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갖게 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바슬러에게 에피커시를 형상시켜 과업을 해낼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높여준다.
<헌터가 바슬러에게 에피커시를 높여주려는 장면>
헌터:(들어오며) 여기 책임자가 누군가.
바슬러:(무전기 고치면서) 젠장, 접니다.
헌터: 얼마나 걸리겠나.
바슬러: 모르겠습니다.
헌터:지금 상황을 알고있나?
바슬러: (흥미없다) 네.
헌터: 모르는 것 같은데? 설명을 해주겠다. 우리가 잘못알고 핵 미사일을 쏘면 러시아도 응사 할 것이다. 결국 상상도 못할 핵의 아비규환이 되겠지. 그 모든게 미사일 발사 명령에 달려 있다. (슬쩍 대원 옷의 명찰보며 이름확인한다) 바슬러, 그걸 확인할 길은 통신장비를 고치는 거다. 알겠나?
바슬러:...알겠습니다.
헌터: 스타트렉을 봤나?
바슬러:(환해지는) 그럼요-
헌터: 엔터프라이즈호 나오는 스타트랙? 클링온 공격 때 커스선장이 스카티 기관사를 불러서,
.스카티 좀더 강한...
바슬러:(신난)초광속이 필요하다고 했죠.
헌터: 맞다, 난 커크고 넌 스카티야. 빨리 무전기를 못 고치면 수십억의 인명이 죽게 돼.
심각해지는 바슬러....
헌터: 모두가 자네한테 달렸네. 어렵겠지만 할 수 있겠지?
바슬러, 대답없이 고민하고 있다. 간만에 보는 진지한 모습....
헌터: 스카티?
바슬러:(결연한 미소)...네, 선장님.
헌터, 힘내라는 듯 바슬러 툭 치고 간다.
바슬러:(부하들에게) 별일 없지?
부하: 네.
바슬러:(진중해진) 서둘러.
또한 자신의 조직을 다른 조직과 차별화시켜 매력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확립함으로써 사람들도 하여금 참여하고 싶도록 만드는데 이러한 면모는 램지 함장이 대원들에게
함장:(사병앞으로 걸어가며) 전쟁사상 이보다 많은 화력을 지닌 잠수정은 없었다. 그 목적은 단 한 가지! 조국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것! 우리는 방위의 최전선이자 마지막 방어선이다. 모두들 최 선을 다하길 기대하며 요구한다. 그렇지 않으면 공군으로 가도록!
기관장, 함장을 향해 미소 보낸다. 믿음직한 상관이 자랑스러운.....
함장: 해군은 대통령의 명령에 따르지만 이건 내 잠수정이다. 모두들 내 지시에 잘 따르도록.
할수 없다면 둔부사이로 내 발이 침투하는 일이 생길 것이다.
함장:(마이크에 대고) 기관장!!
기관장: 네, 함장님!
함장: 우리 잠수정의 이름을 알고 있나?
기관장: 네, 알고 있습니다!
함장: 자랑스러운 이름이지 않나?!
기관장: 그렇습니다!
함장: 선한 사람들을 상징한다.
기관장: 그렇습니다!
함장: 세계에서 제일 좋은 곳에 사는 사람들.
기관장: 맞습니다!
함장: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 사람들.
기관장: 맞습니다!
함장: 그 이름이 뭔가!
기관장: 알라바마!
함장: 우리의 구호는?
기관장, 함장: 출동, 알라바마!
<전략적리더십>
고
도전추구
저
고통제혁신추구형- 램지함장
내부적으로 강력한 유대를 중시하고 의사결정권을 독점하려는 경향을 보임.
그러므로 조직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발휘 하려고 함
참여적 혁신추구형-헌터부함장
외적으로는 도전적 전략을 추구하고 내적으로는 통제보다 조직원들의 참여를 강조함.
의사결정권한을 아래로 위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하기는 힘들지만 구성원들을 존중하고 참여시키려는 의지를 가진 리더라고 생각 됨.
현상유지형
과정관리형
고 통제의지(간섭/지지) 저
<리더십실패>
리더십의 관점에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나 무 행위까지도 실패의 범주에 넣어 분류한다. 그렇다면 결과론적으로 헌터부함장은 성공한 리더십이고 램지함장은 실패한 리더라고 볼 수 있다. 리더개인으로 보았을 때 램지함장은 어찌되었건 리더의 직위
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추종자들을 상실했다거나 심리적 좌절을 느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특성이론의 관점에서 램지함장을 보았을 때 그는 헌터에 비해 구성들에 대한 인간적 배려가 취약했다. 그러나 성취동기의 결여나 인지적 역량이 부족했다고는 보여지지 않는다. 귀인이
론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성과달성과정에서의 리더로서의 특이한 역할을 보여줌이 부족했으
나 일관성은 지니고 있다. 통신기기의 고장으로 외부와의 정보교환이 제한된 상황에서 자신
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을 내리고 행동에 옮기려고 한
것이고 두 사람은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각자의 최선의 결정을 내린 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램지함장은 실패한 리더라고 단정짓는 것은 결과적인 이유만으로는 무리가 있다
고 결론을 내리려고 한다.
