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① 피부의 구조
② 피부 노화의 구조
③ 피부 노화의 영향
④ 광노화란
⑤ 노화기전에 따른 노화 방지제의 종류
⑥ 노화 방지 작용을 갖는 화장품 소재의 개발
⑦ 피부 노화 방지제의 종류 및 특성
3. 결 론
- 앞으로의 항노화제 개발
참 고 문 헌
2. 본 론
① 피부의 구조
② 피부 노화의 구조
③ 피부 노화의 영향
④ 광노화란
⑤ 노화기전에 따른 노화 방지제의 종류
⑥ 노화 방지 작용을 갖는 화장품 소재의 개발
⑦ 피부 노화 방지제의 종류 및 특성
3. 결 론
- 앞으로의 항노화제 개발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다. 원래 콜라겐은 3개의 선유가 꼬아 합쳐져 ,피부의 강함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것에 가교가 지나치게 일어나면 굳어져 버린다. 이것을 과잉 반응이라고 말하는데 이 과잉 반응은 인체 속에서는 자주 일어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처를 말하면 그 세포가 파괴된 것인데 파괴된 부위를 치료하려고 콜라겐이 생겨서 그 자리를 채우게 된다. 그러나 그것이 과잉이 되면 상처자국은 부풀어오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결합 조직이 과잉하게 생겨 굳어져버리면 영양소가 운반되기 어렵게 되고, 노폐물도 회수되기 힘들게 되는데다가 신경 전달 물질도 도착하지 않게 된다. 결국, 세포 간을 채우는 결합 조직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그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피부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에 가교가 일어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남으로써 피부가 굳어져 간다. 이것이 노화 현상인 것이다.
⑧ 항산화제
호기성 생물에는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방어하는 기구로서 radical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적 항산화제(preventive antioxidant)와 이미 생성된 radical을 빠르게 소거하는 연쇄절단형 항산화제 (chain-breaking antioxidant)가 있다. 전자에는 SOD, catalase, peroxidase 등의 효소류와 xanthine oxidase 저해제, 금속 chelator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항산화제라 함은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가진 저분자화합물이라고 좁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연쇄절단형 항산화제를 일컫는다. 여기에서는 이 협의의 항산화제 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항산화제의 기능을 논하는데 있어서 수용성인가 지용성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용성 항산화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vitamin C와 요산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수용성계에서 생성된 radical을 포착 소거한다. 한편, 지용성 항산화제에는 vitamin E를 비롯하여 ubiquinone (CoQ), carotenoid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지질막내에서 지질 peroxy radical을 소거함으로써 radical chain reaction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생체내의 in vivo system에서는 양자가 상승적(相昇的)인 작용을 통해 radical 공격에 대처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⑨ 붐을 몰고온 히드록시산
레티노인산에 약간 늦게 주목받기 시작하여 구미에서 폭발적인 붐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히드록시산이 있다. 대사적인 글리콜산이나 유산은 종래의 드라이스킨이나 乾癬 등의 과각화성건조피부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던 것이지만 그 중에서 주름살에 대한 효과가 지적되게 되었다.
한편으로 미용정형에 있어서는 이들 고농도용액이 필링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매우 과격한 방법이지만 필링제를 단시간피부에 적용하여 표피를 剝離하여 그 재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주름살의 개선을 도모하며, 극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은 배경도 있어서 화장품분야에서도 큰 관심을 모았으나 저 농도제제의 유효성 데이타는 충분하지 않다.
최근 광노화피부에 대한 히드록시산의 유효성을 이중맹검으로 평가한 결과가 보고 되었다. 글리콜산, 유산 모두 8%의 크림제제를 이용한 시험에서는 광노화피부의 전반적인 개선도는 밝혀졌지만 주름살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는 명확한 효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 25%(PH3.5)라는 중화하지 않은 고농도제제를 6개월간 사용하였을 때에는 표피, 진피에 대해서 레티노이드와 유사한 조직학적 변화가 발생한다고 하는 보고가 있다.
