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석유위기와 극복방안(A+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석유위기와 극복방안(A+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국내 석유사용의 역사
Ⅱ.세계 석유파동 분석
1.1차 석유파동
2.2차 석유파동
Ⅲ.석유가격 상승으로 인한 문제점 분석
Ⅳ.국내 석유 의존도의 문제점
Ⅴ.석유 의존도 문제에 대한 대책

결론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너지원을 원유 1t 기준으로 환산한 단위)으로 표시된다. 2002년의 경우 우리나라의 에너지원단위는 0.362TOE/1천달러로 일본(0.107)의 3.4배에 달한다. 대만(0.285), 싱가포르(0.26), 미국(0.227)에 비해서도 크게 높은 편이다. 에너지 비효율로 인해 우리 경제의 에너지원단위는 지난 90년(0.313)보다 오히려 높아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석유 소비의 소득탄력성이 미국, 일본 등에 비해 훨씬 높다. 2003년의 경우 명목 GDP 대비 원유·천연가스 수입액을 보면 한국 4.65%, 일본 1.41%, 미국 1.11%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석유 소비가 대폭 늘어나는 구조적 취약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전체 에너지 소비 가운데 산업용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우리나라는 55.8로, 미국(25.4)·독일(29.2)·일본(39.8)보다 훨씬 높다. 이래저래 한국 경제는 고유가가 직격탄으로 작용하는 경제 시스템을 안고 있다.
Ⅴ.석유 의존도 문제에 대한 대책
1. 소비자
1) 겨울철 실내온도는 18~20도를 유지한다= 서늘한 공간은 심신을 모두 건강하게 한다.
2) 난방온도를 낮추고 얇은 옷을 여러 겹 껴입는다= 난방온도 1도를 낮추면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3) 보일러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면 10%의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다= 보일러 청소는 연료절감 뿐 아니라 고장 예방 효과도 크다. 보일러를 자주 껐다 켰다 하는 것도 금물이다.
4) 가정용 기름 보일러에는 보일러 등유를 사용한다= 가정용 기름 보일러에 빨간색 "보일러 등유"를 사용하면 난방비를 10% 절감할 수 있다. 석유난로 등에는 반드시 실내등유를 사용토
5)대중교통 이용을 생활화하고 운전시 경제속도(70km/h)를 지킨다= 높은 자가용 승용차 이용률은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에너지 소비를 늘린다. 경제속도를 지키면 연료를 20~30% 절약할 수 있다.
6)가스 불꽃의 세기는 중간으로 맞춘다=가스 조리기는 불꽃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선택 하는 게 좋다. 또한 압력솥은 일반솥보다 조리시간이 3분의1 정도 단축되기 때문에 연료절감 효과가 있다.
2. 생산자(기업)
1)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을 생산한다.
에너지소비효율등급 표시제도는 제품의 에너지소비효율에 따라 1등급에서부터 5등급까지 크게 다섯 단계의 20. 에너지소비효율이 높은 제품을 사용하자 등급으로 나누어지며, 효율이 높은 1등급이 가장 에너지절약 효과가 높은 제품이다. 소비자들이 효율높은 제품을 쉽게 판단하여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업자들이 생산단계에서부터 에너지절약형 제품을 생산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92년 9월 1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이 제도의 대상 품목은 냉장고, 승용차, 조명기기, 에어컨 등의 제품들로써 전국의 가정에 이미 많이 보급되어 있거나 보급률이 높은 에너지이용기기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98년부터는 세탁기,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등을 추가하여 포함시키고 있다.
2) 하이드리브 차
하이드리브 차란 전기를 자동차에 보조출력으로 사용해서 연비를 40퍼센트 가량 높인 것이다.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이게 일반화되면 유가의 소비량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많이들 쓰고 있는데 고유가 시대를 맞아 우리도 다음 달 쯤에 국산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보일 예정이다.
3) 제품의 전반적인 고급화
산업체질을 바꾸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나, 경제전반과 관련돼 있어 결코 시행이 쉽지 않다. 에너지 저소비 산업의 성장을 확대하거나, 생산제품의 부가가치를 제고해 에너지비용의 영향을 축소시켜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제품의 전반적인 고급화가 이뤄져야만 가능하다
3. 정부
1) 지역난방방식 적용
지역난방 방식이 자체적으로 열 생산시설을 운영하는 중앙난방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약효과가 크고 대기오염 물질도 적게 배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난방에 비해 53% 66만3천TOE의 연료를 아껴 연료비용 4천156억원이 절약됐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또 황산화물(SO₃), 질소산화물(NOx), 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은 중앙난방에 비해 23% 1천12t(지역난방 3천451t, 중앙난방 4천464t)이 적게 배출돼 환경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보였는데 지구온난화 물질인 이산화탄소(CO₂)도 중앙난방보다 49% 1천431t(지역난방 1천487t, 중앙난방 2천918t)이 적게 배출됐다.
지역난방공사는 "지역난방의 에너지절약 및 대기환경개선 효과가 큰 것은 첨단오염방지시설을 갖춘 열병합발전소를 통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고 쓰레기 소각열과 매립가스(LFG) 등 대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 에너지관련 세금 올리기
소비자(국민) 스스로 의식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면 좋겠지만 자율적으로 행해지지 않으면 에너지 관련 세금을 올려 아껴쓰게 하는 수밖에 없다.
4.에너지 절약을 해야하는 이유 인식
마지막으로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유가 급등이 국민경제 등 국가적 차원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민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할 것이며, 에너지 담당부서인 산자부뿐 아니라 건설교통부나 정보통신부, 과학기술부 등 모든 부처가 대책 마련에 적극 참여해야 할 것이다.
결론
자원이 희소 하다는 것과 부족하다는 의미는 매우다르다. 부족한것은 수요와 공급법칙에 의해서 언제든지 해결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이지만 희소하다는 것은 언젠가는 고갈 될 것이기 때문에 아껴쓰는 방법 뿐이 없다. 에너지 절약이 여기서 내 놓은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언젠가는 에너지도 고갈 될 것이지만 소비 가능연도를 늘려보는 방향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하는 국가는 미래 경제에 생존 할 수 있다라는 주장을 펼치면서 보고서를 끝 마친다.
참고문헌 및 자료
석유의 종말 / 폴로버츠 지음 / 송신화 옮김 / 서해문집 / 2004년
석유를 지배하는 자들은 누구인가 / 앤써니샘슨 지음 / 김희정 옮김 / 책갈피 / 2000년
석유시대 언제까지 갈 것인가 / 이필렬 지음 / 녹색평론사 / 2002년
에너지관리공단 http://www.kemco.or.kr/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2.15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