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말하기의 이해 1
1. 말의 본질 1
2. 말의 특성 1
3. 말하기의 과정 1
Ⅱ. 외국어 말하기 지도 2
1. 말하기 능력의 이해 2
2. 말하기 지도의 원칙 3
Ⅲ. 초등 영어과 말하기 지도 3
1. 말하기 지도 원칙 5
2. 말하기 연습 방법 5
3. 초등영어 지도절차 6
4. 학생 중심의 말하기 활동에서 유의할 점 8
Ⅳ. 말하기 지도 방안(교실활동을 통한 말하기 지도) 9
1. 정서적·인본주의적 활동(Affective-humanistic Activity) 9
2. 문제해결활동(Problem-Solving Activity) 11
Ⅴ. 듣기·말하기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 15
1. Detective Game 15
2. Back-to-Back Picture Game 16
3. Find the same cards 17
4. Beanbag Circle 17
5. Pronunciation Game 17
6. Speed Game 18
7. Charades 18
8. Who Can Go Farther Game 19
1. 말의 본질 1
2. 말의 특성 1
3. 말하기의 과정 1
Ⅱ. 외국어 말하기 지도 2
1. 말하기 능력의 이해 2
2. 말하기 지도의 원칙 3
Ⅲ. 초등 영어과 말하기 지도 3
1. 말하기 지도 원칙 5
2. 말하기 연습 방법 5
3. 초등영어 지도절차 6
4. 학생 중심의 말하기 활동에서 유의할 점 8
Ⅳ. 말하기 지도 방안(교실활동을 통한 말하기 지도) 9
1. 정서적·인본주의적 활동(Affective-humanistic Activity) 9
2. 문제해결활동(Problem-Solving Activity) 11
Ⅴ. 듣기·말하기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게임 15
1. Detective Game 15
2. Back-to-Back Picture Game 16
3. Find the same cards 17
4. Beanbag Circle 17
5. Pronunciation Game 17
6. Speed Game 18
7. Charades 18
8. Who Can Go Farther Game 19
본문내용
도록 한다. 학생들은 같은 그림으로 카드를 4장 모아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팔, 손가락, 다리, 발가락의 4장의 카드를 가졌다면 그 학생은 다리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4장 모으는 것이 유리하다.
4 각 분단의 학생들이 네 장의 카드를 모두 가졌으면 교사는 학생들이 모두 일어서서 그 분단의 학생들에게 "Do you have a leg (arm, finger, toe)?"하고 질문하게 한다.
5 만일 질문을 받은 학생이 그 카드를 가졌다면 질문한 학생에게 "Yes, I do."하고 대답한 후 "Here."하면서 그 카드를 주어야 한다. 또 받은 사람은 "Thank you." 하고 응답하도록 한다. 질?reg; 받은 학생이 그 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No, I don't"하고 대답한다. 그러면 질문한 학생은 다른 학생에게 가서 질문을 계속한다.
이렇게 해서 가장 빨리 같은 카드를 네 장 모두 모은 학생이 각 분단의 승리자가 된다.
4. Beanbag Circle
1) 게임 준비물
콩주머니 혹은 말랑말랑한 공
2) 팀구성 : 전체
3) 게임 운영 방법
1 교사는 "Hi, 영수!" 하고 학생 한 명을 부른다. 그리고는 미리 준비한 콩주머니 혹은 말랑말랑한 공을 그 학생에게 살짝 던지며 "Get this ball."하고 말한다 그 학생이 공을 받으면 "How are you?"하고 물어 보고 그 학생은 "I'm fine, thanks."하고 대답한다.
2 대답을 한 후 그 학생은 다른 한 학생을 골라 다시 이름을 부르고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한다.
3 이 게임은 What's your name? What's the matter? What do you like? What color is it?과 같은 다양한 표현을 지도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5. Pronunciation Game
1) 준비물
종이쪽지 20장 정도 빈 상자 네개 (상자 앞에 매직 사인펜으로 ?copy;게 각각 P, F, R, L을 씀)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생 전체를 두팀으로 나눈 뒤 각팀의 대표를 10명씩 선출한다.
2 교사는 종이 쪽지에 그 동안 배웠던 p, f, r, l로 시작하는 영어 단어를 20개를 미리 골라서 준비한 종이 쪽지에 한국말로 적는다.
(예, 돼지, 라디오, 전등, 아빠 등등)
3 종이 쪽지를 각 팀의 대표들에게 각각 한 장씩 나누어준다.
4 첫 번째 팀의 대표가 앞으로 나오면 교사는 What's this?라고 하며, 종이 쪽지를 가리키며 묻고 그 학생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종이 쪽지에 적혀 있는 한국말을 보고 영어로 대답을 한다. (예: It's a pig.) 그리고는 Pig를 다시 한번 정하고 세게 발음을 한다.
5 그 다음 그 학생은 그 단어가 어떤 철자로 시작하는지를 생각한 후 해당하는 상자에 그 종이 쪽지를 집어넣는다. (이 경우 이 학생은 p라고 적힌 상자에 종이를 넣어야 한다.)