다만, 이 작용이 저 농도제제에도 그대로 적용되리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히드록시산의 단점은 저 농도이어도 일과성의 스팅깅을 비롯한 피부자극성이 있는 것으로 동 연구팀의 경험에서도 자극이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의 저농도 제제나 중화제제에서는 보습성 기제를 상회하는 주름살개선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3. 결 론
- 앞으로의 항노화제 개발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항노화효과가 확실히 확인되고 있는 외용제는 지금까지 레티노이드가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면 새로운 항노화제 개발을 살펴보는 하나의 방향으로서 지금까지의 레티노이드가 안고 있는 결점을 개량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레티노이드산의 결점인 피부자극성은 레티놀이라도 고농도로 투여하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효과를 갖고, 또한 부작용이 없는 레티노이드의 개발은 의약품, 의약부외품을 불문하고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레티노이드의 항노화작용과 부작용 분리의 시도는 약간의 보고만 있을 뿐이다.
레티노이드의 다음에 오는 항노화제는 과연 어떠한 것일까? 여기서 예로 든 항노화제는 모두 임상의 현장에서 어느 의미에서 우연히 발견해낸 것이다. 앞으로의 새로운 항노화제의 개발은 이러한 기존 지식의 유효성분의 항노화작용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것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주름살을 개선하는 스킨케어제라는 것은 확실히 매력적인 것이지만, 우리의 화장품이라는 범주에서 생각하면 오랜 세월에 걸쳐 만들어지는 주름살을 한번 보고 알 수 있을 만큼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개발이라는 것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오히려 젊었을 때부터 피부노화의 촉진을 예방하는 스킨케어가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최근의 연구는 광노화의 피부변화에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진피매트릭스의 분해와 수복의 반복이 원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노화예방에 있어서 자외선방어의 의의는 다시 말할 필요도 없지만 주름살 형성의 보다 상세한 분자기구의 해명에 의해 새로운 예방약제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참고문헌
(1) http://cischem.com/
(2) http://www.kipo.go.kr
(3) http://latimes.com
(4) 생명공학연구소 (http://www.kribb.re.kr)
(5) 화장품학, 황정원 저, 현문사, 1995년
(6) 화장품학, 김연주 저, 청구문화사, 1995년
(7) 화장과 화장품, 김덕록 저, 도서출판 답게, 1997년
(8) 화장품학, 하병조 저, 수문사, 1999년
(9) 고운피부, 젊은피부, 국홍일 저, 아침나라, 1999년
⑧ 항산화제
호기성 생물에는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방어하는 기구로서 radical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적 항산화제(preventive antioxidant)와 이미 생성된 radical을 빠르게 소거하는 연쇄절단형 항산화제 (chain-breaking antioxidant)가 있다. 전자에는 SOD, catalase, peroxidase 등의 효소류와 xanthine oxidase 저해제, 금속 chelator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항산화제라 함은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가진 저분자화합물이라고 좁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연쇄절단형 항산화제를 일컫는다. 여기에서는 이 협의의 항산화제 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항산화제의 기능을 논하는데 있어서 수용성인가 지용성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용성 항산화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vitamin C와 요산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수용성계에서 생성된 radical을 포착 소거한다. 한편, 지용성 항산화제에는 vitamin E를 비롯하여 ubiquinone (CoQ), carotenoid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지질막내에서 지질 peroxy radical을 소거함으로써 radical chain reaction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생체내의 in vivo system에서는 양자가 상승적(相昇的)인 작용을 통해 radical 공격에 대처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⑨ 붐을 몰고온 히드록시산
레티노인산에 약간 늦게 주목받기 시작하여 구미에서 폭발적인 붐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히드록시산이 있다. 대사적인 글리콜산이나 유산은 종래의 드라이스킨이나 乾癬 등의 과각화성건조피부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던 것이지만 그 중에서 주름살에 대한 효과가 지적되게 되었다.
