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광주가 의향이라 불리는 이유 - 역사의 변환기때 큰 역할을 하였다.
예향 : 예술의 고장
백제가 마한을 언제 복속시켰는가?
■ 시가문화
맛의 고장 (味鄕)
예향 : 예술의 고장
백제가 마한을 언제 복속시켰는가?
■ 시가문화
맛의 고장 (味鄕)
본문내용
장히 발달. 대표적으로 꾕가리(장단의 리더) 북은 남자, 장구는 여자로 볼 수 있다. 장고가락 발달하고 매우 섬세. 서편제와 일맥상통함.
이들의 관계는 모내기와 관련이 있는데, 모를 내는건 이앙법을 의미한다. 예전엔 산파(시를 뿌리는 것)를 하였는데, 중국의 강남논법인 이앙법이 고려때 들어온다.
농사는 잡초와 싸우고 김매기를 필요로 했으며 수확이 적었다. 열을 맞춰 심으면 수확이 많아 진다. 두레가 조직되고 흥을 돋기 위해 풍악, 풍장, 풍물이 음악을 해주었다. 음악이 발달되고 전파되며 서민들의 보편적 음악으로 퍼져나간다.
민속공예 : 전라도 유명, 가장 많이 담아 있음, 손재주 예술적 감각이 돋보임
맛의 고장 (味鄕)
1. 재료 풍부 (넓은 평야, 산지 강 바다의 영향)
맛있는 음식의 60%가 해물. 전라남도(섬도 많으며 해안선도 길며 갯벌이 김)- 서해(새우, 홍어) 와 남해(멸치, 가자미, 전어)를 접함, 경상남도는 남해와 동해를 접함
- 남해(멸치, 전어) 서해(새우, 홍어, 가자미, 조기)
갯벌은 모래와 비교 불가. 예를 들어 무안의 낙지는 사근한데 비해, 여수의 낙지는 크고, 딱딱하며 질김을 알수있다.
2. 예술적 감각 - 전라도 사람의 손재주가 뛰어나다. 윗지방일수록 음식이 싱거움. 재료와 양념의 조화가 필요.
3. 남성들의 관심도 : 남성은 70년대까지 밥상의 주소비층이다. 경상도는 밥상에서 음식을 평가하면 남자대우 못받았다. 전라도는 맛과 조리법을 알고 있어, 꾸준히 발달할수 있는 동기가 부여된다 연구결과 나와있다.
춤을 추는 사람들은 광주를 무향(舞鄕)이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함.
이들의 관계는 모내기와 관련이 있는데, 모를 내는건 이앙법을 의미한다. 예전엔 산파(시를 뿌리는 것)를 하였는데, 중국의 강남논법인 이앙법이 고려때 들어온다.
농사는 잡초와 싸우고 김매기를 필요로 했으며 수확이 적었다. 열을 맞춰 심으면 수확이 많아 진다. 두레가 조직되고 흥을 돋기 위해 풍악, 풍장, 풍물이 음악을 해주었다. 음악이 발달되고 전파되며 서민들의 보편적 음악으로 퍼져나간다.
민속공예 : 전라도 유명, 가장 많이 담아 있음, 손재주 예술적 감각이 돋보임
맛의 고장 (味鄕)
1. 재료 풍부 (넓은 평야, 산지 강 바다의 영향)
맛있는 음식의 60%가 해물. 전라남도(섬도 많으며 해안선도 길며 갯벌이 김)- 서해(새우, 홍어) 와 남해(멸치, 가자미, 전어)를 접함, 경상남도는 남해와 동해를 접함
- 남해(멸치, 전어) 서해(새우, 홍어, 가자미, 조기)
갯벌은 모래와 비교 불가. 예를 들어 무안의 낙지는 사근한데 비해, 여수의 낙지는 크고, 딱딱하며 질김을 알수있다.
2. 예술적 감각 - 전라도 사람의 손재주가 뛰어나다. 윗지방일수록 음식이 싱거움. 재료와 양념의 조화가 필요.
3. 남성들의 관심도 : 남성은 70년대까지 밥상의 주소비층이다. 경상도는 밥상에서 음식을 평가하면 남자대우 못받았다. 전라도는 맛과 조리법을 알고 있어, 꾸준히 발달할수 있는 동기가 부여된다 연구결과 나와있다.
춤을 추는 사람들은 광주를 무향(舞鄕)이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