996년.
이승영김미정, 외국업체의 진입과 당면과제, 유통연구 제1권 제2호, 1996, pp. 236-238.
임영균, 가격파괴의 허와 실, 소비자를 알아야 한다, 세경사, 1995년.
조용희, 하이퍼마켓의 점포컨셉트와 업체특성, 마케팅 논집 제1권, 대구경북 마케팅학회, pp.131-149.
주우진, 신유통업태의 분석, 유통연구, 창간호, 1996, pp.11-12.
한국 소매유통업의 대형기수들, 그들의 행보를 짚어본다, 유통저널, 1997.5월호, pp. 75-79.
한국마케팅연구원, 마케팅 신용어사전, 1996년.
Berman and Evans, Retail Management, 5th ed., MacMillan, 1992, p. 98-99.
Dunne, Lusch, Gable, and Gebhardt, Retailing, S-W Publishment Co., 1992, p. 51.
Keegan, Moriarty, and Duncan, Prentice Hall, 1992, pp.619-621.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11.1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