한편으로 미용정형에 있어서는 이들 고농도용액이 필링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매우 과격한 방법이지만 필링제를 단시간피부에 적용하여 표피를 剝離하여 그 재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주름살의 개선을 도모하며, 극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은 배경도 있어서 화장품분야에서도 큰 관심을 모았으나 저 농도제제의 유효성 데이타는 충분하지 않다.
최근 광노화피부에 대한 히드록시산의 유효성을 이중맹검으로 평가한 결과가 보고 되었다. 글리콜산, 유산 모두 8%의 크림제제를 이용한 시험에서는 광노화피부의 전반적인 개선도는 밝혀졌지만 주름살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는 명확한 효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 25%(PH3.5)라는 중화하지 않은 고농도제제를 6개월간 사용하였을 때에는 표피, 진피에 대해서 레티노이드와 유사한 조직학적 변화가 발생한다고 하는 보고가 있다.
다만, 이 작용이 저 농도제제에도 그대로 적용되리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히드록시산의 단점은 저 농도이어도 일과성의 스팅깅을 비롯한 피부자극성이 있는 것으로 동 연구팀의 경험에서도 자극이 문제가 되지 않는 정도의 저농도 제제나 중화제제에서는 보습성 기제를 상회하는 주름살개선효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3. 결 론
- 앞으로의 항노화제 개발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항노화효과가 확실히 확인되고 있는 외용제는 지금까지 레티노이드가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면 새로운 항노화제 개발을 살펴보는 하나의 방향으로서 지금까지의 레티노이드가 안고 있는 결점을 개량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레티노이드산의 결점인 피부자극성은 레티놀이라도 고농도로 투여하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효과를 갖고, 또한 부작용이 없는 레티노이드의 개발은 의약품, 의약부외품을 불문하고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레티노이드의 항노화작용과 부작용 분리의 시도는 약간의 보고만 있을 뿐이다.
레티노이드의 다음에 오는 항노화제는 과연 어떠한 것일까? 여기서 예로 든 항노화제는 모두 임상의 현장에서 어느 의미에서 우연히 발견해낸 것이다. 앞으로의 새로운 항노화제의 개발은 이러한 기존 지식의 유효성분의 항노화작용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것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주름살을 개선하는 스킨케어제라는 것은 확실히 매력적인 것이지만, 우리의 화장품이라는 범주에서 생각하면 오랜 세월에 걸쳐 만들어지는 주름살을 한번 보고 알 수 있을 만큼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개발이라는 것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오히려 젊었을 때부터 피부노화의 촉진을 예방하는 스킨케어가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최근의 연구는 광노화의 피부변화에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진피매트릭스의 분해와 수복의 반복이 원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노화예방에 있어서 자외선방어의 의의는 다시 말할 필요도 없지만 주름살 형성의 보다 상세한 분자기구의 해명에 의해 새로운 예방약제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참고문헌
(1) http://cischem.com/
(2) http://www.kipo.go.kr
(3) http://latimes.com
(4) 생명공학연구소 (http://www.kribb.re.kr)
(5) 화장품학, 황정원 저, 현문사, 1995년
(6) 화장품학, 김연주 저, 청구문화사, 1995년
(7) 화장과 화장품, 김덕록 저, 도서출판 답게, 1997년
(8) 화장품학, 하병조 저, 수문사, 1999년
(9) 고운피부, 젊은피부, 국홍일 저, 아침나라, 1999년
추천자료
장년기에서 노인의 특징 문제점 사회적해결과제
노인자원봉사활동
노인복지의 전망과 과제
아름다운 얼굴의 미학적 기준과 시대에 따른 미인상의 변화
고령화 사회 노인 빈곤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실태와 문제점 대책방안
노인복지에 대한 이해
갑각류 색소 Astaxanthin의 국내연구동향
기능성 화장품의 성분
에센셜 아로마 양 오일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디지털 사회와 소비자] 선택상품 선크림 !! 다가오는 여름!! 태양으로부터 피부를 ...
화장품산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노인복지] 교정복지 - 노인 범죄에 관해서
빈곤한 노인의 여러가지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