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What is Intermodal Transport?
1. 복합운송의 발전배경
2. The advantages of intermodalism
3. Intermodal, multimodal & combined transport
4. Keys to successful intermodal transport
5. Standardization
6. Expenditure
7. Interchange points
8. Types of carrier
9. Landbridges 의 형태
10. Landbridges 의 주요 운송경로
11. 극동 – 북미간 랜드브리지
12. 극동 – 구주간 랜드브리지
1. 복합운송의 발전배경
2. The advantages of intermodalism
3. Intermodal, multimodal & combined transport
4. Keys to successful intermodal transport
5. Standardization
6. Expenditure
7. Interchange points
8. Types of carrier
9. Landbridges 의 형태
10. Landbridges 의 주요 운송경로
11. 극동 – 북미간 랜드브리지
12. 극동 – 구주간 랜드브리지
본문내용
What is Intermodal Transport?
복합운송인이 단일의 복합운송계약으로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동원하여 운송하는 것을 말함.
선박-철도, 선박-항공과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으로 화물이 목적지에 운반되는 것.
1929년 항공운송에 관한 바르샤바조약(Warsaw convention)에서 처음 규정.
1990년 이후 Combined, Intermodal의 표기가 UNCTAD에 의해 Multimodal로만 쓰임.
복합운송인이 단일의 복합운송계약으로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동원하여 운송하는 것을 말함.
선박-철도, 선박-항공과 같이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으로 화물이 목적지에 운반되는 것.
1929년 항공운송에 관한 바르샤바조약(Warsaw convention)에서 처음 규정.
1990년 이후 Combined, Intermodal의 표기가 UNCTAD에 의해 Multimodal로만 쓰임.
추천자료
외국계기업 전략 판알피나
국제물류효율성제고방안에 대한 사례분석
프레이트포워더에향후전망
TSR(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이용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무역의 의의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와 선사 및 항만에 미치는 영향
한반도종단철도(TKR)와 대륙횡단철도연결의 의의와 파급효과,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사업...
신용장의 내용 구성 및 신용장의 종류
물류관리론 - 기말고사 문제와 답안
물류관리-기말고사 문제와 답안
국제물류
지방공항 활용방안
물류기지의 이해,물류기지의 형태
항공물류론 - 해외직구, 해외직구가 항공물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의, 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