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자금융의 개념
2. 전자금융의 발전단계
3. 전자금융의 장점
4. 전자금융의 문제점
5. 국내 전자금융 현황
⑴ 타행환 공동망
⑵ 현금자동인출기(CD) 공동망
⑶ 자동응답서비스(ARS) 공동망
⑷ 카드서비스
⑸ PC뱅킹 서비스
⑹ 텔레뱅킹 서비스
⑺ 인터넷 뱅킹서비스
⑻ 모바일뱅킹서비스
6. 전자금융의 발전방안
참고문헌
2. 전자금융의 발전단계
3. 전자금융의 장점
4. 전자금융의 문제점
5. 국내 전자금융 현황
⑴ 타행환 공동망
⑵ 현금자동인출기(CD) 공동망
⑶ 자동응답서비스(ARS) 공동망
⑷ 카드서비스
⑸ PC뱅킹 서비스
⑹ 텔레뱅킹 서비스
⑺ 인터넷 뱅킹서비스
⑻ 모바일뱅킹서비스
6. 전자금융의 발전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반이후 인터넷 이용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99년 7월부터 신한은행에서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지금은 거의 모든 금융기관으로 확산되어 있다. 은행 업무는 물론이고 주식 매매 다양한 보험서비스도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 인터넷뱅킹 등록 고객수 >
(단위: 천명, %)
2002년
12월말
2003년
3월말
6월말
9월말
12월말
개인
17,015
(3.8) <55.8>
17,945
(5.5)
19,168
(6.8)
20,317
(6.0)
21,752
(7.1) <27.8>
기업
695
(27.5)<76.4>
819
(17.8)
860
(5.0)
950
(10.5)
1,002
(5.5) <44.2>
합계
17,710
(4.6) <56.6>
18,764
(5.9)
20,028
(6.7)
21,267
(6.2)
22,754
(7.0) <28.5>
( )내는 전분기말 대비 증감률, <>내는 전년 동월말 대비 증감률
< 인터넷뱅킹 서비스 이용실적(일평균) >
(단위 : 천건, 억원, %)
2002년중
2003년중
증감률
건수 (비중)
금액
건수 (비중)
금액
건수
금액
조회서비스
3,926 (81.4)
6,160 (85.3)
56.9
자금이체
887 (18.4)
57,409
1,055 (14.6)
77,905
18.9
35.7
대출신청
9 (0.2)
840
6 (0.1)
940
33.4
11.9
(대출실행)
(2)
(367)
(2)
(463)
0.0
26.2
합 계
4,822
7,221
49.8
⑻ 모바일뱅킹서비스
모바일뱅킹이란 휴대전화 또는 PDA와 인터넷을 결합하여 금융거래에 이용하는 것으로 2001년 9월 이후 국내 20개 은행 중 18개 은행이 이 서비스(예금조회, 자금이체, 환율조회, 사고신고 등)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뱅킹 이용 실적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인터넷뱅킹 이용실적에 비하여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자금이체 부문의 실적이 저조하다. 이 서비스의 경우에는 은행들의 시장 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그 이용이 미미한 실정이며, 금융서비스 전달채널로 정착되기까지에는 다소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그 이유는 1단말기 보조금 폐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 보급 저조 2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단말기 조작 절차 복잡 3은행 전산시스템과 이동통신시스템이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단말기 보급 추세, 이동통신사의 금융부문 침투 노력 등을 감안할 때 멀지 않은 장래에 금융서비스 전달채널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 모바일뱅킹서비스 이용실적 >
(단위 : 천건, %)
2002년
12월중
2003년
3월중
6월중
9월중
12월중
각종
조회서비스
1,081 <56.2>
(22.1)
1,106
(2.3)
1,176
(6.3)
1,272
(8.2)
2,173 <101.0>
(70.8)
자금이체
서비스
14 < 22.3>
(13.0)
25
(78.6)
23
( 8.0)
58
(152.2)
387 <2,664.3>
(567.2)
합 계
1,095 <54.2>
(21.9)
1,131
(3.3)
1,199
(6.0)
1,330
(10.9)
2,560 <133.8>
(92.5)
( )내는 전분기 말월 대비 증감률, <>내는 전년 말월 대비 증감률
6. 전자금융의 발전방안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인터넷과 정보통신 부문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따른 전자금융의 발전으로 금융기관의 역할 변화, 직접금융의 확대, 금융상품의 다양화, 금융기관간 경쟁심화 등 금융기관과 고객간의 관계도 새롭게 정립될 것이다.
