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8
136
136
136
204
특별 활동
30
34
34
68
68
68
68
68
68
68
8단위
연간 수업 시간 수
830
850
986
986
1,088
1,088
1,156
1,156
1,156
1,224
144단위
1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10년 동안에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한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시간 배당 기준에 배당된 각 학년별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의 수업 시간 수는 이 기간 동안에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연간 기준 수업 시간 수이다.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시간 배정 기준의 특색
(1) 학년별, 교과 및 영역별로 배당된 시간은 ‘최소’ 기준의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에 제시되어 있는 각 학년, 교과 및 영역별로 배당된 시간 수는 34주를 기준으로 한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의 개념이다. 즉, 이 기간 동안에 모든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이므로,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함에 있어서는 이 기준에 미달되어서는 안 되며, 그 이상의 수업을 하는 것은 학교에 주어진 자율재량이라 하겠다.
(2)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연간’ 총 수업 시수를 제시하였다.
각 학년별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 및 학년별 수업 시간 수는 주당 시수로 표기하지 않고, 연간 수업 시간 수로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수업 시간 수를 고정시키거나 획일화시키지 아니하고, 계절의 변화, 교과 및 활동의 특성, 학교의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고 탄력적으로 교육과정 시간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3) 지역, 학교의 특수성과 학생의 교육적 필요를 수용하고, 학생과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재량 활동’의 영역을 확대, 신설하였다.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구분하고 교과 재량 활동은 선택 과목(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보충심화 학습 시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교과(한문, 컴퓨터, 환경)가 편제 시간 배당 기준에 제시되어 있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 컴퓨터, 환경 외에 세계화개방화에 따라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의 7개 외국어를 포함하는 생활 외국어가 설치되어 교과 재량 활동 영역에 들어왔다.
창의적 재량 활동은 학교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흥미, 적성에 따라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포함하고 있다.
(4)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교과별 최소 수업 시간 수’를 감축 또는 조정하였다.
교과별 주당 총 수업 시간 수가 제6차 교육과정에서보다 전 학년에 걸쳐 1~2시간씩 감축 조정된 것이다. 이는 ‘재량 활동’의 신설확대에 따른 것이며 감축, 조정된 교과의 학습 내용은 모든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수하여야 할 최소 필수 학습 요소에 따라 학습 분량을 줄이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최저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5) 특별 활동의 영역별 시간 배정은 학교의 실정에 따라 운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 배정의 결정권을 단위 학교에 부여하였다.
특별 활동의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의 각 영역별 시간은 지역이나 학교의 실정, 학생의 요구나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학교에서 결정하도록 하였으며, 시간 배당 기준에 제시된 시간외에도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하도록 하였다.
136
136
136
204
특별 활동
30
34
34
68
68
68
68
68
68
68
8단위
연간 수업 시간 수
830
850
986
986
1,088
1,088
1,156
1,156
1,156
1,224
144단위
1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10년 동안에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한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시간 배당 기준에 배당된 각 학년별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의 수업 시간 수는 이 기간 동안에 모든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연간 기준 수업 시간 수이다.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시간 배정 기준의 특색
(1) 학년별, 교과 및 영역별로 배당된 시간은 ‘최소’ 기준의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에 제시되어 있는 각 학년, 교과 및 영역별로 배당된 시간 수는 34주를 기준으로 한 ‘연간 최소 수업 시간 수’의 개념이다. 즉, 이 기간 동안에 모든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이므로,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함에 있어서는 이 기준에 미달되어서는 안 되며, 그 이상의 수업을 하는 것은 학교에 주어진 자율재량이라 하겠다.
(2)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연간’ 총 수업 시수를 제시하였다.
각 학년별 교과, 재량 활동, 특별 활동 및 학년별 수업 시간 수는 주당 시수로 표기하지 않고, 연간 수업 시간 수로 제시되어 있다. 이것은 수업 시간 수를 고정시키거나 획일화시키지 아니하고, 계절의 변화, 교과 및 활동의 특성, 학교의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고 탄력적으로 교육과정 시간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3) 지역, 학교의 특수성과 학생의 교육적 필요를 수용하고, 학생과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재량 활동’의 영역을 확대, 신설하였다.
재량 활동은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구분하고 교과 재량 활동은 선택 과목(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과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의 보충심화 학습 시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교과(한문, 컴퓨터, 환경)가 편제 시간 배당 기준에 제시되어 있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 컴퓨터, 환경 외에 세계화개방화에 따라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의 7개 외국어를 포함하는 생활 외국어가 설치되어 교과 재량 활동 영역에 들어왔다.
창의적 재량 활동은 학교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흥미, 적성에 따라 범교과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포함하고 있다.
(4)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교과별 최소 수업 시간 수’를 감축 또는 조정하였다.
교과별 주당 총 수업 시간 수가 제6차 교육과정에서보다 전 학년에 걸쳐 1~2시간씩 감축 조정된 것이다. 이는 ‘재량 활동’의 신설확대에 따른 것이며 감축, 조정된 교과의 학습 내용은 모든 학생들이 공통으로 이수하여야 할 최소 필수 학습 요소에 따라 학습 분량을 줄이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최저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5) 특별 활동의 영역별 시간 배정은 학교의 실정에 따라 운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간 배정의 결정권을 단위 학교에 부여하였다.
특별 활동의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의 각 영역별 시간은 지역이나 학교의 실정, 학생의 요구나 필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학교에서 결정하도록 하였으며, 시간 배당 기준에 제시된 시간외에도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운영하도록 하였다.
추천자료
7차 교육과정의 특징
학급 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변천,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보화 효과와 외국사례, 특수교육(장...
[미래형교육과정]미래형 교육과정(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효과 및 장점, 필요성 VS 문제...
고등학교 교육과정 목적, 고등학교 교육과정 지침,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고등학교 수준별...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의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원칙,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준비, 선택중심교육...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의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영역, 국민공...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중점과 목표, 고등학교 선택중심교육과정, 고등학교 재량활동교육과정...
유치원교육과정의 목표, 유치원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유치원교육과정의 관련 법규, 유치원교...
[제7차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특별활동][학교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편제, 제7차교육...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역사,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기본구조,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제, 고등...
[유아교육][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의 변천과 구성절차,...
[아동건강교육] 3-5세 누리과정에서의 건강교육부분을 설명하되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정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