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ymbolism
○ prologue
○ 작품의 상징성
○ epilogue
○ prologue
○ 작품의 상징성
○ epilogue
본문내용
그녀는 좋은 여자였을 거야. ”라는 말의 의미도 같은 맥락에서 파악해 볼 수 있는데, 종교에 대한 상투성을 벗어나 본질적 믿음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성찰하는 계기를 던져준다는 점과 더불어 신의 존재와 구원에 대한 믿음을 여전히 받아들이지 못하는 Misfit의 상태를 보여준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작품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죽기 직전에 비로소 깨달음을 얻고 눈을 감은 할머니의 죽음을 통해 Misfit이 품고 있는신의 존재와 구원에 대한 의심은 녹아 내리게 될 것이며, 우리는 사회적종교적으로 Misfit한 이 세상에서 그가 예수처럼 다른 사람들의 죄를 회개하게 되는 존재로의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마지막 그의 말은 깊은 여운을 남기게 한 채 이야기를 맺는다.
“삶에서 진정한 즐거움이란 없어.”
이렇게 작품 전체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핵심적 주제인 Christianity에 대한 고찰이 grotesque 한 방식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시대상황과 작가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unreasonable character와 그들의 misfit한 상태는 그 시대의 사회상도 misfit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종교를 포함한 기존의 정신세계의 바탕이었던 가치들에 대한 혼란스러워하고, 본질적인 것들을 잃어 가는 misfit한 시대라는 것이다. 이것은 “A good man is hard to find"라는 작품의 제목과도 연결 지어 볼 수 있는데 정신적 혼란과 무질서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는 좋은 사람을 찾기 힘들고, 깊은 종교적 세계와 진실한 믿음을 가진 사람도 찾기 힘들며, 좋은 사람이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측면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작가는 할머니와 misfit을 통해 evil이 충실한 Christian을 어떻게 제압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당시 사회의 병폐를 폭로하고자 하고 점차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회귀를 꿈꾸고 있는데 이러한 의도를 성취하기 위해 작품 전체에 걸쳐 수수께끼 같은 상징성과 mystery와의 접촉, 그리고 괴기스러운 결말과 폭력성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작품의 상징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 epilogue
맨 처음 작품을 읽어봤을 때에는 도무지 뭐가 뭔지 알 수 없고 막연하게만 느껴져서 어떻게 이해해야 할 지 막막하기만 했다. 그런데 공교롭게 이 작품으로 발표를 맡게 되어서 몇 차례 반복해서 읽어보고 친구들이랑 얘기도 나눠보면서 윤곽을 그려갈 수 있었다. 아직 나의 독서 경험이 짧아서이겠지만 지금껏 읽은 작품 중에서 제대로 의미를 파악하기까지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은 처음인 것 같다. 공을 많이 들인 만큼 작품에 대한 해석의 조각들이 하나하나 모여서 한 덩어리를 이루었을 때의 뿌듯함도 더 컸다. 미진하게 해석한 부분도 있겠지만 과정에 충실했음에 만족하려 한다. 솔직히 이 작품에서 말하고 있는 종교적인 믿음과 신앙에 대한 메시지가 마음에 와 닿거나 감동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았지만, 인간이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던져 보아야 하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의문과 그 답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진정으로 ‘좋은 사람’은 어떤 사람이며, 나는 과연 허위의식 속에 빠져 살아오지는 않았는지, 다양한 가치가 혼재하는 사회에서 어떤 가치를 기둥으로 삼고 살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되었다. 난해한 상징성을 통해 전달하려는 작가의 메시지는 감지하기는 어렵지만 인상 깊게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다. “ A Good Man is Easy to Find " 인 세상이 되길 바라면서 이만 글을 맺어야겠다.
“삶에서 진정한 즐거움이란 없어.”