법과 제도적 측면에서 전자금융의 발전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금융정책의 결정과 집행의 중심인 중앙은행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통화조절을 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화폐의 보급이 미미한 상황으로 IC Card형 화폐가 주로 보급되어 현금과 예금에 기초를 두고 있는 소액결제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독점적 본원통화 공급이나 금리조절능력 그리고 독점적인 결제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손상시키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장기적 시각에서 전자금융의 발달이 통화정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필요한 대응 방안을 사전에 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금융정책당국은 시대의 변화에 맞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경직된 자세가 아니라 개방된 사고로서 디지털시대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규제가 능사가 아니라 소비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전자금융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발 앞선 정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예상되는 사회저변의 인프라 구축에 따라 더욱 폭넓게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자금융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전자금융기관 및 전자금융이용자를 규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비 금융회사의 진입에 따른 감독대응체계 확립으로 기업의 부실화 등 금융시스템의 불안으로 파급되는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여야 한다.
넷째, 금융회사의 경쟁우위와 개인정보 보호우선이라는 관점에서 금융회사의 업무를 외주 받은 비 금융업체에 대하여도 필요한 감독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감독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금융회사가 전통적으로 비 금융회사의 업무영역으로 인식되어지던 부문으로 업무를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부실 등 악영향이 금융 본연의 업무에 파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보다 신축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
한국은행(1999), 「전자금융의 발달과 은행산업의 미래」
유용주 외(1999),「국내 전자금융의 현황과 금융업 변화 전망」,삼성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2000), 「디지털의 충격과 한국 경제의 선택」
권재중(2000),「인터넷금융의 영향과 대응과제」, 한국금융연구원
금융감독위원회(2000), 「전자금융거래 활성화 방안」
한국금융연구원(2003), 「디지털금융의 이해」
김연수 외(2004),「디지털 기술과 전자금융의 현황 및 발전방안」
< 인터넷뱅킹 등록 고객수 >
(단위: 천명, %)
2002년
12월말
2003년
3월말
6월말
9월말
12월말
개인
17,015
(3.8) <55.8>
17,945
(5.5)
19,168
(6.8)
20,317
(6.0)
21,752
(7.1) <27.8>
기업
695
(27.5)<76.4>
819
(17.8)
860
(5.0)
950
(10.5)
1,002
(5.5) <44.2>
합계
17,710
(4.6) <56.6>
18,764
(5.9)
20,028
(6.7)
21,267
(6.2)
22,754
(7.0) <28.5>
( )내는 전분기말 대비 증감률, <>내는 전년 동월말 대비 증감률
< 인터넷뱅킹 서비스 이용실적(일평균) >
(단위 : 천건, 억원, %)
2002년중
2003년중
증감률
건수 (비중)
금액
건수 (비중)
금액
건수
금액
조회서비스
3,926 (81.4)
6,160 (85.3)
56.9
자금이체
887 (18.4)
57,409
1,055 (14.6)
77,905
18.9
35.7
대출신청
9 (0.2)
840
6 (0.1)
940
33.4
11.9
(대출실행)
(2)
(367)
(2)
(463)
0.0
26.2
합 계
4,822
7,221
49.8
⑻ 모바일뱅킹서비스
모바일뱅킹이란 휴대전화 또는 PDA와 인터넷을 결합하여 금융거래에 이용하는 것으로 2001년 9월 이후 국내 20개 은행 중 18개 은행이 이 서비스(예금조회, 자금이체, 환율조회, 사고신고 등)를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뱅킹 이용 실적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인터넷뱅킹 이용실적에 비하여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자금이체 부문의 실적이 저조하다. 이 서비스의 경우에는 은행들의 시장 확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그 이용이 미미한 실정이며, 금융서비스 전달채널로 정착되기까지에는 다소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그 이유는 1단말기 보조금 폐지에 따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 보급 저조 2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단말기 조작 절차 복잡 3은행 전산시스템과 이동통신시스템이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단말기 보급 추세, 이동통신사의 금융부문 침투 노력 등을 감안할 때 멀지 않은 장래에 금융서비스 전달채널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 모바일뱅킹서비스 이용실적 >
