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920년대 ~ 1950년대
<우리나라>
<세계>
2. 1960년대
<우리나라>
<세계>
3. 1970년대
<우리나라>
<세계>
4. 1980년대
<우리나라>
<세계>
5. 1990년대 ~ 현재
<우리나라>
<세계>
<우리나라>
<세계>
2. 1960년대
<우리나라>
<세계>
3. 1970년대
<우리나라>
<세계>
4. 1980년대
<우리나라>
<세계>
5. 1990년대 ~ 현재
<우리나라>
<세계>
본문내용
산업의 시장 흐름을 좌우할 만큼의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집단이다. 따라서 대중음악은 거대한 청소년 음반시장을 겨냥한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의해 철저히 ‘기획’되었다. 대중스타를 전문적으로 만들어 내는 기획사에 의해 아이돌 가수들이 이들에 의해 철저히 훈련되어 시장에 나왔다. 그리고 이러한 기획사에 의한 음악의 생산과 스타시스템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소비적 인간형으로서의 신세대 이미지가 구축되었다.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 H.O.T. 등장. 엄청난 상업성으로 인한 논란.
최근에는 동방신기가 10대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고 있다.
<세계>
메탈이 록계를 천하통일한 시점인 90년대 시애틀에서 출현한 너바나(Nirvana)는 전통적인 사운드를 복고풍이고도 섞어 놓은 스타일로 표현한 얼터너티브 록을 들고 나오면서 록 지평을 뿌리부터 흔들어 놓았고, 80년대 상업적인 록의 "대안"을 제시하게 된다. 너바나의 얼터너티브를 계기로 탈장르시대가 열렸고 하나의 곡을 한 장르로 구분짓는 것이 어렵고 의미도 없게 되었다. 그리고, 너바나의 얼터너티브는 음악장르의 구분을 뛰어넘어 하나의 문화운동으로까지 퍼져나갔다. 얼터너티브 록은 그런지 록(Grunge Rock), 모던 록(Modern Rock)이라고도 하며 최근 놀라운 대중적 인기와 지지도를 획득하며 록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장르이다.
1990년대에 몇몇 록 음악가들은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 90년대에 대중 매체의 상업성을 이용하려다, 역으로 이에 희생당했던 가장 극적인 예는 아마도 커트 코베인이 이끌었던 너바나 Nirvana일 것이다. 코베인은 60년대 록 스타들과 80년대 헤비 메틀 음악가들에게서 나타나는 남녀 차별주의를 비난하고, 남녀 상호존중을 실천하고자 했다. 동시에 그 자신은 이성애자이면서도 〈All Apologies〉에서는 동성애자에 대해 넓은 포용력을 보여주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언더 그라운드 밴드였던 너바나는 《Incesticide》앨범 발매 당시 만해도 ‘완전히 피폐해진 록 청년문화를 상업적으로 착취하는 것에 대해 조금의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고 언급했었다. 하지만 《Never mind》앨범이 미국에서만 8백만 장 이상 팔려나가면서, 코베인은 이제 대중매체가 자신과 가족을 파멸시켰다고 느끼고 1994년 4월 그는 권총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세상을 등졌고, 이를 두고서 평론가들은 벗어날 수 없는 흡인력을 지닌 자본주의 시장에 대한 그의 마지막으로 저항이라는 평을 했다. 코베인의 비극과 달리, 대중 매체를 이용하여 성과를 거둔 것은 부르주아 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록 음악의 오랜 저항 운동이다. 그 영향으로 90년대에 들어와서는 제3의 성인 동성애자들의 정체성 찾기 운동이 활발해졌고 이에 대중 매체가 긍정적으로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록 음악에서 시작된 부르주아 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은 90년대에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둠으로써 폭발적인 저항성이 다소 희석된 것으로 보인다. 그 자리를 대신해서, 90년대 대중 음악계에 강렬하게 떠오른 저항음악은 거리 벽 위에 낙서하는 문화, 브레이크 댄스와 랩이 결합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일상 음악인 힙합이라고 할 수 있겠다. 흔히 스크레칭이라고 부르는 LP레코드판을 앞뒤로 돌리며 내는 긁히는 소리는 악기를 구입할 수 없는 가난한 흑인들의 연주법으로 출발했다는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 특히 노래 가사에 들어가는 정치적·사회적 풍자, 대화를 주고받는 형식의 랩 음악과 청중의 응답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는 힙합이 부르주아 문화가치를 대표하는 고전 음악과 달리 자폐적 독백이 아닌 대화론적 음악임을 알려준다.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 H.O.T. 등장. 엄청난 상업성으로 인한 논란.
