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요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원하는 습도 유지
《 단점 》
* 산소는 공기보다 무거워 아래쪽에 모이므로 농도 유지에 주의해야 함
《 전달되는 FIO₂》
* 4 ~ 15L/min : 34% ~ 60%
《 주의점 》
* 텐트를 열고 닫을 때에는 보통 산소의 주입속도(10~12L/min)보다 약간 높게(15L/min) 조절함
* 텐트를 사용하는 대상자와 이야기 할 때는 좀 더 큰 소리로 말하며 대상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벨을 준비
* 대상자가 격리고 인한 불안을 느낄 우려가 있으므로 정서적 지지 필요
* 사용한 텐트는 소독액으로 닦아내고 물로 헹군 후 말림
★ 안면텐트
《 장점 》
* 가습효과가 좋음
* 안면손상이 있는 환자나 안면마스크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함
《 단점 》
* 크기가 너무 큼
* 음식섭취가 거북함
《 전달되는 FIO₂》
* 6 ~ 12L/min : 30 ~ 100
《 간호 》
* 튜브 안에 생긴 물방울을 제거
-> 높은 습도로 인해 물방울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들 물방울이 많아지면 튜브를 막을 수 있음
* 식사하는 동안은 비강캐눌라로 교체 할 수 있다
★ 구강인두 카테터
《 특징 》
* 잠깐 동안 사용할 때 쓰임
* 호흡의 깊이와 속도에 따라 폐에 도달하는 산소의 농도가 달라짐
《 단점 》
* 비강 점막을 자극하고 불편을 줄 수 있음
《 전달되는 FIO₂》
* 6 ~ 8L/min 투여 : 30 ~ 40%
《 주의점 》
* 카테터는 8 ~ 12시간마다 바꿔 주고 비강도 반대쪽으로 바꿔 줌
《 간호 》
1. 카테터 삽입할 때 코 끝에서 귀뿌리까지 측정하게 카테터 끝에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후 비강으로 삽입
2. 입을 벌리게 한 후 들여다보고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한 후 끝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약간 뒤로 당김
- 목젖 밑에까지 카테터가 있게 되면 위장팽만이 생기게 되므로 피해야 함
-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 기침이나 구토나 공기를 삼키지 않는지 확인
★ 저장백을 가진 마스크
《 특징 》
* 저유통제도
* 60% 이상의 산소 농도가 필요할 때 사용
《 장점 》
* 백과 마스크 사이에 one-way valve가 있어서 저장백에서는 산소가 저장되고 탄산가스를 재호흡하지 않음
《 주의점 》
* 흡기 중의 백이 매호흡마다 반이상 허탈되지 않도록 함
* 마스크 : 더 높은 산소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안전하게 얼굴에 잘 맞아야 함
《 전달되는 FIO₂》
* 6 ~ 15L/min : 60 ~ 99%
-> 환자의 환기 유형, 깊이, 환기량에 따라 다름
★ T-piece
《 특징 》
* 기관내관, 기관절개술을 한 환자의 흡입 산소 농도를 만족할 만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합장치
《 장점 》
* 저장관 : 일관성 있는 흡입산소 농도를 유지
《 전달되는 FIO₂》
* 10L/min : 24% ~ 100%
《 주의점 》
* 고습도 제공
☆ 참고 문헌 ☆
성인 간호학 上 II (수문사) p 1117 ~ p 1119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 (군자출판사) p 176 ~ p 189
기본간호학 이론서 (군자출판사) p 214 ~ p218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0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