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도의 본질
2 지도학의 역사
2 지도학의 역사
본문내용
지도는 행정구역의 변천을 반영하고 지방 군현을 파악하기 위해 관(官)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지도제작 방법 또한 간의(簡儀) 제도, 혼천의(渾天儀), 인지의, 기리고차 등이 고안되어 발전하였다.
② 조선 후기의 지도
중국에서 도입한 천하여지도, 천하대홀일람지도가 대표적이며 중국을 통해 들어온 서구의 세계 지도인 곤여만국지도 등이 있다. 목판 인쇄술이 발달하여 18세기 이후 목판본 지도가 급증하였고, 경위선 표가 도입되어 전국적인 좌표망을 이용하였다. 지도에 축척을 표시한 방안 지도의 대표가 동국지도이며 그밖에 김정호의 청구도와 대동여지도가 있다.
③ 개화기의 지도
1876년 개항 이후 새로운 인쇄 기술과 지도 제작 기술이 들어왔다. 동판 인쇄, 우모식 지형 표현 방법이 도입되었으며 1910년 이후 일본인에 의해 서양 지도제작 기술이 들어와 현대 지도를 낳게 된다.
2) 지도학의 전문성
15세기 이후 세계 여러 지역으로 관심이 커지면서 지형도의 제작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지도의 중요성은 지도학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1) 지도학의 주요 분야
지도의 제작 효과면에서 야외 측량을 통해서 자료를 얻어 지표의 모양, 거리 등을 나타내고 국가가 제작기관을 운영하는 일반도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일반도를 기초로 하여 법칙성, 지리적 개념을 나타내는 주제도로 나뉜다.
(2) 기타 분야
측량 중심의 대축척 지도 제작과 편집 중심의 소축척 지도 제작 분야가 있다.
(3) 학회와 전문지
2차 대전 이후 지도학의 성장으로 학회설립과 전문지 출판이 활발하다. 국가 자격의 지도 학회에는 국제 지도 연맹이 있다.
② 조선 후기의 지도
중국에서 도입한 천하여지도, 천하대홀일람지도가 대표적이며 중국을 통해 들어온 서구의 세계 지도인 곤여만국지도 등이 있다. 목판 인쇄술이 발달하여 18세기 이후 목판본 지도가 급증하였고, 경위선 표가 도입되어 전국적인 좌표망을 이용하였다. 지도에 축척을 표시한 방안 지도의 대표가 동국지도이며 그밖에 김정호의 청구도와 대동여지도가 있다.
③ 개화기의 지도
1876년 개항 이후 새로운 인쇄 기술과 지도 제작 기술이 들어왔다. 동판 인쇄, 우모식 지형 표현 방법이 도입되었으며 1910년 이후 일본인에 의해 서양 지도제작 기술이 들어와 현대 지도를 낳게 된다.
2) 지도학의 전문성
15세기 이후 세계 여러 지역으로 관심이 커지면서 지형도의 제작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지도의 중요성은 지도학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1) 지도학의 주요 분야
지도의 제작 효과면에서 야외 측량을 통해서 자료를 얻어 지표의 모양, 거리 등을 나타내고 국가가 제작기관을 운영하는 일반도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일반도를 기초로 하여 법칙성, 지리적 개념을 나타내는 주제도로 나뉜다.
(2) 기타 분야
측량 중심의 대축척 지도 제작과 편집 중심의 소축척 지도 제작 분야가 있다.
(3) 학회와 전문지
2차 대전 이후 지도학의 성장으로 학회설립과 전문지 출판이 활발하다. 국가 자격의 지도 학회에는 국제 지도 연맹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