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istamine의 유래
2. Histamine의 생합성, 분포, 저장 및 대사
3. Histamine의 생리적 역할
4. Histamine의 약리학적 작용
5. Histamine 길항 약물
2. Histamine의 생합성, 분포, 저장 및 대사
3. Histamine의 생리적 역할
4. Histamine의 약리학적 작용
5. Histamine 길항 약물
본문내용
것이 없다. H2 길항제는 산의 농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위액양도 감소시키고 위벽의 주세포에서 유리되는 pepsin의 분비도 감소시킨다. 아울러 내인성 인자의 분비도 감소되나 비타민 B12의 흡수는 별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흡수및 배설
H2 길항제는 경구 투여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충분히 흡수된다.
3) 부작용
Cimetidine을 장기간 투여하면 androgen 길항 효과로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남성에서 여성 유방증등이 나타나고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재생불량성 빈혈, 남자 정충 생성 억제, 임신 부절 유발한다
) 이 외에 재생불량성 빈혈, 남자 정충 생성 억제, 임신 부절 유발한다(수업시간中)
.
4) 임상응용
1 십이지장 궤양과 위 궤양
H2 수용체 길항제는 기초 또는 야간 분비 뿐만 아니라 음식등 각종 자극에 의한 분비도 억제함으로 궤양 환자의 통증을 제거해주고 제산제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4-8주간 치료하면 소화성 궤양이 치유되나 환자중 10%는 장기간의 치료를 요한다.
2 Zollinger-Ellison 증후군
췌장의 비 β세포 종양에서 대량의 gastrin이 분비되어 심한 위산 분비 항진이 나타나는 중후군이며 이는 생명에 위험을 주기도 하는데 수술전에 H2 길항제를 효과있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수술을 못하는 경우라도 단독으로 사용할수 있다.
3 위 식도 역류 질환
이 질환의 장기치료에 H2 수용체 길항제가 매우 효과 있게 사용된다. 이때는 소화성 궤양의 치료시 사용하는 양보다 대량을 사용해야 하고 하루 두번씩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3 H3 수용체 효현제와 길항제
H3 수용체는 최근에 알려진 histamine 수용체이다. 중추신경에 histamine성 신경 섬유말단에 있는 전 시낱시스에 존재하여 histamine의 합성과 유리를 되먹이로 조절하는 수용체이다. H3 수용체에 특이적인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약물로는 thioperamide와 clobenpropit등이 연구되고 있다. 효현제로서는 (R)-a-methylhistamine이 H3 수용체에 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며 H1 수용체에 의한 각성을 억제하여 진정 작용을 나타낸다. 말초 심맥 관계에서는 혈관 주위 교감 신경 자극 전달을 억제하여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참고문헌
김경환 ,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 의학문화사, 1998년.
의과대학 교수편, Katzung's 임상약리학, 한우리, 1998년.
2) 흡수및 배설
H2 길항제는 경구 투여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충분히 흡수된다.
3) 부작용
Cimetidine을 장기간 투여하면 androgen 길항 효과로 성욕 감퇴, 발기 부전, 남성에서 여성 유방증등이 나타나고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재생불량성 빈혈, 남자 정충 생성 억제, 임신 부절 유발한다
) 이 외에 재생불량성 빈혈, 남자 정충 생성 억제, 임신 부절 유발한다(수업시간中)
.
4) 임상응용
1 십이지장 궤양과 위 궤양
H2 수용체 길항제는 기초 또는 야간 분비 뿐만 아니라 음식등 각종 자극에 의한 분비도 억제함으로 궤양 환자의 통증을 제거해주고 제산제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4-8주간 치료하면 소화성 궤양이 치유되나 환자중 10%는 장기간의 치료를 요한다.
2 Zollinger-Ellison 증후군
췌장의 비 β세포 종양에서 대량의 gastrin이 분비되어 심한 위산 분비 항진이 나타나는 중후군이며 이는 생명에 위험을 주기도 하는데 수술전에 H2 길항제를 효과있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수술을 못하는 경우라도 단독으로 사용할수 있다.
3 위 식도 역류 질환
이 질환의 장기치료에 H2 수용체 길항제가 매우 효과 있게 사용된다. 이때는 소화성 궤양의 치료시 사용하는 양보다 대량을 사용해야 하고 하루 두번씩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3 H3 수용체 효현제와 길항제
H3 수용체는 최근에 알려진 histamine 수용체이다. 중추신경에 histamine성 신경 섬유말단에 있는 전 시낱시스에 존재하여 histamine의 합성과 유리를 되먹이로 조절하는 수용체이다. H3 수용체에 특이적인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약물로는 thioperamide와 clobenpropit등이 연구되고 있다. 효현제로서는 (R)-a-methylhistamine이 H3 수용체에 선택성을 가지고 있으며 H1 수용체에 의한 각성을 억제하여 진정 작용을 나타낸다. 말초 심맥 관계에서는 혈관 주위 교감 신경 자극 전달을 억제하여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참고문헌
김경환 ,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 의학문화사, 1998년.
의과대학 교수편, Katzung's 임상약리학, 한우리, 1998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