<헌터가 바슬러에게 에피커시를 높여주려는 장면>
헌터:(들어오며) 여기 책임자가 누군가.
바슬러:(무전기 고치면서) 젠장, 접니다.
헌터: 얼마나 걸리겠나.
바슬러: 모르겠습니다.
헌터:지금 상황을 알고있나?
바슬러: (흥미없다) 네.
헌터: 모르는 것 같은데? 설명을 해주겠다. 우리가 잘못알고 핵 미사일을 쏘면 러시아도 응사 할 것이다. 결국 상상도 못할 핵의 아비규환이 되겠지. 그 모든게 미사일 발사 명령에 달려 있다. (슬쩍 대원 옷의 명찰보며 이름확인한다) 바슬러, 그걸 확인할 길은 통신장비를 고치는 거다. 알겠나?
바슬러:...알겠습니다.
헌터: 스타트렉을 봤나?
바슬러:(환해지는) 그럼요-
헌터: 엔터프라이즈호 나오는 스타트랙? 클링온 공격 때 커스선장이 스카티 기관사를 불러서,
.스카티 좀더 강한...
바슬러:(신난)초광속이 필요하다고 했죠.
헌터: 맞다, 난 커크고 넌 스카티야. 빨리 무전기를 못 고치면 수십억의 인명이 죽게 돼.
심각해지는 바슬러....
헌터: 모두가 자네한테 달렸네. 어렵겠지만 할 수 있겠지?
바슬러, 대답없이 고민하고 있다. 간만에 보는 진지한 모습....
헌터: 스카티?
바슬러:(결연한 미소)...네, 선장님.
헌터, 힘내라는 듯 바슬러 툭 치고 간다.
바슬러:(부하들에게) 별일 없지?
부하: 네.
바슬러:(진중해진) 서둘러.
또한 자신의 조직을 다른 조직과 차별화시켜 매력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형성·확립함으로써 사람들도 하여금 참여하고 싶도록 만드는데 이러한 면모는 램지 함장이 대원들에게
함장:(사병앞으로 걸어가며) 전쟁사상 이보다 많은 화력을 지닌 잠수정은 없었다. 그 목적은 단 한 가지! 조국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것! 우리는 방위의 최전선이자 마지막 방어선이다. 모두들 최 선을 다하길 기대하며 요구한다. 그렇지 않으면 공군으로 가도록!
기관장, 함장을 향해 미소 보낸다. 믿음직한 상관이 자랑스러운.....
함장: 해군은 대통령의 명령에 따르지만 이건 내 잠수정이다. 모두들 내 지시에 잘 따르도록.
할수 없다면 둔부사이로 내 발이 침투하는 일이 생길 것이다.
함장:(마이크에 대고) 기관장!!
기관장: 네, 함장님!
함장: 우리 잠수정의 이름을 알고 있나?
기관장: 네, 알고 있습니다!
함장: 자랑스러운 이름이지 않나?!
기관장: 그렇습니다!
함장: 선한 사람들을 상징한다.
기관장: 그렇습니다!
함장: 세계에서 제일 좋은 곳에 사는 사람들.
기관장: 맞습니다!
함장: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 사람들.
기관장: 맞습니다!
함장: 그 이름이 뭔가!
기관장: 알라바마!
함장: 우리의 구호는?
기관장, 함장: 출동, 알라바마!
<전략적리더십>
고
도전추구
저
고통제혁신추구형- 램지함장
내부적으로 강력한 유대를 중시하고 의사결정권을 독점하려는 경향을 보임.
그러므로 조직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발휘 하려고 함
참여적 혁신추구형-헌터부함장
외적으로는 도전적 전략을 추구하고 내적으로는 통제보다 조직원들의 참여를 강조함.
의사결정권한을 아래로 위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하기는 힘들지만 구성원들을 존중하고 참여시키려는 의지를 가진 리더라고 생각 됨.
현상유지형
과정관리형
고 통제의지(간섭/지지) 저
<리더십실패>
리더십의 관점에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나 무 행위까지도 실패의 범주에 넣어 분류한다. 그렇다면 결과론적으로 헌터부함장은 성공한 리더십이고 램지함장은 실패한 리더라고 볼 수 있다. 리더개인으로 보았을 때 램지함장은 어찌되었건 리더의 직위
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추종자들을 상실했다거나 심리적 좌절을 느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특성이론의 관점에서 램지함장을 보았을 때 그는 헌터에 비해 구성들에 대한 인간적 배려가 취약했다. 그러나 성취동기의 결여나 인지적 역량이 부족했다고는 보여지지 않는다. 귀인이
론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성과달성과정에서의 리더로서의 특이한 역할을 보여줌이 부족했으
나 일관성은 지니고 있다. 통신기기의 고장으로 외부와의 정보교환이 제한된 상황에서 자신
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을 내리고 행동에 옮기려고 한
것이고 두 사람은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각자의 최선의 결정을 내린 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램지함장은 실패한 리더라고 단정짓는 것은 결과적인 이유만으로는 무리가 있다
고 결론을 내리려고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