종이 쪽지에 적힌 한국말을 영어로 잘 대답하고 또 올바른 상자에 넣으면 그 학생의 팀은 1점을 얻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하고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팀이 승리를 하게 된다.
6. Speed Game
1) 준비물
도화지 한장, 색연필, 가위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생들을 4명씩 한 조로 한 뒤, 나눈 후 도화지를 16장으로 오려서 그 위에 tree, tulip, rose, sunflower, cucumber, tomato, potato, carrot 그림을 약화로 그리게 한다. 이 때 한 장에는 하나 씩, 또 한 장에는 여러 개를 그리게 한다.
2 카드를 책상 위에 아무렇게나 흩어 놓는다.
3 교사가 "This is a carrot." 이라고 하면 당근이 한 개만 그려진 카드를 빨리 찾는 학생이 그 카드를 갖는다. 또 교사가 "These are carrots." 하고 말하면 당근이 여러개 그려진 카드를 빨리 찾아서 갖는다.
4 이런 식으로 진행하고 마지막에 가장 많은 카드를 가진 학생이 그 조의 승리가 된다.
7. Charades
1) 준비물
학습하고 있는 동사 Flash card. (Jump, walk, laugh, cry, run, etc.) Flash card를 넣을 수 있는 주머니.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습하고 있는 동사의 교사용 카드를 주머니에 넣는다.
2 전체 학생을 두 팀으로 나눈다.
3 각 팀의 리더 중 한 명이 앞으로 나와 다른 학생들이 보지 못하도록 주머니에서 카드 한 장을 꺼내 그 동사를 제스처로 표현한다. 물론 입을 열어서는 안된다. 그 학생의 팀의 다른 학생들은 그 제스처를 보고 그 동사를 이용하여 현재 진행형으로 3장을 만든다. (예: He is sleeping. He is humping, etc) 3장을 올바르게 만들면 그 팀은 1점을 얻는다.
4 이런 방법으로 진행하여 점수를 가장 많이 얻은 팀이 승리한다.
8. Who Can Go Farther Game
1) 게임 설명
이 게임은 각 공간에 그려져 있는 얼굴의 표정을 보고 그것을 영어로 말하고 누가 더 멀리까지 가는지를 알아보는 게임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학생이 1, 2, 3 에 그려져 있는 표정을 영어로 올바르게 말하였으나 4번에 해당하는 그림을 말하지 못했다면 그 학생의 점수는 3점이 된다. 그러나 B라는 학생이 모든 공란에 있는 얼굴의 표정을 영어로 다 표현했다면 그 학생의 점수는 9점이 되어 A라는 학생을 이기게 된다.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생들을 한 팀에 두 명 씩 배치한다. 이 때 가능하면 실력이 비슷한 학생이 한 팀이 되도록 하여 못하는 학생이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배려한다.
2 각 팀의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먼저 아래에 있는 그림을 보면서 시작을 한다. 이 때 교사는 각 팀을 돌아다니면서 학생들이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주의해서 살피고 발음이나 표현에 잘못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따뜻하게 고쳐 준다.
3 한 학생이 끝나고 어디까지 갔는지 점수를 적고 나면 바로 다른 학생이 시작한다.
4 두 학생의 점수를 비교하여 승자를 정한다.
5 시간이 허락하면 이 게임을 세 번 정도 반복해서 승자를 가릴 수 있다.
4 각 분단의 학생들이 네 장의 카드를 모두 가졌으면 교사는 학생들이 모두 일어서서 그 분단의 학생들에게 "Do you have a leg (arm, finger, toe)?"하고 질문하게 한다.
5 만일 질문을 받은 학생이 그 카드를 가졌다면 질문한 학생에게 "Yes, I do."하고 대답한 후 "Here."하면서 그 카드를 주어야 한다. 또 받은 사람은 "Thank you." 하고 응답하도록 한다. 질?reg; 받은 학생이 그 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No, I don't"하고 대답한다. 그러면 질문한 학생은 다른 학생에게 가서 질문을 계속한다.
이렇게 해서 가장 빨리 같은 카드를 네 장 모두 모은 학생이 각 분단의 승리자가 된다.
4. Beanbag Circle
1) 게임 준비물
콩주머니 혹은 말랑말랑한 공
2) 팀구성 : 전체
3) 게임 운영 방법
1 교사는 "Hi, 영수!" 하고 학생 한 명을 부른다. 그리고는 미리 준비한 콩주머니 혹은 말랑말랑한 공을 그 학생에게 살짝 던지며 "Get this ball."하고 말한다 그 학생이 공을 받으면 "How are you?"하고 물어 보고 그 학생은 "I'm fine, thanks."하고 대답한다.
2 대답을 한 후 그 학생은 다른 한 학생을 골라 다시 이름을 부르고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한다.
3 이 게임은 What's your name? What's the matter? What do you like? What color is it?과 같은 다양한 표현을 지도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5. Pronunciation Game
1) 준비물
종이쪽지 20장 정도 빈 상자 네개 (상자 앞에 매직 사인펜으로 ?copy;게 각각 P, F, R, L을 씀)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생 전체를 두팀으로 나눈 뒤 각팀의 대표를 10명씩 선출한다.
