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n de Graff 실험, Lolentz 관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실험 1. Van de Graff 실험
♤ 정전고압발생장치 VE-20N 형
[목적]
[구조]
[원리]
[조작]
[주의]

◎ 실험 2. Lolentz 관 실험
♤ B10-4650 로렌츠관

◎ 실험 3. Induction coil 방전

◎ 실험 4. 형광등 실험.

◎ 토의

본문내용

트가 가열되고 그리고 점등관이 식으면서 회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안정기에서 저항을 주어 더욱더 높은 전압을 내게 하고 그리고 안정기가 전기를 유도하는 장치가 된다. 그럼 곧 필라멘트에서 방전이 되고 그 전자들이 수은과 부딪히면서 적외선을 내게 되는데 이것이 형광램프의 형광물질에 닿아 가시광선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즉 형광등이 켜지는 원리는 방전현상과 전자의 충돌, 그리고 형광물질을 이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질문!!
☆ Lolentz 관의 회전하는 이유 설명
=> 음극선이 고체를 통과할 때 그림자가 생기는 것과 자기장에 의해서 휘어지며 페러데이법칙에 의해 로렌츠 관이 회전한다.
☆ 형광등의 켜지는 원리
=> 형광등은 형광 물질(b)이 발라진 유리관이 있으며, 유리관 안은 아르곤 가스와 수은 기체로 채워져 있다. 형광등 양끝의 전극(c)에서 수은 기체 속으로 전자(d)가 방출된다. 전자(d)가 수은 기체 원자(e)와 부딪치면 자외선이 발생되고, 이 자외선이 형광 물질(b)을 때리면 백색광이 발생된다.
☆ 공기의 유전강도
=>유전강도(dielectric strength) : 저항과 관계된다. 불순물은 유전강도를 더욱 낮춘다. 유전강도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기공은 전기적 단락이 일어날 수 있는 경로의 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유전강도를 감소 시킨다
◎ 토의
이번 실험은 실험 4가지를 하는 것인데, 이 실험은 위험하여 하지 않았다. 그래서 보고서를 쓰면서 알게 되었다. 실험 1에서는 Van de Graff 실험으로, 두 반구가 서로 전기를 통하며 방전현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전자기학 실험을 처음 할때 교수님의 시범으로 볼 수 있었다. 실험 2에서는 로렌츠관의 실험으로 전기가 흐르고 있는 도선은 전계로부터 힘을 받고 그 힘의 방향은 플래밍 왼손법칙으로 결정되는 것을 알수 있었으며, 음극선을 위와 같이 일종의 전류로 생각하면 도선과 동일하게 전계로부터 힘을 받는다. 그리고 그 힘의 방향이 음극선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이기 위해 나선상으로 진행하게 된다고 한다. 실험 3에서는 유도 코일 방전을 하는 것으로, 유도코일은 전류의 단속에 의한 전자기유도를 이용해서 고전압을 얻는 장치로 방전현상을 관찰 할 수 있다고 한다. 실험 4에서는 형광등 실험으로 주파수를 바꾸어 가며 관찰하라고 쓰여 있으나 잘 알지 못하여 형광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번 실험은 실험을 하지 않아 결과를 잘 알지 못하였던 것 같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1.3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