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 원리 및 목적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실험고찰
6. 참고문헌
2. 원리 및 목적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
5. 실험고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4. 실험결과
1) 용해도
solvent
soluble
acetone
x
cholroform
o
methyl alcohol
x
ethyl acetate
x
toluene
o
dimethyl sulfoxide
x
2) NMR
St 단위 중의 페닐기의 양성자는 6.0~7.5에 나타난다. 한편 MMA 단위중의 a-메틸기의 양성자는 0.5~1.2 사이에 나타나고, 메톡시기의 양성자는 2.8~3.6에서 나타나는데, a-메틸기를 특정하기가 더 쉽다. St 부분 중의 페닐기와 MMA단위중의 a-메틸기의 특징적인 양성자의 면적비를 계산하면, 공중합체의 조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스펙트럼에서 보면, St의 페닐기부분의 적분한 면적이 34.90 이고, MMA의 a-메틸기의 적분한 면적이 45.78이다. 이들의 비는 34.90 : 45.78 이다.
이를 통해 styrene과 MMA의 공중합의 조성비를 짐작할 수 있다.
5. 실험고찰
① 중합 시, 온도를 급격히 올리게 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서서히 올려준다.
② 용액에 불순물이 있거나, NMR 기계의 이상으로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은 것 같다.
6. 참고문헌
고분자 실험 (자유 아카데미)
4. 실험결과
1) 용해도
solvent
soluble
acetone
x
cholroform
o
methyl alcohol
x
ethyl acetate
x
toluene
o
dimethyl sulfoxide
x
2) NMR
St 단위 중의 페닐기의 양성자는 6.0~7.5에 나타난다. 한편 MMA 단위중의 a-메틸기의 양성자는 0.5~1.2 사이에 나타나고, 메톡시기의 양성자는 2.8~3.6에서 나타나는데, a-메틸기를 특정하기가 더 쉽다. St 부분 중의 페닐기와 MMA단위중의 a-메틸기의 특징적인 양성자의 면적비를 계산하면, 공중합체의 조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스펙트럼에서 보면, St의 페닐기부분의 적분한 면적이 34.90 이고, MMA의 a-메틸기의 적분한 면적이 45.78이다. 이들의 비는 34.90 : 45.78 이다.
이를 통해 styrene과 MMA의 공중합의 조성비를 짐작할 수 있다.
5. 실험고찰
① 중합 시, 온도를 급격히 올리게 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서서히 올려준다.
② 용액에 불순물이 있거나, NMR 기계의 이상으로 결과가 잘 나오지 않은 것 같다.
6. 참고문헌
고분자 실험 (자유 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