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茶 , 술 酒 - 중국 차, 중국 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茶>
Ⅰ. 들어가며
Ⅱ. 차의 기원
Ⅲ. 차 제작과 변천
Ⅳ. 차의 분류 및 종류
  1. 녹차(綠茶, Green Tea)
  2. 백차(白茶, White Tea)
3. 오룡차(烏龍茶, 靑茶, Oolong Tea)
 4. 홍차(紅茶, Black Tea)
 5. 황차(黃茶, Yellow Tea)
 6. 흑차(黑茶, Dark green Tea)
 7.기타 - 화차(花茶)
Ⅴ. 주요 차 마시는 법

<酒>
Ⅰ. 들어가며
Ⅱ. 중국 술의 종류
Ⅲ. 중국의 8대 名酒
Ⅳ. 음주 문화

본문내용

여 성공한 것으로 그 향기가 그윽하고 술맛이 순수하며 깨끗한 뒷맛이 일품이다.
4. 죽엽청주(竹葉靑酒)
죽엽청주와 분주를 생산하는 山西省은 중국술의 전통적인 발원지 이기도 하다. 죽엽청주는 고량을 주 원료로 10여가지의 천연약재를 첨가, 양조한 술로 음주 후 나타나는 두통등의 부작용을 전혀 느낄 수 없으며 기(氣)를 충족시킬뿐 아니 라 혈액을 잘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평가된다.
5. 양하대곡(洋河大曲)
알콜도수 48도의 양하대곡은 江蘇省에서 생산되는데 중국 국내는 물론 國際評 酒大會에서 여러차례 상을 받았다. 중국의 評酒家들은 양하대곡이 달콤하고 부 드러우며 연하고 맑고 깔끔한 향기 등 다섯가지의 특색을 지니고 있어 일반술 의 음주량을 초과 하더라도 음주후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이 전혀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소스는 탕수육 소스와 비슷한 맛이다.
6. 노주특곡(蘆酒特曲)
45도의 노주특곡은 4백년의 역사를 지닌 四川省 蘆州省에서 생산되며 향기가 농후하고 순수한 것이 특징이다.
7. 고정공주(古井貢酒)
고정공주(45도)는 술 중의 모란꽃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옛날 三國志의 曺 操가 神醫로 유명한 華의 고향 安微省의 <古井>물로 사용하여 만든이 술을 漢 帝에게 조공을 올려 황제의 칭찬을 받았다고 하는 것이 <古井貢酒>란 이름이 붙은 유래가 됐다.
8. 동주(董酒)
동주는 양질의 고량을 주 원료로 산속의 순수한 山川水를 사용하고 여기에 1 백30종의 유명 약재를 첨가하여 만든다.
Ⅳ. 음주 문화
중국인의 술자리는 그야말로 떠들썩한데 술자리의 핵심은 즐겁게 마신다는데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혼란한 와중에서 엄격히 지키는 술자리 예절이 있다. 이 는 '술 따르기', '처음 술 권하기', '술잔 부딪히기', 깐빼이(乾杯), '술 권하기' 등 으로 집약되는데, 특히 주의할 점은 상대방의 눈을 보며 같이 입을 대고 같이 입을 떼야 한다. 만일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지 않고 마시면 대작하기 싫다는 의 미가 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한국과 달리 술에 취해 주사를 부리면 인간취 급을 받지 못한다. 이점을 특히 주의 해야한다.
1. 술 따르기
“술을 가득 따르는 것을 존경하고, 차는 가득한 것을 업신여긴다"라 하듯이, 잔 에 가득 따르는 것은 손님을 존경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윗사람이 먼저 따르기 시작하며 첨잔도 괜찮다.
2. 처음 술 권하기
함께 술을 권주하는 것과, 윗사람이 먼저하고 순서대로 하는 것, 친구끼리 편 하게 주고받는 것이 있다. 상대가 권하는데 거절하면 존경치 않는다는 의미이지 만, 정 마시지 못할 경우 사정을 이야기하거나 대신 마시도록 부탁해도 괜찮다.
