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이버펑크의 개념
2. 사이버펑크에서 파생된 예
3. 사이버펑크 영화와 SF 영화
4. 대항문화로써의 사이버펑크
2. 사이버펑크에서 파생된 예
3. 사이버펑크 영화와 SF 영화
4. 대항문화로써의 사이버펑크
본문내용
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생겨나 전 세계로 퍼졌다.
등을 그러한 예로 볼 수 있다. ‘사이버펑크’도 이러한 대항문화로써의 성격이 짙다고 볼 수 있다. 음울하고 비관적인 분위기에, 냉소적 태도를 지닌 사이버펑크는 아직 그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사회에 대해 회의적이며 비관적인 태도를 유지했던 사이버펑크의 성격이 조금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이버공간을 통한 네티즌들의 사회적 관심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최근에 네티즌들의 정치적 관심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고, 사회적 이슈(2002한일월드컵, 여중생장갑차 사고, 대통령 탄핵 문제 등)에 대해 신속하고 적극적인 반응이 뒤따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배경에 사이버공간의 기술적인 측면이 힘을 더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의 변화를 암시하는 반체제적인 ‘펑크’의 색깔이 짙게 나타나며 이는 ‘사이버펑크’의 과감성과 실험성, 자율성의 속성들과 상당히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 자연스럽게 정착된 사이버펑크의 가치관과 감성을 토대로,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바람직한 새로운 질서를 제시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이버펑크족들’의 ‘대항’이 아닌 ‘대안’을 바라보는 올바른 자세가 아닐까 싶다.
참고문헌
홍성태 엮음, [사이버공간, 사이버문화], 문화과학사, 1996
대항문화들/ 티모시 리어리
포드주의, 사이버펑크, 맑스주의에 접속하기/ 팜 로젠탈
홍성태 엮음, [사이보그, 사이버컬쳐], 문학과학사, 1997
거부와 사이버펑크/ 마가렛 모스
등을 그러한 예로 볼 수 있다. ‘사이버펑크’도 이러한 대항문화로써의 성격이 짙다고 볼 수 있다. 음울하고 비관적인 분위기에, 냉소적 태도를 지닌 사이버펑크는 아직 그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사회에 대해 회의적이며 비관적인 태도를 유지했던 사이버펑크의 성격이 조금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이버공간을 통한 네티즌들의 사회적 관심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최근에 네티즌들의 정치적 관심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고, 사회적 이슈(2002한일월드컵, 여중생장갑차 사고, 대통령 탄핵 문제 등)에 대해 신속하고 적극적인 반응이 뒤따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배경에 사이버공간의 기술적인 측면이 힘을 더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의 변화를 암시하는 반체제적인 ‘펑크’의 색깔이 짙게 나타나며 이는 ‘사이버펑크’의 과감성과 실험성, 자율성의 속성들과 상당히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제 자연스럽게 정착된 사이버펑크의 가치관과 감성을 토대로,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바람직한 새로운 질서를 제시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이버펑크족들’의 ‘대항’이 아닌 ‘대안’을 바라보는 올바른 자세가 아닐까 싶다.
참고문헌
홍성태 엮음, [사이버공간, 사이버문화], 문화과학사, 1996
대항문화들/ 티모시 리어리
포드주의, 사이버펑크, 맑스주의에 접속하기/ 팜 로젠탈
홍성태 엮음, [사이보그, 사이버컬쳐], 문학과학사, 1997
거부와 사이버펑크/ 마가렛 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