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 SWOT 분석 -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 SWOT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회사소개

ⅱ. 기업의 사명

ⅲ. 상황분석
1. 외부환경분석
2. 내부환경분석

ⅳ. 기업의 목표

ⅴ. 스타벅스의 SWOT분석

ⅵ. 시장 세분화 전략

ⅶ. 표적 시장 전략

ⅷ. 포지셔닝 전략

ⅸ. 마케팅 믹스 전략 (5P)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5. 사람(People)

ⅹ. 스타벅스의 감성 리더쉽

본문내용

흡하며 이것을 사원들의 행동 가치인 사명(미래를 이끌어갈 목적에 대한 감각)으로 바꿔 놓아야 한다. 스타벅스는 커피가 중심이 되는 '제3의 장소'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사명을 명문화 하여 전 직원들의 행동기준으로 삼고 있다.
스타벅스 우리의 운명
훌륭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서로서로 존경과 품위로 대한다.
비즈니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양성을 필수 요소로 포용한다.
최고 수준의 기술로 신선한 커피를 배달하고 ,매입하고 ,배전한다.
고객들이 항상 만족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우리 사회와 환경에 적극적으로 공헌한다.
수익성은 우리 미래의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③ 직영점을 운영하라. - 양보다 질로 승부하라.
제조업의 경우 자동화를 실시하면 품질의 균일화가 가능하지만, 이와 달리 서비스업은 품질의 기복이 심하다. 갑자기 양을 늘리면 질이 떨어진다. 반대로 질을 유지하면서 판매량을 늘릴 수가 있다.
'스타벅스가 점포를 직영점으로 운영하는 이유
1.최고의 품질 유지
-커피 생두의 채취에서 배전하는 과정, 고객에게 한잔의 커피를 서비스 하는 모든 단계까지 스타벅스 직원들에 의해 관리될 때만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믿음.
2.커피를 서비스하고 매장을 관리 하는 사람들.
-직원을 채용한 뒤에도 철저하게 교육해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가 나올 수 있다.
3.품질과 서비스를 중요시 하는 기업문화를 만들 수 있겠느냐는 우려.
-스타벅스에서는 바리스타에게 커피 취급 방법뿐 아니라 고객에게 회사의 제품에 만족하게 만드는 기술도 가르친다.
직원들 개개인이 회사의 비전과 가치를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고객에게도 올바른 서비스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가 점포의 숫자를 짧은 시간 안에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 직영점은 품질과 서비스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④ 직원이 아닌 동업자로 만들어라. - 서비스하는 것에 자신감을 갖게 하라.
서비스업 종사자 가운데 의뢰로 많은 사람이 서비스하는 일에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자신감이 결여된 서비스가 좋게 나올 리도 없고 고객 또한 좋아할 까닭이 없다. 고객에게 좋은 서비스를 하길 원한다면 먼저 직원들에게 자신감부터 갖게 하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의료보험 혜택 제공
-직원들을 단순히 고용인 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회사경영의 동업자라고 여겼기 때문.
' 빈 스톡 (bean stock)
-하늘까지 자란 잭의 콩 줄기를 연상시키는 이름.
-직원의 기본급 수준에 따라 전 직원에게 주식매수 선택권을 주는 것.
-직원들에게 주주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안겨줌.
고객에게 서비스를 하는 직원의 마음이 즐거워지면 고객 만족을 위해서 하나라도 더 해주고 싶어 적극적으로 나서게 될 것이다.
⑤ IT로 감성 정보를 수집하라. - 고객의 정보를 공유하게 하라.
서비스업이나 판매업은 점포가 전국에 흩어져 있는 관계로 소속감이 떨어지고 정보를 공유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정보 기술을 이용하여 직원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고객의 정보를 보사와 공유함으로써 일체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2001년부터 인터넷으로 매장 정보와 구매정보를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시스템 개발 운영.(전자조달 시스템)
-매장에서 받은 주문은 바로 포스단말기로 입력되어 본사데이터로 전송.
-본사 스텝들은 각 매장의 주문정보를 분석하여 매장별로 관열 상품의 구매 패턴 분석.
-지역별, 매장별 점포운영 전략과 상품 전략에 반영.
-전체 재고관리로 연동되어 판매된 만큼의 재료에 대해서는 구매로 이어짐.
⑥ 직원을 신바람 나게 만들어라. - 즐겁게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라.
리더가 직원들을 모아놓고 무작정 고객에게 미소를 지으라고 강요한다면, 과연 그 직원이 마음에서 우러나는 미소를 지을 수 있겠는가? 즐겁게 일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주면 해피바이러스가 고객에게도 자연스럽게 전달될 것이다.
서비스업에서 리더의 역할은 직원에게 지시하고 꾸짖는 것이 아니라 격려하고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직원들 스스로 고객을 만족 시키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도록 유도.
' 대부분 30세 이하의 직원들
-핵심고객층이 직원들과 나이가 비슷한 또래다보니 고객으로 방문하다가 정식 직원이 되기도 한다.
' 닉네임 제도
-직장 생활에 즐거움을 주고 팀 내에서도 서로를 인정하고 격려하는 분위기 조성
⑦ 컨셉으로 고객을 유혹하라. - 컨셉이 고객을 끄는 마술이다.
사람들은 종종 "나는 왠지 그곳이 마음에 든다"라는 말을 한다. 그 "왠지"라는 것이 바로 기업들이 만들어 내는 컨셉이다. 스타벅스는 이탈리아풍의 커피문화를 만들어서 젊은 여성을 유혹했고 그 달콤한 유혹을 음미하면 즐기고 있다.
'마케팅에서의 "컨셉"의 정의
-새로운 주장
-제품의 사상
-상품에 비전을 반영하고 의미를 부여하는것.
-기업이 소비대상으로 잡은 목표 고객이게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
'스타벅스의 컨셉
-이탈리아 식의 카푸치노와 카페라떼를 즉석으로 만들어 제공
-바리스타라는 커피 전문가와 고객과의 대화
-매장안에 가득한 커피 향기와 편안하고 부드러운 재즈음악 등
기업이 주장하는 컨셉은 목표고객들이 받아들였을 때 의미가 있는 것이다. 스타벅스의 새로운 커피문화에 대한 컨셉은 목표고객인 젊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라이프스타일로써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한손에 휴대폰, 다른 한 손에 초록색 로고의 스타벅스 테이크아웃 커피 잔을 들고 거리를 활보하는 젊은이들
-창가에 앉아 책을 보며 조용히 앉아 있는 여인의 모습
-노트북을 사용하는 프리랜서의 모습
★출처 및 참고문헌★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김영한, 임희정- 넥서스 출판사
‘스타벅스 커피 전문점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마케팅 전략/사례연구’
-이영희, 오경남, 김우실, 조강옥- 외식경영연구 5권-1호
http://cafe.naver.com/mnbia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84
스타벅스 마케팅 분석
www.istarbucks.co.kr
‘머니투데이(경제신문)’ 이승호기자 simonlee72@moneytoday.co.kr
2005년 4월 26일2005년 4월 26일
  • 가격3,5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