3. 잔 부딪히기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손으로 한다. 너무 세게 부딪히지 말고, 윗사람과 할 때 는 상대 잔보다 낮은 위치에서 부딪힌다.
4. 건배(乾杯)
단숨에 잔을 비우는 것으로, 마신 후에는 상대에게 잔을 거꾸로 들어 빈 것을 보여준다. 건배는 호방한 성격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서로 기질이 통하고, 친구 로 사귈 만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강요해서는 안 되고, 응하지 못할 경우는 사정을 말하며 양해를 구하면 된다. 단숨에 마시지 못하면 반잔이나 적 당히 마시자는 등의 제안을 할 수 있다.
5. 술 권하기
목적은 손님이 맘껏 취하게 하는데 있다. 손님을 잘 모신다는 주인의 뜻이 들 어가 있기 때문에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 술자리가 어느 정도 무르익 으면 손님이 술을 마시게 하기 위해 각종 권주의 방법이 동원된다. 즐겁게 놀되 절대 인사불성으로 취하면 안 된다. 권주의 방법은 기기묘묘한데 전통적인 것으 로는 투호(投壺)가 있고, 주령(酒令)과 시권(猜拳)이 있다. 서민들 사이에 가장 보편적인 놀이로 시권이 있는데 무전(拇戰) 혹은 초수(招手), 획권(劃拳)이라고 도 한다. 요령은 두 사람이 숫자를 부르며 동시에 손가락으로 수를 표시하는데, 말하는 수와 내민 손가락의 총수가 같으면 이기는 것이다. 이 때 손가락으로 표 시한 수는 입으로 부르는 수보다 적거나 같아야 한다. 진 사람이 벌주를 마시며 벌주는 석 잔이다. 잔은 돌리지 않는다.
6. 지역별 음주문화
지역별로 음주의 습관은 매우 다르다. 가령 강, 절 지역은 주로 황주를 마시 고, 북경 등지에서는 백주 특히 이과두를 즐긴다. 술의 선택도 지역에 따라 달 라서 약한 술에서 독한 술로, 반대로 독한 술에서 약한 술로, 아니면 손님이 선 택하는 등 다양하다. 보편적으로 북방은 독한 백주를 호방하게 마시며, 강남은 황주를 주로 하고 즐기듯 마신다.
1) 안휘(安徽)지방
전전으로 술을 권하는 주사령(酒司令)이 있어서 먼저 몇 순배 술을 돌리고 난 다음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이를 '만당홍(滿堂紅)'이라 하는데, 주량이 큰 사람 을 찾는 것이다.
2) 광동지방
주인이 먼저 술 한잔을 땅에 뿌려 악기를 없애고, 나이가 많은 손님이 오른손 으로 술을 묻혀 식탁에 커다란 원을 그린다. 그러면 주인은 술을 권하는데, 못 마시는 사람은 마시지 않아도 되지만, 술잔을 엎어놓으면 절대로 안 된다. 친한 사이에서는 서로의 술을 마시기도 하는데 '교수주(交手酒)'라 하며, 깊은 정을 표시한다. 자리에 늦으면 벌주 세 잔을 마셔야 음식을 들 수 있다. 술자리가 무 르익으면 시권을 하여 흥을 돋구는데, 매우 흥겨운 분위기이다.
3) 호북, 서북지방
남녀노소 모두 술을 즐긴다. 특히 권주를 중시하여 손님을 대취하게 만든다.
4)요하(遼夏)지방
"손님은 누울 수 없고, 술상을 치울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즉 밤을 새며 술 을 마시고 손님이 취해야 끝난다.
5)교동(膠東: 산동)지방
첫잔은 '홍주(紅酒)'를 마시고, 그 다음 백주를 마신다. 그리고 자리가 끝날 때 다시 '홍주'를 마신다. 이를 '만당홍'이라 한다. 술을 권할 때는 권하는 사람이 먼저 마시는데 '술을 권하기 위해 먼저 마신다'라는 말이 있다.
6) 대만지방
대만에는 대통관(大通關)이라는 독특한 주법이 있다. 이는 주량이 좋은 사람이 같은 자리의 사람들과 일대일로 연속 건배를 하는 것으로 호기를 부리는데 사 용된다. http://blog.naver.com/khan11411/20009187300참고

키워드

,   ,   중국술,   중국차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