최근에는 동방신기가 10대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고 있다.
<세계>
메탈이 록계를 천하통일한 시점인 90년대 시애틀에서 출현한 너바나(Nirvana)는 전통적인 사운드를 복고풍이고도 섞어 놓은 스타일로 표현한 얼터너티브 록을 들고 나오면서 록 지평을 뿌리부터 흔들어 놓았고, 80년대 상업적인 록의 "대안"을 제시하게 된다. 너바나의 얼터너티브를 계기로 탈장르시대가 열렸고 하나의 곡을 한 장르로 구분짓는 것이 어렵고 의미도 없게 되었다. 그리고, 너바나의 얼터너티브는 음악장르의 구분을 뛰어넘어 하나의 문화운동으로까지 퍼져나갔다. 얼터너티브 록은 그런지 록(Grunge Rock), 모던 록(Modern Rock)이라고도 하며 최근 놀라운 대중적 인기와 지지도를 획득하며 록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장르이다.
1990년대에 몇몇 록 음악가들은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 90년대에 대중 매체의 상업성을 이용하려다, 역으로 이에 희생당했던 가장 극적인 예는 아마도 커트 코베인이 이끌었던 너바나 Nirvana일 것이다. 코베인은 60년대 록 스타들과 80년대 헤비 메틀 음악가들에게서 나타나는 남녀 차별주의를 비난하고, 남녀 상호존중을 실천하고자 했다. 동시에 그 자신은 이성애자이면서도 〈All Apologies〉에서는 동성애자에 대해 넓은 포용력을 보여주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언더 그라운드 밴드였던 너바나는 《Incesticide》앨범 발매 당시 만해도 ‘완전히 피폐해진 록 청년문화를 상업적으로 착취하는 것에 대해 조금의 죄책감도 느끼지 않는다’고 언급했었다. 하지만 《Never mind》앨범이 미국에서만 8백만 장 이상 팔려나가면서, 코베인은 이제 대중매체가 자신과 가족을 파멸시켰다고 느끼고 1994년 4월 그는 권총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으로 세상을 등졌고, 이를 두고서 평론가들은 벗어날 수 없는 흡인력을 지닌 자본주의 시장에 대한 그의 마지막으로 저항이라는 평을 했다. 코베인의 비극과 달리, 대중 매체를 이용하여 성과를 거둔 것은 부르주아 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록 음악의 오랜 저항 운동이다. 그 영향으로 90년대에 들어와서는 제3의 성인 동성애자들의 정체성 찾기 운동이 활발해졌고 이에 대중 매체가 긍정적으로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록 음악에서 시작된 부르주아 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은 90년대에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둠으로써 폭발적인 저항성이 다소 희석된 것으로 보인다. 그 자리를 대신해서, 90년대 대중 음악계에 강렬하게 떠오른 저항음악은 거리 벽 위에 낙서하는 문화, 브레이크 댄스와 랩이 결합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일상 음악인 힙합이라고 할 수 있겠다. 흔히 스크레칭이라고 부르는 LP레코드판을 앞뒤로 돌리며 내는 긁히는 소리는 악기를 구입할 수 없는 가난한 흑인들의 연주법으로 출발했다는 사회적 의미를 갖는다. 특히 노래 가사에 들어가는 정치적·사회적 풍자, 대화를 주고받는 형식의 랩 음악과 청중의 응답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는 힙합이 부르주아 문화가치를 대표하는 고전 음악과 달리 자폐적 독백이 아닌 대화론적 음악임을 알려준다.
추천자료
MP3 저작권 문제와 국내 대중음악산업에 대한 고찰
서태지의 대중음악내 영향력 분석(A+레포트)
새로운 대중음악 CCM
[대중음악]비틀즈 (Beatles)
대중음악 레포트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평가 완벽 고찰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방송통신대]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중국공연예술))
[문화선교] 『대중음악』
[팝음악][흐름][미국][수입][대중가요][랩][민중가요계][신세대문화][팝][힙합]팝음악의 흐름...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12~14주차 (현대 미술 트렌드 ...
대중음악의 탄생의 정의
대중음악인의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