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입부
2. 내가 아는 다산 정약용은 누구인가?
3. 다산 정약용의 실학, 그 중심의 뜻은 무엇인가?
- 다산의 저서들
- 시대를 앞서가는 선구적인 그의 사상 '목민심서'
- 다산의 평등사상
- 과학기술에 대한 다산의 사상
4. 마지막으로 그의 인간적 면모에 대하여
2. 내가 아는 다산 정약용은 누구인가?
3. 다산 정약용의 실학, 그 중심의 뜻은 무엇인가?
- 다산의 저서들
- 시대를 앞서가는 선구적인 그의 사상 '목민심서'
- 다산의 평등사상
- 과학기술에 대한 다산의 사상
4. 마지막으로 그의 인간적 면모에 대하여
본문내용
주장하는 사고가 그 속에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그의 인간적 면모에 대하여
다산 정약용은 단순히 그의 업적만을 가지고서 그를 평가하기에 무척이나 인간적인 면이 다분한 인물이었다. 자신은 양반의 신분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 백성들을 항상 걱정하고 생각하는 자세에서부터 어떠한 상황에서도 청렴결백함을 유지해나가는 모습은 다산이 단순히 대학자의 범주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간적인 면에서도 우리에게 좋은 귀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껏 수업을 통해서 우리는 다산이 관리로서 신하로서 때로는 아버지와 남편, 스승으로서 자신의 주변 상황에 관계되는 모든 인물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았다. 그의 시구인 ‘애절양’에서 표현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곡산부사와 암행어사 시절 백성들의 힘겨운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백성들의 아픔이 곧 자신의 아픔인 것처럼 가슴 깊이 아파하고 그의 제자들을 받아들임에 있어서도 양반과 천민 구분할 것 재주만 있었으면 모든 걸 다 가르쳐준 그런 인간적인 사람이 다산이었다. 또한 그 뿐인가. 그가 그의 형과 함께 유배길에 오르면서 그의 형과 나누었던 이별의 아픔, 유배지에서 편지로서만 알게 되었던 그의 형의 죽음, 막내 아들의 죽음, 그는 평생 자신과 함께 하지는 못했으나 자신이 사랑하고 아꼈던 사람들의 죽음을 먼 객지에서 바라 볼 수밖에 없었던 슬픈 인생의 주인공이었다. 그에게 있어 보통 사람과 같은 생활은 오히려 호사와 같았을 지도 모른다. 그 스스로가 너무나도 강한 신념의 소유자이기에 세상에 굴복하고 자신의 신념을 지켜내는 대신 자신의 사랑하는 친지와 가족들을 잃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던 와중에도 자신의 두 아들들에 대한 훈계와 따끔한 충고를 잊지 않은 것은 그의 부성애가 얼마나 지극한 것이었는지 보여주며, 간접적으로나마 표현하는 자신의 부인에 대한 애틋한 사랑 또한 얼마나 깊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으며 가족에 대한 큰 애정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그의 인간적 면모를 알고 있는 사람이 이 나라에 얼마나 되겠는가. 많이 안타깝고 아쉬운 맘뿐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관리들이 다산의 이러한 생애에 절반만이라도 동감을 하고 반성을 할 수 있었다면 지금과 같은 부패와 부정의 그늘은 생겨나지 않았을 것인데. 지금의 세상은 그 인간미가 많이 흐려져 버린 탓에 다산의 이러한 인간미는 오늘에 와서 더욱더 사람냄새를 풍기는 것 같다.
이제 다산으로 돌아가자!!
■ 마지막으로 그의 인간적 면모에 대하여
다산 정약용은 단순히 그의 업적만을 가지고서 그를 평가하기에 무척이나 인간적인 면이 다분한 인물이었다. 자신은 양반의 신분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 백성들을 항상 걱정하고 생각하는 자세에서부터 어떠한 상황에서도 청렴결백함을 유지해나가는 모습은 다산이 단순히 대학자의 범주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간적인 면에서도 우리에게 좋은 귀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지금껏 수업을 통해서 우리는 다산이 관리로서 신하로서 때로는 아버지와 남편, 스승으로서 자신의 주변 상황에 관계되는 모든 인물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았다. 그의 시구인 ‘애절양’에서 표현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곡산부사와 암행어사 시절 백성들의 힘겨운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백성들의 아픔이 곧 자신의 아픔인 것처럼 가슴 깊이 아파하고 그의 제자들을 받아들임에 있어서도 양반과 천민 구분할 것 재주만 있었으면 모든 걸 다 가르쳐준 그런 인간적인 사람이 다산이었다. 또한 그 뿐인가. 그가 그의 형과 함께 유배길에 오르면서 그의 형과 나누었던 이별의 아픔, 유배지에서 편지로서만 알게 되었던 그의 형의 죽음, 막내 아들의 죽음, 그는 평생 자신과 함께 하지는 못했으나 자신이 사랑하고 아꼈던 사람들의 죽음을 먼 객지에서 바라 볼 수밖에 없었던 슬픈 인생의 주인공이었다. 그에게 있어 보통 사람과 같은 생활은 오히려 호사와 같았을 지도 모른다. 그 스스로가 너무나도 강한 신념의 소유자이기에 세상에 굴복하고 자신의 신념을 지켜내는 대신 자신의 사랑하는 친지와 가족들을 잃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던 와중에도 자신의 두 아들들에 대한 훈계와 따끔한 충고를 잊지 않은 것은 그의 부성애가 얼마나 지극한 것이었는지 보여주며, 간접적으로나마 표현하는 자신의 부인에 대한 애틋한 사랑 또한 얼마나 깊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으며 가족에 대한 큰 애정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그의 인간적 면모를 알고 있는 사람이 이 나라에 얼마나 되겠는가. 많이 안타깝고 아쉬운 맘뿐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관리들이 다산의 이러한 생애에 절반만이라도 동감을 하고 반성을 할 수 있었다면 지금과 같은 부패와 부정의 그늘은 생겨나지 않았을 것인데. 지금의 세상은 그 인간미가 많이 흐려져 버린 탓에 다산의 이러한 인간미는 오늘에 와서 더욱더 사람냄새를 풍기는 것 같다.
이제 다산으로 돌아가자!!
추천자료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서
목민심서
[감상문]몸을 다스리는 원칙과 백성을 사랑하는 방법 - 목민심서
[A+독후감] 목민심서를 읽고
[한문학]한시론(정약용의 조선시론
[독서감상문] 다산선생의 '지식경영법'을 읽고
[디지털손자병법] 평정심과 역경지수 - '화와 복은 같은 문으로 들어오고 이익과 손실은 바로...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교육철학]조선 성리학 이황 교육사상(교육철학), 조선 성리학 이이 교육사상(교육철학), 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