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철학하기//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로 철학하기//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화속의 과정을 나누워 분류하고

인물간의 배경과 차이점를 비교

본문내용


신속화
이것은 사람들이 자기반성을 할 시간을 주지 않음으로써 급하게 서두르게 만든다. 그러면서 점차 일을 빨리 처리해야한다는 강박 관념에 사로 잡혀 즉흥적이고, 무책임한 행동 양식을 낳는 현상.
「패싸움」부분에서 예고생과 공고생들 간의 싸움, 그리고 성빈이 충동적인 살인을 저지르게 되는 장면.
기계화
이것은 조직화되는 대중 사회 속에서 자기의 개성을 상실하고, 오직 결과에 의해서만 평가하는 현상.
「악몽」부분에서, 보호 감찰원, 아버지, 카센터 사장의 모습.
자동화
특정한 자극에서 자동적으로 반응하게 함으로써 생각하기를 꺼려하게 만듦으로써 책임과 비판 능력도 잃고 삶에 대한 기쁨이나 보람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현상
[패싸움]에서의 당구장주인
[현대인]에서의 석환과 태환의 인터뷰 모습.[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에서 상환이 깡패를 동경하는 모습. 영화전반에 나오는 싸움장면.
물량화
인간을 하나의 인격체가 아닌 하나의 물건으로 봄으로써 인간의 존엄성을 약화시키는 현상
[악몽]에서의 석환의 태도, 보호 감찰원의 모습.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에서 선생님의 모습. 다른 폭력배와의 싸움에서 경력이 없는 애들이 희생양으로 삼는 부분.
대중화
다양한 문화 속에서 같은 것들을 추구함으로써 개개인의 개성을 잃고 획일적인 것에 익숙해지면서 비슷한 사고방식을 갖게 되는 현상
[악몽]에서 드러난 조연 인물들의 태도(아버지, 보호 감찰원, 카센터 사장)
[현대인]에서 깡패와 형사의 비슷한 사고방식
이제까지 4개의 섹션 속에서 장르적인 특징과 함께 대중문화의 요소, 문제점들을 찾아보았다. 이제 이러한 모습을 분류표를 통해 보다 정리해보자.
이 영화 속에서는 위에 나타나 표처럼 대중문화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요소에 관해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사회의 어두운 모습들 속에서, 부정적인 요소들이 주로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영화는 이러한 사회적인 요소 속에서 개개인이 주체적인 삶을 살지 못하고, 자기의 의지에 벗어나는 삶을 사는 인물의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문화의 문제점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영화이다. 흔히 우리 자신이 사회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면서 살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보듯이 우리는 우리가 행사한 만큼 우리가 만들어 놓은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오히려 사회는 우리를 ‘편견’이라는 잣대를 이용하여 개인의 삶을 변화 시키고, 그것이 옳고 그르건 간에 그 삶 속에서 그 의미를 찾게 해줌으로써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영화는 석환과 성빈 그리고 동생 상환까지의 등장을 시간의 흐름 속에서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가치관을 통해 대중문화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간의 흐름과 변화 속에서도 그들은 모두 우리 현재의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영화는 이러한 대중문화적인 틀 속에서 변화되어지는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사회를 사는데 진정으로 가치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1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