이렇게 작품 전체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핵심적 주제인 Christianity에 대한 고찰이 grotesque 한 방식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시대상황과 작가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unreasonable character와 그들의 misfit한 상태는 그 시대의 사회상도 misfit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즉,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종교를 포함한 기존의 정신세계의 바탕이었던 가치들에 대한 혼란스러워하고, 본질적인 것들을 잃어 가는 misfit한 시대라는 것이다. 이것은 “A good man is hard to find"라는 작품의 제목과도 연결 지어 볼 수 있는데 정신적 혼란과 무질서가 팽배한 현대사회에서는 좋은 사람을 찾기 힘들고, 깊은 종교적 세계와 진실한 믿음을 가진 사람도 찾기 힘들며, 좋은 사람이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측면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작가는 할머니와 misfit을 통해 evil이 충실한 Christian을 어떻게 제압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당시 사회의 병폐를 폭로하고자 하고 점차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회귀를 꿈꾸고 있는데 이러한 의도를 성취하기 위해 작품 전체에 걸쳐 수수께끼 같은 상징성과 mystery와의 접촉, 그리고 괴기스러운 결말과 폭력성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도 작품의 상징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 epilogue
맨 처음 작품을 읽어봤을 때에는 도무지 뭐가 뭔지 알 수 없고 막연하게만 느껴져서 어떻게 이해해야 할 지 막막하기만 했다. 그런데 공교롭게 이 작품으로 발표를 맡게 되어서 몇 차례 반복해서 읽어보고 친구들이랑 얘기도 나눠보면서 윤곽을 그려갈 수 있었다. 아직 나의 독서 경험이 짧아서이겠지만 지금껏 읽은 작품 중에서 제대로 의미를 파악하기까지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은 처음인 것 같다. 공을 많이 들인 만큼 작품에 대한 해석의 조각들이 하나하나 모여서 한 덩어리를 이루었을 때의 뿌듯함도 더 컸다. 미진하게 해석한 부분도 있겠지만 과정에 충실했음에 만족하려 한다. 솔직히 이 작품에서 말하고 있는 종교적인 믿음과 신앙에 대한 메시지가 마음에 와 닿거나 감동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았지만, 인간이 살아가면서 한번쯤은 던져 보아야 하는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의문과 그 답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진정으로 ‘좋은 사람’은 어떤 사람이며, 나는 과연 허위의식 속에 빠져 살아오지는 않았는지, 다양한 가치가 혼재하는 사회에서 어떤 가치를 기둥으로 삼고 살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는 기회가 되었다. 난해한 상징성을 통해 전달하려는 작가의 메시지는 감지하기는 어렵지만 인상 깊게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다. “ A Good Man is Easy to Find " 인 세상이 되길 바라면서 이만 글을 맺어야겠다.
추천자료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에 나타난 다양한 결혼의 형태
[현대희곡] Brecht의 The Threepenny Opera에 나타난 희극적 결말의 아이러니
[영미문학] 「Young Goodman Brown」속에 나타난 인간의 내면세계
세계화시대와 청년실업
[영어에세이] 1984 조지 오웰 - George Orwell - 영어 독후감 감상 비평 평론 동물농장 고전 ...
[영어에세이] Dead Man Walking 데드맨 워킹 - 팀 로빈스 감독 수잔 서랜든 숀 펜 주연 - 영...
What Can We Do To Improve Oral Proficiency in English?
How to solve the Somali Pirate problem?
로버트 스티븐슨 지킨박사와 하이드 영어 에세이(Robert Stevenson's Dr Jekyll and Mr Hyde ...
로머의 시장사회주의론에서 나타난 소유관계변화의 의의와 한계
[영어예배] 01.The Big Adventure (약속의 땅으로 가는 긴 여행)
초등 5학년) <(영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7. May I Speak to Seho?(5/6) - 전화하고 ...
[A+] 미디어에 나타난 바디 이미지(Body Image)에 대한 비평 영문 에세이
믿음이란 무엇인가? (요한복음에 나타난 믿음에 관련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