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굴암의 우수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석굴암의 우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석굴암의 우수성
(1) 위치적 우수성
(2) 연꽃광배의 미학
(3) 통일성의 극치
(4) 돔형 지붕의 신비
(5) 수학, 과학 그리고 예술의 조화

3. 석굴암의 창건주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간에 따라 아래에서 위로 본존불의 두상을 향해 올라감으로써 느낄 수 있는 경건함과 예술적 아름다움까지 고려하고 있어 과학과 예술의 일치라는 또 다른 미학을 창조했다.
▶ 본존불의 위치 선정
본존불은 주실의 중심에서 2.6당척 뒤로 물러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앞쪽과는 14.6당척 뒤쪽과는 9.4당척의 거리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계산해보면 거리의 비가 1:1.553의 비에 놓이게 된다.
이처럼 불상의 위치가 황금비 분할에 가까운 자연비의 위치에 놓임으로써 주실 내에서 본존불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강조함과 동시에 가장 편안하고 온화한 느낌을 가져다주는 위치 선정을 가져왔다.
3. 석굴암의 창건주
석굴암의 창건주에 대한 여러 의견이 많지만 경덕왕 때의 재상인 김대성이 창건했다는 결정적인 문헌에 의해 그를 창건주로 보고 있다.
"불국사고금창기" 에 실려있는 고운 최치원(857~?)의 "대화엄종 불국사 아미타상불상을 찬함" 이라는 글에서 고운은 불국사를 터전 삼아 많은 이재가 나오기를 기원한다는 뜻의 글과 함께 김대성의 덕을 찬송하는 시조를 남겼다.
이 시조의 3번째 구절을 살펴보면 "주인존공친수직" 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서 "존공" 이란 신라때 재상가 사람들을 칭하는 말이었음에 비추어 석굴암은 김대성과 그 일족들이 친히 세웠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참고문헌
<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 > - 성낙주
< 건축 형태의 원리 > - 파울 프랑클
< 한국 석굴 사원의 연구 > - 문명대
< 불상연구 > - 최완수
< 석굴암의 과학적 보존 > - 문화재 관리국
< 석굴암의 창건과 연혁 > - 황수영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1.2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