2 교사는 종이 쪽지에 그 동안 배웠던 p, f, r, l로 시작하는 영어 단어를 20개를 미리 골라서 준비한 종이 쪽지에 한국말로 적는다.
(예, 돼지, 라디오, 전등, 아빠 등등)
3 종이 쪽지를 각 팀의 대표들에게 각각 한 장씩 나누어준다.
4 첫 번째 팀의 대표가 앞으로 나오면 교사는 What's this?라고 하며, 종이 쪽지를 가리키며 묻고 그 학생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종이 쪽지에 적혀 있는 한국말을 보고 영어로 대답을 한다. (예: It's a pig.) 그리고는 Pig를 다시 한번 정하고 세게 발음을 한다.
5 그 다음 그 학생은 그 단어가 어떤 철자로 시작하는지를 생각한 후 해당하는 상자에 그 종이 쪽지를 집어넣는다. (이 경우 이 학생은 p라고 적힌 상자에 종이를 넣어야 한다.)
종이 쪽지에 적힌 한국말을 영어로 잘 대답하고 또 올바른 상자에 넣으면 그 학생의 팀은 1점을 얻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하고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팀이 승리를 하게 된다.
6. Speed Game
1) 준비물
도화지 한장, 색연필, 가위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생들을 4명씩 한 조로 한 뒤, 나눈 후 도화지를 16장으로 오려서 그 위에 tree, tulip, rose, sunflower, cucumber, tomato, potato, carrot 그림을 약화로 그리게 한다. 이 때 한 장에는 하나 씩, 또 한 장에는 여러 개를 그리게 한다.
2 카드를 책상 위에 아무렇게나 흩어 놓는다.
3 교사가 "This is a carrot." 이라고 하면 당근이 한 개만 그려진 카드를 빨리 찾는 학생이 그 카드를 갖는다. 또 교사가 "These are carrots." 하고 말하면 당근이 여러개 그려진 카드를 빨리 찾아서 갖는다.
4 이런 식으로 진행하고 마지막에 가장 많은 카드를 가진 학생이 그 조의 승리가 된다.
7. Charades
1) 준비물
학습하고 있는 동사 Flash card. (Jump, walk, laugh, cry, run, etc.) Flash card를 넣을 수 있는 주머니.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습하고 있는 동사의 교사용 카드를 주머니에 넣는다.
2 전체 학생을 두 팀으로 나눈다.
3 각 팀의 리더 중 한 명이 앞으로 나와 다른 학생들이 보지 못하도록 주머니에서 카드 한 장을 꺼내 그 동사를 제스처로 표현한다. 물론 입을 열어서는 안된다. 그 학생의 팀의 다른 학생들은 그 제스처를 보고 그 동사를 이용하여 현재 진행형으로 3장을 만든다. (예: He is sleeping. He is humping, etc) 3장을 올바르게 만들면 그 팀은 1점을 얻는다.
4 이런 방법으로 진행하여 점수를 가장 많이 얻은 팀이 승리한다.
8. Who Can Go Farther Game
1) 게임 설명
이 게임은 각 공간에 그려져 있는 얼굴의 표정을 보고 그것을 영어로 말하고 누가 더 멀리까지 가는지를 알아보는 게임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학생이 1, 2, 3 에 그려져 있는 표정을 영어로 올바르게 말하였으나 4번에 해당하는 그림을 말하지 못했다면 그 학생의 점수는 3점이 된다. 그러나 B라는 학생이 모든 공란에 있는 얼굴의 표정을 영어로 다 표현했다면 그 학생의 점수는 9점이 되어 A라는 학생을 이기게 된다.
2) 게임 운영 방법
1 학생들을 한 팀에 두 명 씩 배치한다. 이 때 가능하면 실력이 비슷한 학생이 한 팀이 되도록 하여 못하는 학생이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배려한다.
2 각 팀의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먼저 아래에 있는 그림을 보면서 시작을 한다. 이 때 교사는 각 팀을 돌아다니면서 학생들이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주의해서 살피고 발음이나 표현에 잘못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따뜻하게 고쳐 준다.
3 한 학생이 끝나고 어디까지 갔는지 점수를 적고 나면 바로 다른 학생이 시작한다.
4 두 학생의 점수를 비교하여 승자를 정한다.
5 시간이 허락하면 이 게임을 세 번 정도 반복해서 승자를 가릴 수 있다.
추천자료
초등 영어 읽기 교육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성격과 중점내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환경조성과 교...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 내용체계, 초등학...
초등 영어수업안(5학년. its_under_the_table)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학생의 학습동기,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수준별수업,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방향,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수업구성방향, 초등학교 영...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과 내용체계, ...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의미와 교육목표,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현황,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정의적인간중심교수학습과 과업중심교수학습, 초등학교 영어과(...
초등학교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특징, 초등학교 영어(영어과)교육과정의 배경과 중점, 초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성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생특성을 반영한 교육방...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특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과정, 초등학교...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특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학습이론, 초등학교 영어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