(단위 : 천건, %)
2002년
12월중
2003년
3월중
6월중
9월중
12월중
각종
조회서비스
1,081 <56.2>
(22.1)
1,106
(2.3)
1,176
(6.3)
1,272
(8.2)
2,173 <101.0>
(70.8)
자금이체
서비스
14 < 22.3>
(13.0)
25
(78.6)
23
( 8.0)
58
(152.2)
387 <2,664.3>
(567.2)
합 계
1,095 <54.2>
(21.9)
1,131
(3.3)
1,199
(6.0)
1,330
(10.9)
2,560 <133.8>
(92.5)
( )내는 전분기 말월 대비 증감률, <>내는 전년 말월 대비 증감률
6. 전자금융의 발전방안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인터넷과 정보통신 부문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에 따른 전자금융의 발전으로 금융기관의 역할 변화, 직접금융의 확대, 금융상품의 다양화, 금융기관간 경쟁심화 등 금융기관과 고객간의 관계도 새롭게 정립될 것이다.
법과 제도적 측면에서 전자금융의 발전방안에 대해 알아보자.
첫째, 금융정책의 결정과 집행의 중심인 중앙은행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통화조절을 해야 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전자화폐의 보급이 미미한 상황으로 IC Card형 화폐가 주로 보급되어 현금과 예금에 기초를 두고 있는 소액결제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독점적 본원통화 공급이나 금리조절능력 그리고 독점적인 결제서비스 제공기관으로서의 지위를 손상시키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장기적 시각에서 전자금융의 발달이 통화정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필요한 대응 방안을 사전에 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금융정책당국은 시대의 변화에 맞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경직된 자세가 아니라 개방된 사고로서 디지털시대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규제가 능사가 아니라 소비자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전자금융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발 앞선 정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예상되는 사회저변의 인프라 구축에 따라 더욱 폭넓게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자금융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전자금융기관 및 전자금융이용자를 규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비 금융회사의 진입에 따른 감독대응체계 확립으로 기업의 부실화 등 금융시스템의 불안으로 파급되는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여야 한다.
넷째, 금융회사의 경쟁우위와 개인정보 보호우선이라는 관점에서 금융회사의 업무를 외주 받은 비 금융업체에 대하여도 필요한 감독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감독체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금융회사가 전통적으로 비 금융회사의 업무영역으로 인식되어지던 부문으로 업무를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부실 등 악영향이 금융 본연의 업무에 파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보다 신축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
한국은행(1999), 「전자금융의 발달과 은행산업의 미래」
유용주 외(1999),「국내 전자금융의 현황과 금융업 변화 전망」,삼성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2000), 「디지털의 충격과 한국 경제의 선택」
권재중(2000),「인터넷금융의 영향과 대응과제」, 한국금융연구원
금융감독위원회(2000), 「전자금융거래 활성화 방안」
한국금융연구원(2003), 「디지털금융의 이해」
김연수 외(2004),「디지털 기술과 전자금융의 현황 및 발전방안」
추천자료
[전자금융][전자금융의 현황][전자금융의 장단점][전자금융의 대응방안]전자금융과 정보통신...
[전자금융][모바일금융][전자금융서비스][전자금융시스템]전자금융의 정의, 전자금융의 발전,...
[전자금융][금융][금융서비스][금융제도][정보통신기술][전자금융 발달]전자금융의 발달배경,...
[전자금융][전자금융서비스][전자금융시스템]전자금융의 개념, 전자금융의 의의, 전자금융의 ...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서비스)의 개념, 전자금융(전자금융서비스)의 영향과 전자금융(...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서비스)의 발전 배경, 전자금융(전자금융서비스)의 관련 기술, ...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발전배경과 발전역사, 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장...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정의, 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발전배경과 발전과...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배경과 발전단계, 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 관련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