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혼부의 범위(협의의 개념만 설명)
2. 미혼부의 발생원인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적 요인
3. 미혼부 가정의 사례
-김홍구(가명)
-송영준(가명)
-김진태(가명)
-연제주(가명)
4. 미혼부 가정을 위한 복지 대책(작성자 생각)
5. 외국의 미혼부 정책
-스웨덴
-덴마크
6. 마무리
2. 미혼부의 발생원인
-개인적 요인
-가정적 요인
-사회적 요인
3. 미혼부 가정의 사례
-김홍구(가명)
-송영준(가명)
-김진태(가명)
-연제주(가명)
4. 미혼부 가정을 위한 복지 대책(작성자 생각)
5. 외국의 미혼부 정책
-스웨덴
-덴마크
6. 마무리
본문내용
게 조심하도록 만드는 법이 있고, 되었다 하더라고 책임을 지게 만드는 법제정이 있다면 그에 당면하는 지원정책도 있을 듯 하다.
"미혼모부자(母父子)시설도 생긴다"
여성가족부 "미혼부모의 '경제적 자립 지원' 늘릴 것"
"이제 미혼모(母)뿐 아니라 미혼부(父)에게도 양육
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겠다."
여성 가족부는 14일 '미혼모 현황 및 욕구조사 결과'
를 발표하며 "현재 드러내지 못할 뿐 사회 곳곳에 아
이 문제를 고민하는 미혼부가 있다"며 "현재 전국의
11개 미혼모시설의 개념을 '미혼모부자시설'로 확대
하겠다" 고 밝혔다. 2005.9.14. 프레시안 기사에서 발췌
6. 마무리
2005년 9월 15일 미혼부에 관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방송분은 가려져
있던 사회 이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방송으로 인하여 미혼모만 있는 사회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고, 인식의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도 되었다.
대한민국은 미혼모는 있고 미혼부는 없다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이는 남성에게 관대한 사회의 일면을 보여주는 듯 했고, 책임감 없는 남성을 질책하는 말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 수가 미비하다고는 하나 책임감 있는 미혼부들도 있고, 사회가 외면해 왔던 그들을 다른 시각에서 보고자 한다면 이들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자료=
-SBS 그것이 알고 싶다. 2005년 9월 15일 방송분
-여성가족부 가족 정책 자료
-여성신문 846호 (2005.9.23.)
-보건복지부 사이트
-프레시안 2005.9.14. 자료
"미혼모부자(母父子)시설도 생긴다"
여성가족부 "미혼부모의 '경제적 자립 지원' 늘릴 것"
"이제 미혼모(母)뿐 아니라 미혼부(父)에게도 양육
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겠다."
여성 가족부는 14일 '미혼모 현황 및 욕구조사 결과'
를 발표하며 "현재 드러내지 못할 뿐 사회 곳곳에 아
이 문제를 고민하는 미혼부가 있다"며 "현재 전국의
11개 미혼모시설의 개념을 '미혼모부자시설'로 확대
하겠다" 고 밝혔다. 2005.9.14. 프레시안 기사에서 발췌
6. 마무리
2005년 9월 15일 미혼부에 관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방송분은 가려져
있던 사회 이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방송으로 인하여 미혼모만 있는 사회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고, 인식의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도 되었다.
대한민국은 미혼모는 있고 미혼부는 없다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이는 남성에게 관대한 사회의 일면을 보여주는 듯 했고, 책임감 없는 남성을 질책하는 말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 수가 미비하다고는 하나 책임감 있는 미혼부들도 있고, 사회가 외면해 왔던 그들을 다른 시각에서 보고자 한다면 이들도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자료=
-SBS 그것이 알고 싶다. 2005년 9월 15일 방송분
-여성가족부 가족 정책 자료
-여성신문 846호 (2005.9.23.)
-보건복지부 사이트
-프레시안 2005.9.14. 자료
추천자료
(가정복지)재혼가족에 대한 이해와 실태 및 문제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가정생활복지론)기존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 돌봄노동체계'가 변화함으로써 개별가정의 돌봄...
[맞벌이가정][맞벌이부부]맞벌이가정(맞벌이, 맞벌이부부, 맞벌이가족)의 정의, 맞벌이가정(...
[맞벌이가정][맞벌이가족][맞벌이부부]맞벌이가정(맞벌이가족, 맞벌이부부)의 개념, 배경, 실...
한부모가족(한부모가정) 개념, 한부모가족(한부모가정) 특성, 한부모가족(한부모가정) 발생원...
[건강가족]사회복지사의 관점에서 본 건강가정사의 역할
[사회복지정책론]일본과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정책 비교 및 조사 - 다문화가정의 증가 배경...
최근 주목받고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어떠한 사업을 하고 있는지 조사...
[다문화 가족 복지론] 다문화가정과 사회복지
현대 사회는 여성의 경제활동인구 - 맞벌이가정(맞벌이, 맞벌이부부, 맞벌이가족)의 정의, 형...
가족해체와 다문화가정 증가와 같은 급변하는 사회현상과 아동복지의 관계는 어떠한지 제시해...
[이혼문제] 이혼의 실태와 문제점 및 이혼가족자녀를 위한 대안 및 사회복지 서비스 개선방안...
소년소녀가정의 개념, 발생원인, 문제 및 복지대책 (소년소녀가정의 개념, 소년소녀가정의 발...
재혼가족의 정의와 문제점 및 재혼가족 복지대책의 과제 (재혼가족의 정의,재혼의 특성, 재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